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문화

속보

더보기

[베이징 2022] 中 '구아이링 신드롬'...광고상품 매진에 몸값도 껑충

기사입력 : 2022년02월14일 16:33

최종수정 : 2022년02월14일 16:33

실시간 검색어 순위 장식, 기업 마케팅 효과 뚜렷
광고계 라이징스타, '몸값' 400억원 추산
동계스포츠 산업 전망 '낙관'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에서 '구아이링(谷愛凌·에일린 구)' 열풍이 뜨겁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키 프리스타일 여자 결승전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일약 '대륙의 영웅'으로 등극했다.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을 휩쓴 것은 물론 구아이링이 광고 모델로 나선 상품은 '완판'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스키 등 겨울철 스포츠 산업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며 산업 전체 발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 "구아이링이 썼다" 마케팅 효과 '톡톡'

구아이링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8일 중국 SNS인 웨이보에는 '구아이링 금메달' 등 관련 검색어 20여 개가 인기 검색어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다.

'루이싱커피(瑞幸咖啡)'는 구아이링 효과를 가장 톡톡히 보고 있는 브랜드로 꼽힌다. 몇 년 전 분식 회계로 몸살을 알았지만 구아이링을 광고 모델로 영입하며 이미지 쇄신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루이싱커피는 지난해 9월 구아이링을 공식 모델로 발탁하며 특별 음료를 출시했다. 올림픽 개막 전에는 '구아이링 YYDS(永遠的神, 영원한 신)' '구아이링 파이팅'이라는 문구가 붙은 빨대와 음료잔을 선보였고, 베이징에는 구아이링을 테마로 한 팝업 매장 두 개를 오픈했다. 구아이링이 메달을 딴 직후에는 '금메달 기념 쿠폰'을 발매한 데 이어 웨이보를 통해 구아이링 친필 사인을 내건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네티즌들의 뜨거운 관심을 이끌어냈다.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현재 루이싱커피 다수 매장은 '구아이링 음료'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웨이보 등 SNS에는 루이싱커피 '구아이링 음료'가 일찌감치 품절되어 빈손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는 글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사진=바이두(百度)]

구아이링이 대회 출전 당시 사용했던 스키에도 관심이 쏠리며, 스위스 스키 장비 전문 브랜드인 팩션(FACTION)의 인기가 급상승했다. 구아이링의 금메달 소식이 전해진 당일, 온라인 쇼핑몰인 톈마오(天貓·티몰)에 입점 중인 팩션 플래그십의 판매량은 전날 대비 무려 400% 이상 폭증하면서 '구아이링 효과'를 입증했다.

팩션의 중화권 책임자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구아이링은 줄곧 좋은 성적을 내왔다. 판매량 급증은 당초 예상했던 일"이라며 "구아이링이 188.25점으로 1위를 차지했던 하루 동안 팩션의 톈마오 플래그십 방문자 수는 전주 대비 945% 급증했고, 판매량은 전일 대비 450% 늘어났다. 남아 있는 재고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구아이링이 썼던 고글 브랜드 오클리(OAKLEY)의 8일 판매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60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 스키·스노우보드 인기···동계 스포츠 산업 '낙관'   

중국이 설상 종목에서 금메달을 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구아이링의 금메달 소식은 중국인, 특히 청소년들의 스키·스노우보드에 대한 관심을 키우고 있다. 

중국에서 스키 강습을 하고 있는 한 강사는 "구아이링은 청소년들이 스키에 관심을 갖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며 "많은 강습생들이 제2, 제3의 구아이링을 꿈꾸며 열정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바이두(百度)]

실제로 중국의 스키·스노우보드 등 동계 스포츠 인구가 3억 명 가량으로 추산되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 중국 스키 산업 백서'에 따르면, 2020~2021년 겨울 스키 참여자 중 17세 이하가 전체의 15.8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 당국의 스포츠 산업 육성 정책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중국 대표 선수들의 호실적 기록이 중국의 동계 스포츠 산업 발전을 촉진할 것이란 분석이다. 

국원(國元)증권은 중국 동계 스포츠 산업 시장 규모가 2013년 1177억 위안에서 2017년 3976억 위안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한 데 이어 2020년에는 6000억 위안에 육박했다며, 2025년에는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 '광고 모델 써라' 요청도···'몸값' 급증   

구아이링은 현재 전 세계 20여 개 브랜드의 광고 모델로 활동 중이다. 루이싱커피와 팩션·오클리 뿐만 아니라 에스티로더·빅토리아시크릿·루이비통·티파니 등 명품 브랜드들로부터 일찌감치 '러브콜'을 받았다. 

