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8/11 홍콩증시종합] 힘실리는 '바닥론' 부동산↑ vs 제약·기술↓ '혼조'

기사입력 : 2021년08월11일 18:09

최종수정 : 2021년08월11일 18:09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11일 오후 6시0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항셍지수 26660.16(+54.54, +0.20%)
국유기업지수 9530.79(+31.61, +0.33%)
항셍테크지수 6820.68(-9.47, -0.14%)

* 금일 특징주

신성발전홀딩스(1030.HK) : 7.55(+0.59, +8.48%)
에버그란데 프로퍼티 서비시스 그룹(6666.HK) : 7.30(+0.60, +8.96%)
칸시노 바이오로직스(6185.HK) : 328.0(-48.8, -12.95%)
빌리빌리(9626.HK) : 623.5(-31.5, -4.81%)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11일 홍콩증시를 대표하는 3대 지수가 보합권에서 혼조 마감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20% 상승한 26660.16포인트로,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0.33% 오른 9530.79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반면,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0.14% 하락한 6820.68포인트를 기록했다.     

섹터별로는 부동산을 비롯해 전력, 풍력발전, 금속, 요식, 석유, 은행 등이 강세장을 주도했다.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그룹 계열사 2개 종목 또한 전 거래일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제약, 교육, 패션, 맥주, 반도체가 두드러진 하락세를 연출했다. 전 거래일 크게 오른 항셍테크지수 구성종목인 중국 대형 과학기술주는 하루 만에 다시 약세로 돌아섰다.

부동산 섹터에서는 신성발전홀딩스(1030.HK)가 8.48%, 중국만과(2202.HK)가 5.32%, 컨트리가든서비스(6098.HK)가 4.13%, 영승생활서비스그룹(1995.HK)이 3.76%, 그린타운중국홀딩스(3900.HK)가 3.32% 올랐다.

금주 들어 부동산 섹터가 강세장을 주도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연출되면서, 시장에서는 부동산주가 이미 바닥을 친 만큼 이 정도에서 매수를 시작해야 한다는 '바닥론'이 힘을 얻고 있다. 

올해 상반기 부동산 업계 경기가 대폭 개선됐음에도 오랜 기간 주가는 부진한 흐름을 이어왔다. 현재 부동산주의 밸류에이션(실적대비 주가수준)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로, 은행주와 함께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에서 밸류에이션이 낮은 순위로 1∙2위를 다투고 있다.

화창증권(華創證券)은 현재 부동산 섹터는 역대 최고로 저평가되고 있는 상태로, 우수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을 보유한 부동산 종목의 밸류에이션 재평가 여지는 여전히 크다고 평했다.

[사진 = 텐센트증권] 11일 홍콩항셍지수 주가 추이

헝다그룹 계열사 종목은 항등네트워크(0136.HK)를 제외하고 2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부동산 섹터의 전반적인 강세 흐름 속에 자산 매각을 통한 자금조달 소식이 헝다그룹의 자금경색 리스크를 완화시켜주며 이날도 주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에버그란데 프로퍼티 서비시스 그룹(6666.HK)이 8.96%, 중국헝다그룹(3333.HK)이 7.84%, 헝다뉴에너지자동차(0708.HK)가 4.70% 상승했다. 반면 항등네트워크는 3.06% 하락했다.

10일 저녁 헝다그룹은 현재 제3의 투자자와 자산매각과 관련한 논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다만, 매각 대상은 헝다뉴에너지자동차 에버그란데 프로퍼티 서비시스 그룹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제약주가 두드러진 낙폭을 기록하며 약세장을 주도했다.

대표적으로 칸시노 바이오로직스(6185.HK)가 12.95%, 젠스크립트바이오테크(1548.HK)가 10.35%, 중국중약(0570.HK)이 8.84%, 복성제약(2196.HK)이 8.49% 급락했다.

이는 간밤 미국 증시에서 코로나 백신을 개발한 모더나가 5.72% 하락한 것을 비롯해 바이오엔테크가 6.87%, 백사트가 5.51%의 낙폭을 기록하는 등 백신 관련 종목이 약세장을 연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올해 모더나 주가가 터무니없이 많이 올랐다고 지적했다. BOA의 제프 미첨 애널리스트는 모더나의 목표가를 10일(현지시간) 모더나 종가인 456.76달러보다 75.6% 낮은 115달러로 유지했다.

모더나의 주가는 올해 들어 현재까지 3배 가까이 상승했다. 지난주 공개된 모더나의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영업수익은 전년동기대비 6516% 올라, 시장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다. 

항셍테크지수의 구성종목인 과학기술주들은 대거 하락했다.

