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中国影人Talk!】青年导演杨东亮:希望与不同国家影视创作者交流

기사입력 : 2021년02월05일 15:02

최종수정 : 2021년02월08일 11:03

近日,中国悬疑推理剧《拆案》在视频平台爱奇艺热播。电视剧引发国内外观众的强烈关注,纷纷为紧凑的剧情和演员们精湛的演技点赞。成功的电视剧离不开实力派导演,韩国纽斯频(NEWSPIM)通讯社与中国娱乐资讯新媒体K-访谈记者对《拆案》导演杨东亮进行了联合专访,他说:"希望与不同国家影视创作者交流。"

中国青年导演杨东亮。【图片=K-访谈提供】

杨东亮出生于中国湖北省武汉市,2004年毕业于北京电影学院摄影学院。他从事导演工作十余年,拍摄过众多风格独特和制作精良的广告、微电影、网剧和电影等。

谈到成为导演的契机,杨东亮表示:"我的父亲是导演,所以小时起就一直接触影视行业。记得3岁还曾出演过一部电影,但现在早已没有了记忆。家里的书籍大多与电影有关,耳濡目染下我也怀揣着成为导演的梦想并考入北京电影学院,毕业后真正走上了导演之路。"

杨东亮曾于2009年执导LG电视广告《忍者篇》获得Spikes Asia尖峰亚洲奖和亚洲广告节铜奖;2016年执导古装玄幻网剧《妖出长安》,电视剧在爱奇艺上线24小时点击量破2000万次,10天破1亿次大关,荣获爱奇艺年度"最佳营销"大奖殊荣。

杨东亮执导网剧《拆案》在爱奇艺播出。【图片=K-访谈提供】

由杨东亮执导的民国悬疑推理剧《拆案》于2020年12月21日在爱奇艺播出,海外同步上线。该剧由中国演员董璇、谷嘉诚、苏小玎和吕艳蓓领衔主演,张雨绮、乔振宇特别出演,根据封与同名小说改编,讲述上海法租界中央巡捕房顾远(谷嘉诚饰)与法医车素薇(董璇饰)联手破案的故事。

采访中,杨东亮导演用三个关键词对《拆案》进行了诠释。他说,第一是拆解,因为《拆案》由6个不同单元的案件组成,每个案件都有不同的主题;第二个是人心,剧中案件的初衷和动机都是与人心有密切关系的;第三个是因果,希望观众们看完这部剧,能够分辨因果善恶和人心的善恶。

网剧《拆案》在中国播出后好评如潮,剧集还登陆爱奇艺国际版,深受韩国观众青睐,更有网友自发在韩国搜索引擎网站NAVER更新剧集概括与观后感。对网剧在国外取得成功的秘诀,杨东亮谦虚地说:"首先感谢韩国观众对《拆案》的喜爱。该剧的特点是题材新颖、故事独特,是一部吸引人眼球的悬疑网剧。同时,人物的年龄层次和人物关系也比较有趣,角色趋于年轻化。还有一点是越来越多的年轻人喜欢看悬疑剧,但《拆案》与中国普通悬疑剧不同,该剧的时代背景设定在民国时期,讲述探长破案的故事,区别于其他社会派推理题材。"

杨东亮导演(左)为演员导戏。【图片=K-访谈提供】

席间,当记者问如果《拆案》翻拍成韩版,希望邀请哪位韩国艺人出演男女主角时,杨东亮导演坚定地回答;"玄彬与宋智孝"。他坦言,自己十分喜欢玄彬,之前看过他主演的多部影视作品,觉得他很有探长风范;女主角希望邀请宋智孝,主要是因为她除了样貌出众,更多是向外界展现智慧与知性一面,两人搭档定会迸发出十足CP感。

作为一名导演,杨东亮向记者详细讲解了中国与韩国制作影视剧方面的区别。"关于影视剧制作,我认为在技术和设备上,中国已与韩国、欧美技术越走越近,同时后期技术和特效的差距也逐步缩小。我认为中国与韩国、欧美最大的区别还是在题材上,主要表现在文化方面的区别。我非常希望和包括韩国在内的不同国家影视创作者交流,这样可以激发出不同的火花。我相信中国会有更多影视工作者有机会走出去",杨东亮说。

网剧《妖出长安》海报。【图片=K-访谈提供】

采访中,杨东亮谈到他最欣赏的韩国导演——奉俊昊。他坦言:"奉俊昊的每部作品都有自己独特风格,在他的作品中可以看到不同一面,这是我非常欣赏的地方。每部电影都能感受到奉导对电影的深刻理解,故事设定引人入胜。"

