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베트남

속보

더보기

Z세대, 베트남 기업인을 버블티 시장으로 이끌다

기사입력 : 2019년01월23일 14:00

최종수정 : 2019년05월26일 15:23

“버블티 매장 방문은 여가 활동”

 [호치민 = 뉴스핌] 민석기 통신원 = 호치민 시내(1군)의 스카이라인을 돋보이게 하는 고층 빌딩인 ‘비텍스코(Bitexco)’ 타워. 그 아래의 보행자 전용 구역을 가로 지르는 도로가 ‘응오 득 께(Ngo Duc Ke)’ 거리인데, 호치민 젊은이들 사이에서 ‘버블 루트(bubble route)’로 불린다.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있는 음식 및 음료 모바일 앱인 푸디(Foody)에서 버블티를 검색하면 호치민시에서 약 1300개가 뜨는데, Ngo Duc Ke의 100m 거리엔 10개의 버블티 전문점이 줄 지어 있다. 물론 옆에 있는 수많은 일반 카페에서도 버블티를 메뉴에 추가해 팔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차가운 버블티를 들고 근처 상점에서 쇼핑하거나 보행자 구역에서 노는 모습을 늘상 볼 수 있다. 이 일대 상가 임대료가 최근 1년 새 두 배 이상 뛴 이유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1980년대 대만에서 시작된 버블티는 2000년대 베트남 고객들에게 처음 소개됐다. 대만과 홍콩, 태국, 일본, 싱가포르의 외국 브랜드가 프랜차이즈 진출을 통해 베트남 시장에 뛰어들면서 버블티 열풍이 이어지고 있다.

버블티 [사진= 로이터 뉴스핌]

23일 베트남 중소기업협회(Vietnam Associ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에 따르면, 베트남의 버블티 매장 수는 2018년 2000개를 웃돌았으며, 4일마다 새로운 매장이 문을 연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브랜드 TocoToco는 2013년에 첫 번째 버블티 아울렛을 오픈했으며 현재 전국에 걸쳐 200개가 넘고, 대만 브랜드 Ding Tea도 약 200개의 매장을 열었다.

현재 약 30개의 주요 버블티 브랜드가 베트남에서 운영되고 있는데, 영국 시장조사 전문회사인 Euromonitor International은 “그들이 2억 8200만 달러 규모의 시장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Ngo Duc Ke 거리에서 만난 20대 남성 남 트란(Nam Tran)은 “우리는 버블티가 히트곡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자주 먹다보니 일상적인 습관이 되었다”고 가볍게 말했다. 이처럼 연간 평균소득이 아직 3000달러가 안되는 베트남 사람이 버블티 한잔에 6만동(VND, 약 2.5달러)의 돈을 기꺼이 지불하는 것에 대해 ‘Z세대(Generation Z)’의 특징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베트남언론 VNEXPRESS도 “Z세대가 베트남 기업가들을 버블티 시장으로 이끌고 있다”는 분석 기사를 내놨다. 그러면서 “베트남 기업가들은 가구 및 브랜드 프랜차이즈 수수료를 포함해 한 매장을 오픈하는 데 4만 3000달러 정도의 투자를 기꺼이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Z세대는 일반적으로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출생한 세대로,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엄 세대를 뒤잇는 세대를 말한다.

이 Z세대는 유년 시절부터 인터넷 등의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세대답게 신기술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이를 소비활동에도 적극 활용한다. 단적인 예로 옷이나 신발, 책, 음반은 물론 게임기 등 전자기기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모두 50%를 넘는다. 예전의 X, Y세대가 이상주의적인 반면 Z세대는 개인적이고 독립적이며, 경제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등 이전 세대와 다른 소비패턴을 보인다.

