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증권·금융 가상통화

속보

더보기

바이낸스 CEO "고객 돌아오고 있지만...향후 몇 개월 험난할 것"

기사입력 : 2022년12월15일 01:26

최종수정 : 2022년12월16일 03:33

미 검찰, 바이낸스 기소 우려에 13일 하루에만 약 1조원 유출
바이낸스 CEO "고객 자금 돌아오며 상황 안정되고 있어"
TX 샘 뱅크먼-프리드 체포에 시장 불안↑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세계 최대 암호 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창펑 자오 최고경영자(CEO)가 스테이블 코인인 'USD코인(USDC)'의 출금을 중단하고 하루 뒤인 14일(현지시간) "상황이 안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검찰이 바이낸스와 경영진을 자금 세탁 위반 등으로 기소할 수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후 출금 요청이 급증하는 등 바이낸스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투자자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USDC 출금 일시 중단 후 상황이 안정되고 있음을 알리는 창펑 자오 CEO의 트윗, 자료=트위터] 2022.12.15 koinwon@newspim.com

이날 자오 CEO는 13일 하루에 약 11억4000만달러(한화 약 1조 4797억원)가 바이낸스에서 출금되었지만, 이는 "지금까지 처리한 출금 중 최대 규모가 아니며, 실상 상위 5위 안에도 안 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자금이 돌아오고 있다"며 상황이 안정되고 있음을 알렸다.

앞서 13일 바이낸스는 '토큰 스왑'을 진행하는 동안 스테이블 코인인 'USD코인(USDC)'의 출금을 일시 중지한다고 밝혔다.

이날 자오 CEO는 바이낸스 플랫폼에서 USDC 출금 요청이 급증했다며, PAX, BUSD 등 다른 스테이블코인을 USDC로 바꾸려면 은행을 거쳐야 하는데, 해당 은행이 업무 시작 전이어서 출금이 일시 중단된다고 설명했다. CNBC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약 8시간 후 USDC 출금을 재개했다. 

◆ FTX 샘 뱅크먼-프리드 체포에 시장 불안↑...바이낸스 "준비금 입증할 증거 더 공개할 것"

바이낸스 측의 출금 중단 발표는 지난달 파산한 세계 3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FTX 창업자이자 전 최고경영자(CEO)인 샘 뱅크먼-프리드가 바하마에서 체포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시장의 불안이 높아진 상황에 나왔다.

샘 뱅크먼-프리드 FTX 창업자. FTX/Handout via REUTERS 2022.07.05 [사진=로이터 뉴스핌]

여기에 지난 7일간 바이낸스에서 30억달러(한화 약 3조 8940억원) 이상이 출금되었다는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난센(Nansen)의 분석 내용이 보도되며 투자자들 사이 불안이 가중됐다.

다만 난센의 알렉스 스바네빅 CEO는 FTX 사건 당시에는 수십억 달러가 계속해서 유출됐다며 당시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CNBC의 '캐피탈 코넥션'에 출연한 스바네빅 CEO는 "바이낸스에서의 출금 액수가 평소보다는 분명 많으며 지켜볼 만한 상황이지만, 일단 지금 상황에서는 FTX와는 많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낸스의 전체 보유 자산 규모가 600억달러(약 77조원)에 이르는 만큼, 지금까지의 출금 규모는 대단한 수준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바이낸스의 자오 CEO는 회사 내부에 퍼지고 있는 불안감도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 통신이 입수한 회사 내부 메모에서 그는 "향후 몇 개월 상황이 험난하겠지만, 어려운 시기를 잘 헤쳐 나가면 더 강해질 것"이라고 직원들을 다독인 것으로 알려졌다.

FTX 사태 이후 거래소의 재정 건전성과 투명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투자자들은 바이낸스가 회사의 재무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기를 요구했다.

이에 지난달 바이낸스 측은 준비금 비율이 101%라고 밝혔다. 고객들의 예치금을 넘어서는 충분한 자산이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바이낸스의 담보가 고객 자산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바이낸스의 감사를 맡은 글로벌 감사 기업 마자르(Mazars)는 지난 11월 작성한 5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에서 재무상에 대한 어떤 의견이나 결론도 내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를 두고 "마자르가 보고서에 담긴 수치를 보증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자오 CEO는 보유자산이 고객 예치금과 1대1 담보를 맞추고 있으며, 향후 수주 내에 준비금을 입증할 추가 증거를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자오 CEO가 회사 내부적으로 공유한 메모와 회사의 준비금과 관련한 인터뷰 요청에 바이낸스 대변인은 즉각 답변을 피했다고 CNBC는 전했다.

koinw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