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테슬라가 오르면 같이 뛰는 ETF, 유망 상품 따로 있다

기사입력 : 2020년12월11일 06:15

최종수정 : 2020년12월11일 06:15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15일 오전 04시3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주가 상승 질주가 거세다.

2020년 1월22일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사상 처음으로 1000억달러를 돌파했고, 월가는 장밋빛 전망을 쏟아냈다.

한 가지 눈여겨 볼 대목은 테슬라가 오를 때 일부 상장지수펀드(ETF)가 덩달아 상승 탄력을 받는다는 사실이다.

테슬라의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수익성, 그리고 추세적인 주가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면 적극 매입하는 전략을 저울질할 만 하다.

ETF 투자 정보를 제공하는 미국의 인터넷 매체 ETFdb.com은 ARK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가 운용하는 세 개 상품이 유망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ARK 오토노머스 테크놀로지 앤드 로보틱스 ETF(ARKQ)와 ARK 인노베이션 ETF(ARKK), ARK 웹 x.0 ETF(ARKW)가 추천 상품.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 있는 테슬라의 '수퍼 차저'(Super Charger) 급속 전기차 충전소. 테슬라 수퍼차저는 40분 만에 완충이 가능하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자동차 섹터를 겨냥한 ETF는 무수히 많다. 하지만 테슬라의 포트폴리오 비중이 10%를 웃도는 상품은 이들 ETF 뿐이다.

테슬라의 주가 상승 효과를 다른 ETF보다 훨씬 크게 볼 수 있다는 얘기다. ARK 인베스트먼트의 캐서린 우드 대표가 테슬라에 초창기부터 공격적으로 투자했다는 점에서도 관련 상품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먼저 테슬라에 대한 월가의 전망을 살펴보자. 월가에서 테슬라에 대한 대표적인 강세론자로 꼽히는 피에르 퍼라그 뉴스트리트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2021년 말까지 주가가 최고 960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테슬라의 판매 실적이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2025년 이후 매년 200만~300민대에 달하는 판매 실적을 세울 것이라는 얘기다.

판매량이 예상치의 상단에 이를 경우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2020년 초의 유통 주식수가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 최대 3500억달러까지 늘어나고, 주가는 1700달러까지 뛸 수 있다.

지난 2019년 테슬라의 판매 규모는 약 37만대로 파악됐다. 2018년에 비해 50% 급증한 수치다. 중국 상하이의 기가팩토리 생산량이 2020년 초까지 매주 1000대를 넘어섰고, 전세계 자동차 시장의 침체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독일 현지 생상라인까지 완공, 유럽 거점이 본격 가동될 경우 테슬라가 중장기적인 외형 성장을 이룰 전망이다.

여기에 기후온난화와 주요국의 화석 연료 규제 및 전기차 시장 육성에 따른 시장 전반의 성장 역시 테슬라의 수익성을 낙관할 수 있는 배경이다.

테슬라에 높은 비중을 할애한 ETF를 운용중인 ARK 인베스트먼트의 우드 대표는 2025년까지 테슬라 주가가 6000달러까지 뛸 가능성을 제시했다.

새롭게 태동하는 자동차 및 IT 시장에서 테슬라가 지배력을 갖춘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테슬라의 SUV 차량 '모델 Y'. [사진=블룸버그]

테슬라의 잠재력과 관련한 분석을 이 정도로 접고, 이제 3개 ETF를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ARK 오토노머스 테크놀로지 앤드 로보틱스 ETF(ARKQ)는 2014년 9월30일 출시됐다.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종목 가운데 단연 테슬라의 비중이 가장 크다.

2020년 1월22일 기준 테슬라를 12.94%의 비중으로 편입했고, 이 밖에 12개 종목를 바구니에 담은 ETF다.

나머지는 자동차 종목보다 전기차 관련 기술을 가진 IT 및 반도체 종목이 대부분이다. 3D 프린팅의 선구자로 꼽히는 스트라타시스(SSYS)의 비중이 8.44%에 이르고, 프로토타입 업체 프로토 랩스(PRLB)가 5.7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 반도체 업체인 자일링스와 엔비디아, 전기차 개발에 뛰어든 중국 포털 업체 바이두, 소프트웨어 업체 오토데스크 등이 주요 종목으로 편입됐다.

2020년 초까지 상품의 5년간 누적 수익률은 118.46%에 달했다. 또 52주 수익률도 25.28%로 훌륭한 운용 성적을 거뒀다.

ARK 인노베이션 ETF(ARKK) 역시 2014년 10월31일 출시 이후 장기간 세 자릿수의 수익률을 창출했다.

2020년 초 기준 5년 누적 수익률이 171.03%로 집계됐고, 3년 및 1년 수익률도 146%,72%와 25.67%를 기록했다.

이 상품도 테슬라가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 1월 중순 기준 테슬라의 비중은 10.62%에 달했다.

이어 스마트폰 기반 결제 솔루션 업체인 스퀘어(SQ)가 6.91%의 비중을 차지했고, 유전체 분석 기업 일루미나(ILMN)이 6.74%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 나노스트링 테크놀로지(NSTG)와 인텔라 테라퓨닉스(NTLA), 에디타스 메디신(EDIT) 등 생명 공학 업체가 펀드에 다수 포함됐다.

마지막으로 ARK 웹 x.0 ETF(ARKW)는 2014년 9월30일 출시됐고, 2020년 1월22일 기준 테슬라의 비중이 가장 높지만 수치는 9.64%로 앞의 두 개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알리바바 그룹과 텐센트 홀딩스 등 전기차 기술 개발에 뛰어든 중국 기업을 편입한 점이 특징적이고, 자일링스를 포함한 반도체 섹터 역시 일정 부분 투자하고 있다.

아울러 이미지 공유 업체 핀터레스트와 온라인 스트리밍 업체 넷플릭스 등 IT 종목도 다수 보유하고 있다.

3개 ETF 가운데 가장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ARKW는 2020년 초까지 5년간 252.55%에 달하는 누적 수익률을 올렸다.

3년 및 1년 수익률은 각각 161.81%와 30.33을 기록했다. 2019년 뉴욕증시를 웃도는 운용 성적을 거둔 셈이다.

ETFdb.com의 원문 https://etfdb.com/disruptive-technology-channel/bold-call-from-tesla-may-bring-big-news-for-these-etfs/

 

 

higrace5@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