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생활경제

속보

더보기

블루칩으로 떠오른 비건빵…현대그린푸드·롯데제과 등 사업 확대

기사입력 : 2022년01월08일 06:22

최종수정 : 2022년01월08일 06:22

비건인구가 증가로 대체육보다 인기
비건 베이커리 재료를 구입하는 소비자도 늘어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육식을 멀리하는 채식 열풍이 빵과 디저트로 확산되고 있다. 

비건푸드는 고기와 생선은 물론 달걀 우유와 같은 동물성 식자재를 전혀 쓰지 않은 먹거리를 뜻한다. 비건인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고 환경을 위한 가치 소비 트랜드로 자리잡으며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비건 베이커리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

◆ "고기는 참아도 빵은 못참지"...G마켓, 비건 베이커리 주문량 1150%↑

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2008년 15만명이던 국내 채식 인구는 2020년 200만명으로 늘었다. 2021년에는 전년대비 25% 늘어난 250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향후 그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비건 관련 상품 수요도 늘고 있다. 특히 비건 베이커리가 인기다.

[뉴스핌 Newspim] 홍종현 미술기자 (cartoooon@newspim.com)

이커머스의 비건 베이커리 판매 추이를 보면 비건빵의 인기는 폭발적이다. G마켓에 따르면 작년 1분기 판매된 비건푸드(주문 상품 수량 기준)는 전년동기 대비 22% 늘었다. 이중 비건빵의 주문량이 1150% 급증했다.

비건 베이커리엔 버터·우유·달걀 등 동물성 재료가 들어가지 않는다. 대신 식물성 재료인 코코넛 슈가와 곡물가루 등이 들어가 칼로리가 낮고 영양가는 높아 다이어트 푸드와 '건강 빵'으로도 불린다.

비건빵이 식물성 대체육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마켓컬리에서 작년 상반기(1~5월) 판매된 비건 베이커리 상품은 전년동기 대비 517% 늘었다. 하반기 비건 식품 판매 비중 중에서 베이커리·간식 항목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설탕과 우유 없이도 초콜릿의 단맛을 구현한 비건 초콜릿류와 디저트 제품도 소비자들이 자주 찾았다. 반면 비건 냉장·냉동 식품의 판매 비중은 4%로 이 중 대체육류는 2%에 그쳤다.

마켓컬리 등 이커머스와 오프라인에 매장을 낸 비건 푸드테크 스타트업 더브레드블루는 이미 수십억원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100% 식물성 재료만 사용해 비건 빵을 만드는 곳으로 유명한 곳으로 애플코리아와 구글코리아 등에 비건빵을 사내 간식으로 납품한다.

◆ 현대·롯데, 자제 비건빵 개발하거나 스타트업과 손잡아...상품 다양화·가격은 여전히 숙제로

식품 기업들도 비건 식자재를 자체 개발하거나 해외 기업과 손잡고 비건빵 사업 강화에 나섰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는 캐나다 비건 식품 기업 데이야(Daiya)와 독점 판매·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슈레드 치즈·치즈향케이크·아이스크림 등을 판매한다. 데이야 대표 상품인 비건 치즈는 콩단백과 코코넛오일·유채유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들었지만 실제 치즈 맛과 식감을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진=현대그린푸드] 신수용 기자 = 2021.12.31 aaa22@newspim.com

현대그린푸드는 자체 온라인쇼핑몰(그리팅몰)과 현대백화점에서 비건 식빵·마요네즈·마시멜로우 등을 판매하고 있다. 이미 매출 목표를 50% 초과 달성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데이야 상품 품목을 3배 이상 늘리고 관련 상품을 확대할 방침이다.

식빵뿐 아니라 비건 브라우니·머핀도 오프라인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롯데제과는 비건 트렌드를 겨냥해 자체 비건빵 브이브레드(V-bread)를 출시했다. 동물성 원료인 브라우니와 버터 대신 오트밀과 쌀가루와 두유·올리브유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양산빵 시장에서 손쉽게 식물성 빵을 즐길 수 있도록 판매 채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산빵은 공장에서 대량 생산해 완제품 상태로 판매하는 일반적인 빵을 뜻한다

다만 비건 베이커리 시장 확대에도 원하는 비건 상품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비건빵 종류는 기존 양산빵보다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상품 가격대도 더 높다.

이에 집에서 직접 만드는 '홈쿠킹'을 택하는 소비자도 생기며 비건 베이커리의 재료인 식물성 버터와 비건 치즈 등도 덩달아 인기다. 마켓컬리에 따르면 작년 비건 버터와 치즈류는 전년보다 48배 이상 판매량이 늘었다. 관련 상품군도 대폭 확대했다. 마켓컬리 관계자는 "전체 비건 베이커리 판매량이 전년동기 대비 140% 증가했다"고 말했다.

자제 개발한 비건 식자재를 내놓은 기업도 있다. SPC그룹의 베이커리 브랜드 파리바게뜨도 식물성 대체 계란인 저스트 에그(JUST Egg)를 활용한 빵을 출시했다. 녹두에서 추출한 단백질에 강황을 더해 계란의 형태와 식감을 재현했다. 콜레스테롤이 없으며 비유전자변형식품 인증을 받았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콕·집밥 문화가 자리잡으며 한 끼를 먹더라도, 이왕이면 건강하고 부담 없는 식단을 원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비건 베이커리와 식자재가 인기를 끌고있다"고 말했다.

aaa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