[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리오넬 메시의 아르헨티나가 36년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FIFA 랭킹 3위' 아르헨티나는 19일(한국시간) 카타르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에서 '디펜딩 챔프' 프랑스(FIFA 랭킹 4위)를 상대로 연장전을 3대3으로 비긴후 승부차기 끝에 4대2로 승리했다.
36년만에 우승을 차지한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사진= 로이터 뉴스핌] |
자신의 마지막 월드컵에서 환호한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 [사진= 로이터 뉴스핌] |
1986년 이후 36년 만에 정상을 탈환한 아르헨티나는 우승 상금 4200만달러(약 553억원)를 획득했다. 준우승 상금은 3000만달러(약 395억원)다.
결승전은 메시(35)와 음바페(24)의 대결이었다. 아르헨티나는 전반 메시의 선제골과 디 마리아의 골로 앞서갔지만 후반 프랑스는 음바페의 2골로 승부를 연장전으로 돌렸다. 연장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메시가 골을 터트리자 음바페도 PK골을 성공시켰다.
이날 아르헨티나는 전반21분 메시의 페널티킥(PK)골에 이어 전반35분 디 마리아의 골로 전반을 2대0으로 마쳤다. 하지만 프랑스는 후반 들어 음바페의 2골로 승부의 균형을 맞췄다. 후반 35분 무아니가 얻어낸 페널티킥을 음바페가 만회골로 성공시킨데 이어 1분 뒤인 후반36분 대회 7호골을 기록했다.
메시는 5번째 월드컵이자 자신의 마지막 월드컵에서 전반21분 디마리아가 얻어낸 페널틱킥 기회에서 상대 골키퍼 요리스를 한박자 속이는 PK골을 넣었다. 이 골로 메시는 월드컵 16강, 4강, 결승에서 골을 넣은 유일한 선수가 됐다.
음바페는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으로 카타르 월드컵에서 8호골을 넣었으나 웃지 못했다. [사진= 로이터 뉴스핌] |
연장에서도 승부는 가려지지 않았다. 연장후반 메시는 대회 7호골을 터트렸다. 메시는 연장 후반4분 라우타로의 슈팅이 요리스 골키퍼에 맞고 나와 이를 지체없이 슈팅, 골로 성공시켰다. 프랑스에겐 음바페가 있었다. 연장 후반11분 음바페는 페널티킥골(대회 8호골)을 넣어 다시 승부를 3대3으로 돌렸다. 지난 2018년 러시아 월드컵에서 4골을 넣은 음바페는 결승전 해트트릭으로 대회 8골을 기록, 월드컵 통산 12호골을 작성했다. 음바페는 대회 득점왕이 됐지만 팀의 패배로 웃지 못했다.
승부차기에서도 메시와 음바페는 첫 주자로 나서 둘 다 골을 성공시켰다. 하지만 프랑스는 아르헨 골키퍼 마르티네스의 선방에 2번째 골이 무산됐다. 뒤이어 아르헨티나의 디발라가 침착하게 골망을 흔들었다. 프랑스는 코망과 추아메니가 실축했고 아르헨티나 4번째 키커 몬티엘이 골문을 뚫어 승부는 끝이 났다.
1934년과 1938년 이탈리아, 1958년과 1962년의 브라질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월드컵 '2회 연속 우승'에 도전한 프랑스는 고개를 숙였다.
메시는 사상 첫 4관왕의 주인공이 됐다. 그는 월드컵, 발롱도르, 유럽 챔피언스리그 정상과 올림픽 금메달까지 목에 건 최초의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월드컵 트로피를 안은 메시는 발롱도르와 UEFA(유럽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UCL) 정상에 선 통산 9번째 선수가 됐다. 또한 그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아르헨티나 국가대표로 출전해 금메달을 획득, 축구 역사를 새로 썼다.
FC바르셀로나에 2006년과 2009년, 2011년, 2015년에 유럽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안은 메시는 세계 최고 권위의 발롱도르도 2009년∼2012년, 2015년, 2019년, 2021년 등 7차례나 수상한 바 있다. 2014년 브라질 대회에서 준우승을 이끈 메시는 카타르에서 노장의 진면목을 보였다.
결승전 경기로 월드컵 통산 26경기에 출장한 메시는 월드컵 역대 최다 경기 출장자에도 이름을 올렸다. 이전까지 최다 출장자는 25경기에 나선 로터 마테우스(독일)였다.
메시와 음바페는 프랑스 프로축구 파리 생제르맹(PSG)에서 함께 뛰는 동료이기도 하다.
동메달은 크로아티아의 몫이 됐다. 크로아티아는 전날 모로코와의 3·4위 결정전에서 오르시치의 결승골로 2대1로 승리했다. 통산 101경기 28골 15도움을 올린 오르시치는 K리그에서도 활약한 선수다. 모로코는 2002년 한국에 이어 20년 만에 '4강 신화'를 쓴 국가로 남았다.
finevie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