杨东亮熟知韩国演员,他对郑雨盛的印象尤为深刻。他说,郑雨盛曾在1996年出演了电影《新上海滩》,与刘德华、张国荣对戏,但当时不知郑雨盛是韩国演员,只认为演技好、面孔好。后来查看资料,才知道他来自韩国,他出演的电影《我脑中的橡皮擦》令人感动,希望他的事业越来越好。

2020年对于中国来说是一个难忘的一年,湖北武汉发生新冠病毒(COVID-19)肺炎疫情。通过政府与民众共同抗疫,武汉"重获新生"。作为杨东亮导演的家乡,他希望有机会拍摄一部与疫情题材相关的电影。

杨东亮导演(左)与特别出演网剧《拆案》的演员张雨绮合影。【图片=K-访谈提供】

杨东亮表示:"武汉是我的家,所以这个话题提起来还是比较沉重。如果有机会让我给家乡做贡献的话,我定会义不容辞。不论是电视剧还是电影,甚至是公益电影,我都会参与进去。"

最后,杨东亮导演也向记者谈到未来的规划称,正在筹备《拆案2》,希望在悬疑作品里加入新元素,比如科幻、冒险,甚至一些奇幻的点子进去,希望可以尝试更多新鲜题材。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李정부 국정 5개년 책자 나왔다 [서울=뉴스핌] 윤채영 지혜진 기자 =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이 담긴 책자가 발간된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이날 뉴스핌이 확보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책자에는 123대 국정과제에 대한 주요 내용과 구체적인 입법 방향 등이 담겼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8.13 photo@newspim.com 국정기획위원회가 지난 13일 1호 과제로 발표한 개헌에는 대통령 권력 구조 개편도 포함됐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비상명령 및 계엄 선포 시 국회 통제권 강화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도입 ▲중립성 요구 기관장 임명 시 국회 동의 의무화를 추진하겠다고 명시했다. 또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정신 등 헌법 전문 수록과 검찰 영장 청구권 독점 폐지, 안전권 등 기본권 강화 및 확대, 지방자치와 균형발전을 위한 논의기구 신설, 행정수도 명문화 등이 개헌 과제로 포함됐다.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법 개정도 추진된다.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재외국민 투표 관련 규정을 개정해 국민투표법 위헌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개헌 찬반 투표는 2026년 지방선거나 2028년 국회의원 선거 때 실시하겠다고 명시했다. [서울=뉴스핌] 뉴스핌이 확보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책자. 2025.8.20 ycy1486@newspim.com 이번 책자에는 국정기획위가 지난 13일 대국민보고대회에서 공개한 123대 국정과제보다 훨씬 세부적인 내용이 담겼다. 당초 국정위는 이날 국정운영 5개년 계획도 공개하려 했다가, 돌연 비공개 결정을 내렸다. 비공개 결정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위 소속으로 활동했던 한 위원은 뉴스핌과 통화에서 "갑자기 보안을 강조하면서 내부 자료는 절대 공개하지 말라고 했다"며 "이유는 모른다"고 전했다.  ycy1486@newspim.com 2025-08-20 15:55
사진
美, 인텔 이어 삼성도 지분 내놔라?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법(CHIPS Act)상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 지분 확보를 추진 중인 가운데,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 다른 반도체 기업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삼성전자, 마이크론, TSMC 등 미국 내 공장 건설과 투자를 진행 중인 반도체 기업들을 상대로,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절 약속된 정부 보조금 제공과 맞바꿔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실화하면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파장이 불가피하다. 미국 정부에 지분을 넘기고 싶지 않다면 보조금을 포기해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업들의 순익 전망과 투자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미국의 산업정책이 정권에 따라 오락가락한다는 업계의 불만과 비난 또한 커질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성격상 귀담아 들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러트닉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거래에서 실질적 이익을 얻어야 한다고 본다"며 "왜 1천억 달러 규모의 기업에 돈을 줘야 하는가. 우리는 약속한 보조금을 지급하되, 그 대가로 지분을 받아 미국 납세자들에게 혜택을 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확보할 경우 최대 주주가 될 수 있지만, 러트닉 장관은 "경영권에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치는 전례가 없는 것이며, "이는 대기업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확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될 것"이란 진단이다.  로이터는 "마이크론은 인텔에 이어 반도체법 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는 미국 기업이며, 삼성전자와 TSMC 역시 주요 수혜 대상"이라며 "이번 검토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6월에도 비슷한 조치가 있었는데, 트럼프 정부는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조건으로 '황금주(golden share)'를 확보해 주요 경영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 건설 현장. [사진=삼성전자] wonjc6@newspim.com   2025-08-20 08:3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