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한국 대표 미디어 아티스트 김태은 30년 총망라, 서울미술관 '노스탤지어'

기사입력 : 2022년07월04일 09:07

최종수정 : 2022년07월04일 09:07

7월 2일부터 8월 7일까지 서울미술관 별관 M2 'ㅂㄹㄹ'
미디어 아트·공연·광고·영화·뮤비 등 예술과 기술융합 가능성 모색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서울미술관은 2022년 하반기 초청 전시로 7월 2일부터 8월 7일까지
김태은 개인전《노스탤지어 NOSTALGIA》展을 개최한다.

이 전시는 서울미술관 별관 M2 1~2층(약 100평)에서 진행되며, 대한민국 미디어 아트를 대표하는 한국 3세대 미디어 아티스트 김태은(Kim Tae Eun, 1971~) 개인전이다.

김태은은 미디어 아트, 공연, 광고, 영화, 뮤직비디오 등 예술과 기술의 융합 가능성을 모색하며 다채로운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능인(多能人) 아티스트다. 이번 전시에서는 1990년대부터 2021년에 이르기까지, 30여 년에 걸친 그의 작품을 총망라하여 선보인다.

고향 또는 지나가 버린 시대를 그리워하는 감정인 '노스탤지어(Nostalgia)'를 제목으로 가진 이번 전시는 김태은의 고향이자 고통의 기록인 작품들을 재구성함으로써 김태은의 '노스탤지어 월드'를 구축했다. 레트로한 감성이 담긴 작가의 노스탤지어 월드는 관람객의 향수를 자극하며 그들만의 노스탤지어를 느끼게 하고, 이를 통해 단순히 복고문화를 소비하는 것이 아닌 예술 감상의 형태로 작은 회고의 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김태은의 '노스탤지어 월드' [사진=서울미술관] 2022.07.04 digibobos@newspim.com

김태은의 작업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여 뉴미디어 시대 예술의 조건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작가는 인간과 사회, 기술의 관계를 마치 하나의 무대를 연출하는 듯한 미디어 아트로 구현함으로써 시각적인 유희를 형성하고, 동시에 그 이면에서는 비판과 풍자의 메시지를 은유적으로 전달한다.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뛰어난 테크니션인 김태은은 21세기 최첨단 기술 매커니즘을 활용하여 우리의 기억에 어렴풋이 남아있는 과거의 시공간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전시에서는 김태은의 대표작 <카세트 히치하이커(Cassette Hitchhiker)>(2021), <Visiting JSA>(2011), <Left Cinema, Right Cinema>(2009)를 포함하여,1990년대 뮤직비디오 작업, 댄스 필름 영상, 설치, 회화 등 40점을 소개한다.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서양화와 설치미술을 전공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아트&테크놀로지 박사 과정을 전공한 김태은은 한국을 대표하는 미디어 아티스트로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영상 연출에 관한 관심에서 출발한 김태은의 작품은 미디어 아트는 물론 공연, 광고, 영화, 뮤직비디오에 이르는 대중 영상 작업에 이르기까지, 예술과 기술의 융합 가능성을 모색하며 다채로운 영역으로 확장된다.

대표작으로 <카세트 히치하이커>(2021), <Visiting JSA>(2011), <Left Cinema, Right Cinema>(2009)가 있으며, 《K-art at Home : 김태은 전》을 비롯해 다수의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카세트 히치하이커(Cassette Hitchhiker) (2021)
CRT monitor, Cassette Player, Telephone, 152x125x91cm [사진=서울미술관] 2022.07.04 digibobos@newspim.com

<카세트 히치하이커(Cassette Hitchhiker)>(2021)는 길거리 포장마차에 모티브를 둔 작품으로, 이따금 길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포장마차는 무심히 지나가는 행인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미디어 포장마차로 상징화된 김태은의 <카세트 히치하이커>는 맛있는 음식 대신, 시간여행의 재미를 공감각적으로 선사하는 작품이다.

오래된 고물처럼 보이는 철제 수레 위에 미디어 박스와 수화기가 놓여있다. 화면에는 20세기 초 디즈니 영화를 연상시키는 흑백 플래시 영상이 상영되고, 수화기 너머로는 올드 팝송이 흘러나온다. 어디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이 작품은 우연히 마주친 관람객에게 그들이 겪었던 과거의 시간을 공감각적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마치 길 위의 히치하이커처럼 작가가 연출해놓은 과거에 편승하여 무의식에 잔존해 있던 향수에 젖어들게 한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Visiting JSA (2011). HD Video, 5min 54sec [사진=서울미술관] 2022.07.04 digibobos@newspim.com

<Visiting JSA>(2011)는 박찬욱 감독의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2000)를 재매개화하여 제작한 영상 작업이다. 남과 북의 감시와 공유라는 정치적 상징성을 지닌 '판문점'이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김태은은 영화 속 장면과 동일한 배경과 구도로 촬영된 현재 판문점 모습을 나란히 제시한다.

이를 통해 관람객은 배우의 모습이 사라진 채 실제 공간만이 남은 영상을 영화와 비교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김태은의 작업은 정치적 이데올로기는 사라지고 마치 틀린 그림 찾기를 하듯 유희적 놀이 무대로 전환된다. 이렇듯 <Visiting JSA>는 실제 장소가 영화적 상상력과 영상 편집 기술에 의해 다르게 보일수 있다는 것을 드러내며, 무엇이 진짜 현실인가에 관한 물음을 던진다.

김태은은 작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여러 문화재단과 예술단체의 후원금을 받았으며, 서울로미디어기획공모 당선
(2020), 뉴디스코스 대상(2011), 동아미술기획 대상(2008), 중앙미술대전 대상(2005) 등 각종 미술제와 영화제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현재는 개인 작품 활동과 더불어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차세대 문화예술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한편, 전시가 개최되는 서울미술관 별관 M2는 'ㅂㄹㄹ(브르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단장했다. 무정형(Amorphous Form), 무성질(Amorphous Materials) 공간을 지향하는 'ㅂㄹㄹ(브르르)'는 화이트 큐브와 80년대 롤라장, 90년대 대안 공간을 오가며 새로운 예술 경험을 탐구하고, 동시대의 감수성을 유희(遊戲)하는 문화 예술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노스탤지어'가 열리는 서울미술관 별관 M2 'ㅂㄹㄹ' 2022.07.04 digibobos@newspim.com

이 전시는 서울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두려움일까 사랑일까(Fear or Love)》와 함께 관람할 수 있다. 김환기, 천경자, 이중섭, 박수근, 유영국을 비롯하여 김창렬, 이우환, 박서보, 정상화에 이르는 단색화가까지, 두려움
속에서도 예술 창작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던 한국의 근현대미술가 31명의 작품을 원화로 만날 수 있다.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