대표적으로 빌리빌리(9626.HK)가 4.81%, 샤오미(1810.HK)가 2.19%, 중신국제집성전로제조(SMIC 0981.HK)가 2.11%, 화훙반도체(1347.HK)가 1.70%, 제이디닷컴(징둥 9618.HK)이 1.26%, 바이두(9888.HK)가 0.98%, 알리바바(9988.HK)와 콰이서우(1024.HK)가 0.88%, 메이퇀(3690.HK)이 0.75%, 텐센트(0700.HK)가 0.45%, 넷이즈(9999.HK)가 0.07% 하락했다. 반면, 알리바바건강정보기술(0241.HK)이 1.11%, 미맹그룹(2013.HK)이 0.19% 상승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대학생 희망 1위 기업은 '소니·니토리'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대학생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으로 소니와 니토리가 뽑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취업정보 사이트 마이나비가 2026년 3월 졸업 예정인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취업 선호 기업 조사 결과에서 인문 계열에서는 니토리가 3년 연속, 이공 계열에서는 소니가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조사는 2024년 10월 1일부터 2025년 3월 25일까지 실시됐다. 닛케이 전자판 구독 등에 필요한 닛케이 ID 보유자 및 마이나비 주최 이벤트 참가자들에게 투표를 요청했다. 인문 계열 2만5163명, 이공 계열 1만256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소니와 니토리 모두 다양한 인턴십을 통해 기업 이해와 커리어 형성을 유도하는 자세가 인기를 유지한 요인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니토리는 인테리어 소매업체이자 브랜드로 주력 상품군은 생활 잡화 및 가구다. 1967년 홋카이도 삿포로에서 '니토리 가구점'으로 창업했으며, 1986년 니토리라는 이름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이케아와 경쟁중이며 '일본의 이케아'라고 불리고 있다. 일본 전역에 800개가 넘는 매장이 있으며, 한국을 비롯해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 전역에 진출해 있다. 인문 계열에서는 미즈호FG가 2위를 차지했으며, 아지노모토, 이토추상사, 일본항공(JAL), 양품계획, JTB, 전일본공수(ANA), 반다이, 코나미가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이공 계열에서는 아지노모토가 2위에 이름을 올리며, 문·이과 모두에서 인기가 있음을 증명했다. 이어 스카이(Sky), KDDI, 파나소닉, NTT데이터, 미쓰비시중공업, 토요타, 산토리, 덴소 순이었다. 문·이과 모두 상위권에는 단골 기업들이 이름을 올렸으며, 이공계 상위 5위 기업은 전년과 동일했다. 변화가 제한적인 가운데 인문 계열에서는 양품계획(무인양품 운영사)이 전년 30위에서 6위로 크게 상승했다. 마이나비는 "친숙한 제품을 전개하는 무인양품 브랜드가 지속가능성 경영과 연결된 매장 및 웹사이트의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공 계열에서는 덴소(전년 64위에서 10위), 산토리(전년 25위에서 9위)의 급상승이 눈에 띄었다.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해 니혼게이자이는 "기업의 정보 발신 자세가 점차 인기에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 goldendog@newspim.com 2025-04-15 09:43
사진
하정우 50억 서초동 집 새 주인은 민호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배우 하정우(본명 김성훈)가 자신이 10년간 거주하던 고급 주택을을 그룹 샤이니 멤버 민호(본명 최민호)에게 매각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주택을 매입한 샤이니 민호(왼쪽)와 매각한 하정우. [사진=뉴스핌] 2025.04.15 moonddo00@newspim.com 15일 법원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띠에라하우스 주택은 2023년 5월 50억 원에 거래됐으며, 지난해 8월 최종 소유권 이전 등기가 완료됐다. 매도인은 하정우, 매수인은 샤이니 민호로 확인됐다. 특히 이번 거래에서는 근저당권이 없는 점에서, 민호가 해당 주택을 전액 현금으로 매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띠에라하우스는 한남대교 남단, 한강 조망이 뛰어난 위치에 자리한 고급 주택으로 총 15가구가 거주 중이다. 각 세대는 한 층에 단 한 가구만 들어서는 구조로 설계됐으며 전용면적 244.91㎡(약 74평), 공급면적 304.48㎡ 규모로 드레스룸 포함 방 5개와 욕실 3개가 갖춰져 있다. 하정우는 해당 주택을 2013년 5월 27억 원에 매입해 약 11년간 거주했으며 이번 매각으로 약 23억 원의 시세 차익을 거두게 됐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하정우가 이 자금을 지난해 입주한 용산구 고급 주택 '어퍼하우스 남산'의 잔금 납부에 활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정우가 입주한 것으로 추측되는 '어퍼하우스 남산'은 남산 둘레길 인근에 있는 최고급 주거 단지다.   moonddo00@newspim.com 2025-04-15 09:2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