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 낮고, 소득 높고, 가족 많고, 도움요청 가능 이웃 있을수록 행복도 높아
[수원=뉴스핌] 순정우 기자 = 경기도가 만 19세 이상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가장 불행한 삶을 0점, 가장 행복한 삶을 100점으로 행복 수준을 측정한 결과, 경기도민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67점으로 나타났다.
[자료=경기도] |
8일 도에 따르면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48%가 ‘행복하다’는 범주로 볼 수 있는 ‘70점대 이상’에 분포했으며 ‘50~60점대’는 36%, ‘행복하지 않다’에 해당되는 ‘50점 미만’의 응답자는 16%로 조사됐다.
행복수준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족관계(75점)가 가장 높았고 △정신적 건강(69점) △육체적 건강(68점) △친구/이웃과의 관계(69점) △주거환경(66점) 등의 순이었다.
행복지수는 △연령 △소득 △직업 등 다양한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행복도는 연령이 낮을 수록 높았는데, 20대(70점) 청년층에서 가장 높게 나온 반면 70세 이상(60점) 고령층에서는 다소 낮았다.
소득 관련해서는 월 가구소득 기준 500만원대까지는 소득이 증가할 수록 행복도도 뚜렷하게 높아졌지만, 이후부터는 소득이 높더라도 행복지수가 향상되지 않았다(72~77점). 이는 소득이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행복감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과 일치한다.
직업별로는 학생(73점)과 화이트칼라(71점) 종사자에서 높은 반면 블루칼라(62점), 무직/퇴직자(61점)의 행복도는 다소 낮았다.
행복도는 가족 구성원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2세대가구(69점) 및 3세대가구(70점) 대비 최근 비약적으로 늘어나는 1인가구의 행복감이 59점으로 저조했다. 또 미혼자(66점)보다 기혼자(68점)의 행복도가, 자녀가 없는 경우(64점)보다 자녀가 있는 응답자(67점)의 행복도가 약간씩 높았다.
현재 가장 큰 고민거리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도민들은 ‘경제적 어려움’(24%)을 높게 꼽았다. 특히 이를 호소한 응답자의 행복지수가 55점에 불과해, 행복도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곽윤석 경기도 홍보기획관은 “이번 조사는 국제적으로 활발히 연구되는 의제인 행복감을 체계적으로 살펴봤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행복감이 낮은 저소득층, 블루칼라 종사자, 1인가구, 고령층의 행복지수가 향상되도록 복지․일자리 등 역점정책 추진 시 본 조사결과를 중요하게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월 15~16일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jungw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