스포츠 관련 기업들에 구아이링을 광고 모델로 발탁하라는 '압박'도 이어지고 있다. 선전증권거래소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일부 투자자들은 스포츠 용품 관련 상장사인 삼부호외(三夫戶外·002780)와 토레드홀딩스(探路者·300005) 등과의 질의응답에서 "구아이링 이미지가 회사와 매우 잘 어울린다"며 "구아이링이 광고 모델이 된다면 회사와 제품 인지도가 크게 올라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선인식(RFID) 솔루션 업체가 난데없이 '구아이링 테마주'로 분류되며 주가가 급등한 일도 있다. 8일 오전 10시 스키 프리스타일 여자 결승전이 열리고 36분 만에 왕위안구(望遠谷·002161) 주가가 상한가를 달성하면서 8개월래 최고가를 경신한 것이다.

'왕위안구', '멀리서 구(구아이링)를 보다'라는 이름으로 해석된 것이 '구아이링 테마주'로 분류된 이유였다. 누리꾼들은 "왕위안구 조차도 '멀리서 구를 보기만 했을 뿐' 주가가 상한가를 칠 것이라곤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주식 정말 어렵다. 이제는 말 만드는 능력도 갖춰야 할 때"라며 반응했다. 

한편, 구아이링을 찾는 브랜드들이 늘어난 만큼 그의 몸값 역시 빠르게 치솟고 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신경보(新京報)가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까지 구아이링의 광고 모델료는 100만 달러 전후였으나 2021년 2월 이후 세계 선수권 대회 등에서 메달을 휩쓸며 광고 1건당 모델료가 점차 올라간 것으로 알려졌다. 

