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라이브
KYD 디데이

버핏이 하락장서도 쓸어 담은 주식은 "옥시덴탈·셰브런"

기사입력 : 2022년05월17일 10:41

최종수정 : 2022년05월17일 10:41

버크셔 주식 매입액 2008년 이후 최대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지난 2년 간 현금을 확보하며 관망세를 취하던 오마하의 현인 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최근 뉴욕증시 하락장에서 본격 매수 행보를 시작해 가치 투자자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16일(현지시각)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공개한 버크셔의 분기 투자보고서(13F)에 따르면 버크셔는 올 1분기 동안 415억달러어치 주식을 순매입했다. 이는 2008년 이후 버크셔의 최대 주식 매입 규모다.

버핏은 작년 한 해 동안 매도를 지속하면서 현금을 역대 최대 수준으로 불렸지만 올 1분기에는 현금의 30% 가까이를 주식 매수에 사용했다.

크레이튼대학 금융학 교수 로버트 존슨은 "버핏이 현금을 주식으로 바꾸기 시작했다는 것은 저평가 주식들이 있다는 버크셔의 판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버핏이 시장 저평가 또는 단기 반등 가능성 자체를 믿는다기 보다 일부 기업들이 분명 매력적인 매수 대상이라는 판단을 내린 것"이라면서 "이는 가치 투자자들에게는 좋은 신호"라고 덧붙였다.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사진=로이터 뉴스핌]

◆ 버핏 톱픽은 에너지주

버핏이 1분기 중 집중 매수한 주식은 유가 급등에 수혜를 입을 미국 석유업체 옥시덴탈 페트롤리움(종목명:OXY)과 셰브런(CVX)이었다.

지난 1분기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이 33% 뛰자 버크셔는 옥시덴탈 주식을 90만1774주 매입했고, 셰브런 주식은 1억2093만3081주 추가 매입해 지분을 316% 늘렸다.

그레이트힐 캐피탈 회장 토마스 헤이예스는 "버핏은 원자재 관련주 투자를 기피하는 사람이지만 지금과 같은 인플레이션 및 수급 불균형 상황에서는 (에너지주가) 훌륭한 헤지 수단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미 버크셔 투자 비중 1위를 차지하는 애플(AAPL) 지분도 380만주 추가 매입해 현재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8%로 늘었다.

버핏은 1분기 중 HP(HPQ) 주식도 1647만6783주 매입해 총 보유 주식은 1억2095만2818주로 늘었다.

이밖에 앨리파이낸셜(ALLY), 씨티그룹(C), 마켈(MKL) 등 금융주에 대한 투자를 새롭게 시작했고, 원자재 업체 셀라니스(CE)와 미디어 기업 파라마운트 글로벌(PARA) 주식 매수도 시작했다.

기존 보유 주식 중에는 바닥재 회사인 플로어&데코(FND)와 고급 가구 소매업체 RH(RH), 모토스포츠 업체 포뮬라원그룹(FWONK),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 지분을 늘렸고,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수 차액거래를 노려 액티비전 블리자드 (ATVI) 지분도 확대했다.

한편 지난 1분기 버크셔는 20년 넘게 들고 있던 웰스파고(WFC) 주식을 완전히 정리했고, 헬스케어 주식인 애브비(ABBV)와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Y) 주식도 덜어냈다.

버크셔는 미국을 대표하는 통신사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VZ) 지분도 99% 축소해 남은 지분은 단 140만주 정도다.

또 부동산 신탁업체 스토어캐피탈(STOR)과 식료품 체인 크로거(KR), 바이오 의약품 투자기업 로열티파마(RPRX) 주식도 일부 매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옥시덴탈 정유 설비 [사진=로이터 뉴스핌]

◆ "훌륭한 기업을 적정 가격에 사라" 버핏 투자철학 이행 적기

이번 공시내용을 본 월가 전문가들은 지난 2년 간 관망세를 취해 온 버핏이 마침내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점을 주목하라고 강조했다.