신경보는 그러면서 광고 1건당 출연료를 150만 달러라고 가정할 경우 총 3500만 달러(약 418억 원)의 광고료를 받을 것이라면서 소속사와 7:3의 비율로 수익을 분배한다고 할 때 구아이링의 광고 수입은 최소 1억5000만 위안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민주 47.4%·국민의힘 34.3%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지지율은 오르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하락해 양당의 격차는 13.1%포인트(p)로 벌어졌다. 한때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았던 18~29세는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민주당 지지로 돌아서는 양상이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0일 발표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47.4%로 직전 조사 대비 0.1%p 상승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34.3%로 직전 조사 대비 0.5%p 하락했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4.10 ace@newspim.com 조국혁신당은 3.9%에서 4.0%로 0.1%p 상승했다. 개혁신당은 2.0%에서 1.9%로 0.1%p 하락했다. 진보당은 1.2%에서 0.8%로 0.4%p 떨어졌다. 기타 다른 정당은 1.5%에서 3.5%로 2.0%p 올랐다. 지지 정당 없음은 8.7%에서 7.2%로 1.5%p 줄었다. '잘모름'은 0.7%에서 1.0%로 0.3%p 올랐다. 연령 별로 보면 6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만 18~29세는 민주당 55.8%, 국민의힘 24.2%, 개혁신당 6.5%, 진보당 1.5%, 기타 다른 정당 2.9%, 지지 정당 없음 9.0% 등이다. 30대는 민주당 39.3%, 국민의힘 34.7%, 조국혁신당 4.9%, 개혁신당 3.0%,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9.3%, 지지 정당 없음 7.4% 등이다. 40대는 민주당 60%, 국민의힘 27.4%, 조국혁신당 2.7%, 개혁신당 1.0%,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1.2%, 지지 정당 없음 6.5%, 잘모름 0.6%다. 50대는 민주당 51.1%, 국민의힘 29.4%, 조국혁신당 7.3%, 개혁신당 0.5%,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8.1%, 잘모름 1.4%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42.3%, 민주당 39.8%, 조국혁신당 7.5%, 개혁신당 0.6%,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4.3%, 잘모름 2.2%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49.2%, 민주당 36.3%, 개혁신당 0.6%, 기타 다른 정당 4.8%, 지지 정당 없음 7.9%, 잘모름 1.3% 등이다. 지역 별로는 보수 지지자가 많은 영남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민주당 46.4%, 국민의힘 34.6%, 조국혁신당 4.7%, 개혁신당 2.7%, 진보당 1.6%,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9%, 잘모름 1.0%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당 48.3%,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4.0%, 지지 정당 없음 7.6%, 잘모름 0.9%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2.0%, 국민의힘 27.0%, 개혁신당 2.5%, 조국혁신당 1.6%, 기타 다른 정당 4.7%, 지지 정당 없음 12.2%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61.6%, 국민의힘 27.7%, 조국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7.5%,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9%,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7.8%, 잘모름 1.3%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44.8%, 민주당 36%, 개혁신당 3.1%, 조국혁신당 2.9%, 기타 다른 정당 3.0%, 지지 정당 없음 7.2%, 잘모름 3.0%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2.1%, 국민의힘 23.2%, 조국혁신당 8.4%, 개혁신당 1.2%,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2.9%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6%, 국민의힘 37.1%, 조국혁신당 3.9%, 개혁신당 3.2%,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6.6%, 잘모름 0.6%다. 여성은 민주당 48.9%, 국민의힘 31.5%,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0.7%,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5.2%, 지지 정당 없음 7.7%, 잘모름 1.3%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비해 한계허용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한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며 "이는 정권 교체를 원하는 국민들의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정치적 변화와 선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지난 대선 때 '이대남(20대 남성)'과 '이대녀(20대 여성)' 논란이 있었다"며 "이대남들은 국민의힘 지지, 이대녀들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추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4-10 10:00
사진