버핏의 투자 철학이 "훌륭한 기업을 적정 가격에 사라"는 것인 만큼 좋은 매수 기회가 온 기업들이적지 않으며, 버핏의 픽을 통해 괜찮은 투자처를 물색해 보라는 것이다.

헤이예스 회장은 "버크셔가 보험사 앨러게니를 인수하고 HP와 액티비전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는 것은 그만큼 현재 시장에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고 적극 뛰어들려는 버핏의 의지가 강하다는 뜻"이라면서 "앞으로 애플 주식도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몇 주 사이 투자자들 상당수가 출구를 택하고 있지만 버핏은 밸류에이션이 적정하다는 기업들을 선별해 주식을 사들이고 있음을 눈 여겨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B라일리 파이낸셜 수석 시장전략가 아트 호건은 버핏의 최근 에너지 투자는 밸류에이션이 낮고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 환원도 별로인 주식에 투자하는 버핏의 투자 전략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호건은 가치 투자의 대가인 버핏은 투자자들에게 "모두가 두려워할 때 욕심을 내라는 말을 항상 한다"면서 지금이 그러한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옥시덴탈에나 셰브런 등 석유 메이저에 대한 버핏의 투자는 머지 않은 미래에 에너지 제품에 대한 공급보다 수급이 늘어날 상황을 예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이네스 IM 파이낸셜 컨설턴트 마이크 메이네스는 버핏이 저가 매수에 나선 점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긍정적 신호라면서 "연초에 비해 훨씬 싼 수준에 거래되는 양질의 기업들이 현재 넘쳐난다"고 말했다.

호건 역시 "적정 기업을 훌륭한 가격에 사는 것보다 훌륭한 기업을 적정 가격에 사는 것이 낫다"고 하는 버핏의 투자 철학을 실천에 옮기기에 적기라고 강조했다. 