이재명 47.6% '1강 독주'...2위 김문수 17.9%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통령 후보 1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10일 발표됐다. 이 전 대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 전 대표에 이어 안정적인 2위를 차지한 양상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 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8~9일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 시스템(ARS) 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호명순서는 가나다순)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이재명 47.6% ▲김문수 17.9% ▲한동훈 4.9% ▲홍준표 4.3% ▲오세훈 3.7% ▲김경수=안철수 2.1% ▲김동연 1.9% ▲유승민 1.8% ▲이준석 1.7% ▲원희룡 1.1% ▲우원식 0.8% ▲김두관=김부겸 0.7%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다른 인물 4.3% ▲없음 2.6% ▲잘 모름은 1.8%였다. 성별로는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다만 남성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보다 홍준표 대구시장을 선호한 반면 여성은 홍 시장보다 한 전 대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여성에서 가장 낮은 지지도를 얻었다. 남성은 ▲이재명 46.7% ▲김문수 19.7% ▲홍준표 5.2% ▲한동훈 4.3% ▲오세훈 3.5% ▲이준석 3.0% ▲유승민 2.5% ▲김동연 2.2% ▲김경수 1.9% ▲안철수 1.8% ▲원희룡 1.6% ▲김두관=김부겸 0.8% ▲우원식 0.4% 순이었다. 여성은 ▲이재명 48.4% ▲김문수 16.2% ▲한동훈 5.4% ▲오세훈 3.9% ▲홍준표 3.3% ▲안철수 2.5% ▲김경수 2.3% ▲김동연 1.8% ▲우원식 1.3% ▲유승민 1.2% ▲원희룡 0.6% ▲김두관=김부겸 0.5% ▲이준석 0.4% 순이다. 이 전 대표를 가장 선호하는 연령층은 40~50대였다. 반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연령대는 70대 이상과 30대였다. 김 전 장관은 60대, 70대 이상에서 20% 넘는 지지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만18세~29세)는 ▲이재명 51.8% ▲김문수 13.1% ▲이준석 5.4% ▲김동연 5.1% ▲홍준표 3.3% ▲오세훈 2.9% ▲유승민 2.7% ▲안철수=한동훈 2.0% ▲김부겸 0.8% ▲김경수 0.7% 로 집계됐다 30대는 ▲이재명 40.7% ▲김문수 15.2% ▲한동훈 7.4% ▲홍준표 6.0% ▲김경수 4.0% ▲유승민 3.2% ▲안철수 3.1% ▲오세훈 2.6% ▲이준석 1.8% ▲원희룡 1.3% ▲김부겸 1.2% ▲김두관 0.5%로 나타났다 40대는 ▲이재명 58.8% ▲김문수 17.3% ▲홍준표 4.1% ▲우원식 2.8% ▲한동훈=안철수 2.3% ▲이준석 1.5% ▲오세훈 1.1% ▲김경수 1.0% ▲김동연=김부겸 0.6% ▲유승민 0.5%로 조사됐다. 50대는 ▲이재명 56.1% ▲김문수 13.3% ▲오세훈=홍준표 4.5% ▲안철수 3.5% ▲한동훈 2.9% ▲유승민 2.2% ▲김동연 1.8% ▲원희룡 1.4% ▲이준석 1.0% ▲김경수 0.9% ▲우원식 0.8% 였다. 60대는 ▲이재명 42.0% ▲김문수 22.5% ▲한동훈 7.6% ▲오세훈=홍준표 5.0% ▲김경수 3.2% ▲유승민 2.2% ▲김동연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1.1%로 나타났다. 70대 이상은 ▲이재명 32.3% ▲김문수 27.0% ▲오세훈 6.1% ▲한동훈 7.6% ▲김경수 3.3% ▲김동연 2.9% ▲김두관=원희룡 2.7% ▲홍준표 2.6% ▲안철수 1.9% ▲이준석 0.7% ▲김부겸 0.6%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이 전 대표는 호남권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고 뒤이어 강원·제주, 대전·충청·세종에서 과반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한 전 대표는 부산에서 10.1%로, 두자릿수 지지율을 보였다. 서울은 ▲이재명 46.9% ▲김문수 16.5% ▲한동훈 5.8% ▲홍준표 4.2% ▲유승민 3.3% ▲이준석 3.2% ▲김동연 2.6% ▲오세훈 2.1% ▲안철수 1.7% ▲김경수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0.5% 경기·인천은 ▲이재명 49.4% ▲김문수 22.4% ▲한동훈 3.5% ▲홍준표 3.4% ▲안철수=오세훈 3.2% ▲김경수 1.8% ▲우원식 1.4% ▲유승민 1.2% ▲김두관=이준석 0.9% ▲김동연=원희룡 0.6%로 집계됐다. 대전·충청·세종은 ▲이재명 51.9% ▲김문수 11.8% ▲김동연 4.7% ▲홍준표 4.2% ▲한동훈 3.9% ▲오세훈 3.6% ▲유승민 3.4% ▲이준석 2.5% ▲우원식 1.8% ▲김경수 1.7% ▲원희룡 0.9% ▲안철수 0.6%였다. 강원·제주는 ▲이재명 55.4% ▲김문수 13.0% ▲한동훈 6.8% ▲김동연 6.2% ▲홍준표 3.7% ▲김경수 2.4% ▲김두관=김부겸 1.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재명 40.7% ▲김문수 14.2% ▲한동훈 10.1% ▲오세훈 6.5% ▲홍준표 6.2% ▲김동연 2.8% ▲김경수 1.8% ▲유승민 1.3% ▲원희룡 1.2% ▲안철수=우원식 0.7% ▲김부겸=이준석 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이재명 33.6% ▲김문수 23.5% ▲오세훈 9.5% ▲홍준표 6.9% ▲한동훈 4.9% ▲원희룡 3.0% ▲안철수 2.8% ▲유승민 2.7% ▲김부겸 2.2% ▲이준석 2.1% ▲김경수=김두관 1.0%였다. 광주·전남·전북은 ▲이재명 59.4% ▲김문수 14.6% ▲김경수 6.0% ▲안철수 3.6% ▲이준석=홍준표 2.2% ▲원희룡 2.1% ▲김부겸 2.0% ▲김동연 1.0% ▲김두관 0.9%이다. 지지정당별로는 차이가 극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이재명 87.9% ▲김동연 2.5% ▲김경수 2.4% 순이었고, 조국혁신당은 ▲이재명 64.9% ▲안철수 6.2% ▲김문수 4.8% 순이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김 전 장관을 가장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46.3% ▲한동훈 12.4% ▲홍준표 11.3% 순이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이준석 40.8% ▲유승민 16.2% ▲안철수 14.6% 순이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은 다가오는 조기 대선은 '이재명과 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되어야 한다'며 이재명 세력을 막아내는 것이 국가 정상화의 시발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라고 하면 오히려 코끼리를 생각하게 되는 것처럼 오히려 여론조사 결과는 이재명 전 대표의 주목도를 더 높여서 1강체제를 굳히는 결과가 나왔다"고 분석했다. 이어 "하지만 이 전 대표가 '민주당은 중도보수' 라고 언급한 것처럼 본인 지지층을 넘어서 영남과 중도층 등으로 지지층을 확대해 '이재명 대 反이재명' 구도를 극복해야 하는 것도 숙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보수 후보들중에서는 김문수 전 장관이 지지율이 가장 높았지만 지난 조사대비 하락했으며, 다른 보수 후보들 또한 평균 이하로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eyjin@newspim.com 2025-04-10 10: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