kwonji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갑질 의혹' 강선우 살린 까닭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살리기로 했다.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심각한 상황에서 낙마자 없이 넘어갈 수는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징적인 낙마자로 이 후보자를 선택한 것이다. 야당이 강력히 요구한 두 명 중 한 명을 낙마시킴으로써 야당의 체면을 세워주는 모양새를 취하는 동시에 독주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피하려 한 것이다.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이 후보자 낙마가 측근인 강 후보자에 비해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강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현역 의원 낙마 1호라는 불명예를 안게 돼 의원직을 수행하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었다. 이 후보자 낙마로 강 후보자를 구제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6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마련된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 2025.06.26 gdlee@newspim.com 이 대통령과 여권 핵심은 지난주 이미 한 명 낙마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우상호 정무수석이 "일부 후보자의 경우 청문회 이후에도 논란이 계속돼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낙마를 사실상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특히 주말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의견을 구한 것은 최소한 한 명의 낙마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야당 대표까지 만나고 모든 후보자를 밀어붙일 경우 독주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한 낙마자 제로는 이 대통령의 결단을 부각하기 위한 전술이었다. '낙마자는 없다'는 여당의 강경론에도 이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야당과 민심을 수용하는 모양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진 사퇴가 아니라 지명 철회라는 강수는 야당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양을 취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7.16 mironj19@newspim.com 관심은 낙마자가 한 명이냐, 아니면 두 명이냐였다. 두 후보자 모두 낙마 1순위였다. 한 명을 살리기 어려울 정도로 막상막하였다. 논문 표절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의혹이 불거진 데다 전문성도 결여돼 있다는 지적을 받은 이 후보자의 낙마는 사실상 결정된 상태였다. 여기에 강 후보자까지 포함시킬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파상 공세를 취하는 야당이 문제가 아니었다. 두 후보자에 대해 진보색이 강한 시민 단체마저 낙마를 요구했다. 여론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곤혹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었다. 자칫 지지 세력이 등을 돌릴 수 있어서다. 이런 상황에서 이 후보자 낙마와 강 후보자 구제는 여당 기류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대통령실 주변에서 "이 후보자는 외부에서 추천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 것은 낙마자가 나올 경우 1순위는 이 후보자가 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다. 낙마하더라도 부담이 덜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당 분위기는 더 노골적이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입단속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침이 없었다고 한다. 이를 반영하듯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난주 중반까지 여론이 싸늘했지만 그 이후 당 주변에서는 더 이상 얘기가 나오지 않았다.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달랐다. 김상욱 의원에 이어 강득구 의원이 공개적으로 이 후보자를 비판하며 거취를 거론했다. 강 의원은 "연구 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 결격 사유"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 낙마로 분위기를 몰아가는 듯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문제가 컸지만 이재명 정부가 전면에 내세운 유능함도 보여주지 못한 게 결정적이었다. 여권이 갑질 논란이 심했던 강 후보자를 감싼 논리가 유능함이었다. 청문회 과정에서 유보 통합 등 교육 정책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조차 숙지하지 못해 전문성에 심각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여당 의원들조차 "어떻게 그런 것도 대답을 하지 못하느냐"는 비판이 나올 정도였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인사청문회를 거쳤지만 임명이 안 된 11명의 장관 후보자 중 지명 철회는 이 후보자 한 명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 강 후보자는 임명 절차를 밟을 것임을 시사했다. 강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명을 강행하려면 절차상 국회에 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해야 하는 만큼 이 대통령은 이른 시일 내에 관련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를 임명한다고 해도 부담은 남는다. 강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한 상당수 민주당 보좌진들과 정서적으로 등을 지게 될 수밖에 없다. 강 후보자 사퇴를 요구한 시민단체의 입장도 부담이다. 야당은 여론을 돌리기 위한 파상 공세에 나서고 있다. 강 후보자도 갑질 장관이라는 낙인이 찍힌 상태에서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향후 여론 추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leejc@newspim.com 2025-07-21 06:45
사진
안세영,왕즈이 꺾고 日오픈 우승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삼성생명)이 시즌 6승을 달성했다.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은 2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투어 슈퍼 750 일본오픈 여자 단식 결승에서 왕즈이(2위·중국)를 42분 만에 2-0(21-12 21-10)으로 완파했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안세영(왼쪽)이 20일 일본오픈 여자 단식 결승에서 우승한 뒤 중국의 왕즈이와 시상대에 올랐다. [사진=BWF 동영상 캡처] 2025.07.20 zangpabo@newspim.com 안세영은 이번 대회 5경기에서 한 게임도 내주지 않는 무결점 플레이를 펼쳤다. 이로써 안세영은 말레이시아오픈, 인도오픈, 오를레앙 마스터스,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에 이어 일본오픈까지 올해에만 6번째 우승컵을 안았다. 지난해 파리 올림픽 금메달을 딴 뒤 부상으로 불참한 일본오픈에선 2023년 이후 2년만에 정상을 탈환했다. 안세영은 왕즈이와 상대 전적에서도 13승 4패로 격차를 벌렸다. 특히 올해는 말레이시아오픈,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에 이어 일본오픈에서 왕즈이를 잇달아 꺾었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안세영이 20일 왕즈이와 일본오픈 여자 단식 결승에서 마지막 게임 포인트를 올리고 있다. [사진=BWF 동영상 캡처] 2025.07.20 zangpabo@newspim.com 1게임 10-10으로 맞선 게 유일한 접전이었다. 안세영은 이후 8득점을 내리 따내며 승기를 잡았다. 2게임에서도 두 번 연속 5득점 하며 손쉽게 왕즈이를 꺾었다. 안세영은 22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중국오픈에서 시즌 7관왕에 도전한다. 남자복식 서승재-김원호 조(3위·이상 삼성생명)도 세계랭킹 1위인 말레이시아의 옹유신-테오예이 조를 2-0(21-16 21-17)으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서승재와 김원호는 올해 말레이시아오픈, 독일오픈,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에 이어 5번째 우승을 합작했다. zangpabo@newspim.com 2025-07-20 17:3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