호치민 호아 센 대학(Hoa Sen University)의 심리학 강사인 판 투엉 엔(Phan Tuong Yen)은 지난해 VNEXPRESS와 인터뷰하면서 “기존의 부모와 자녀 사이의 세대 간 격차가 아니라, 개인적인 가치의 충돌이 벌어지고 있다”며 “Z세대는 버블티를 부의 일부라고 느끼는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베트남도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은 ‘도이 모이’의 경제개혁 전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기에 자라 났으며 서구 문화의 강력한 물결과 인터넷의 가치를 느끼며 성장했다. 나아가 199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경제적 붐과 함께 자유와 개성 그리고 권리에 대한 개념에 뒤이어 더 나은 삶의 기준을 중시한다.

Z세대 수요시장 조사에 적극적인 닐슨(Nielsen)은 “버블티 가게 방문은 Z세대의 가장 인기있는 여가 활동 중 하나”라고 규정했다.

지난해 10월 하노이와 호치민시 210명의 Z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버블티 매장을 가장 좋아하는 숍이라고 말했다. 브랜딩 전략 컨설턴트이자 마케팅 멘토인 보 반 꽝(Vo Van Quang)은 “대부분의 15세 소녀는 커피를 마시지 않아도 기꺼이 버블티 한 잔에 대해선 돈을 지불하고 있다”고 했다.

[호치민=뉴스핌] 민석기 통신원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딥시크 부당하게 데이터 수집했을 수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는 중국 딥시크(DeepSeek)가 부당하게 회사의 데이터를 수집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오픈AI는 딥시크가 오픈AI 기술로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해 자체 시스템에 비슷한 기술을 훈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I 업계에서 훈련에 사용되는 디스틸레이션(distillation) 기법은 흔하지만, 오픈AI는 서비스 약관에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오픈AI의 시스템이 생성해 낸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픈AI의 리즈 부르주아 대변인은 NYT에 보내 이메일에서 "우리는 중국의 조직들이 미국 AI 모델을 복제하기 위해 디스틸레이션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한 방법을 사용해 활발히 작업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딥시크가 부적절하게 우리 모델을 디스틸레이션 했다는 징조를 검토하고 있고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면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지난주 R1 모델을 내놓으며 전 세계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믿어온 실리콘밸리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는 R1 모델 개발에 단 2개월의 시간과 600만 달러 미만의 자금이 소요됐다고 밝히며 그동안 실리콘밸리의 천문학적인 투자를 무색하게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개발이 긍정적이라면서도 미국 기업들에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 이날 상원 인사청문회에 나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딥시크가 도난당한 미국 기술과 첨단 미국 반도체를 활용해 저렴하게 강력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면서 미국이 AI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에 대한 미국 표준과 유사하게 글로벌 표준을 창출하기 위한 모델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픈AI 챗GPT와 딥시크.[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1.28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1-30 03:07
사진
여야, 설 이후 전력망법 등 입법 본격화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설 연휴 이후 국회의 민생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우선 여야는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포함한 주요 에너지·산업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여객기 참사 특위)'와 국정협의회 등도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다사다난했던 2024년 갑진년(甲辰年)이 저물고 있다. '푸른 용의 해' 우리는 더 높게 비상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랐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4·10 총선 결과로 22대 국회의 '여소야대' 국면부터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등 물가 상승까지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까지 쉴 틈 없는 아픔의 연속이었다. 다가오는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기운으로 우리 모두가 꺾이지 않고 희망의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본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서울달에서 바라본 국회 모습. 2024.12.31 mironj19@newspim.com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만나 '첨단산업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해상풍력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처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회동을 마친 뒤 "지난해 11월에 합의했던 법안이 있다"며 "처리하기로 합의했던 법안 63건 중 본회의에서 통과된 게 24건이고, 나머지 법안 39건은 아마 더불어민주당도 합의 처리하는 데 특별한 그것(이견)은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전력망 구축 사업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던 해상풍력 사업을 정부 주도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고준위 방폐장법은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폐기물(사용후핵연료)을 영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다만 에너지 3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불리는 반도체산업 특별법은 '주52시간 근무제 예외(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조항'을 두고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예외 조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다음 달 초 토론회를 열고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국회 특별위원회도 활동을 이어간다. 여객기 참사 특위는 오는 2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현안 질의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여야는 국정협의회 가동을 위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정 혼란 수습을 위해 마련된 국정협의회는 지난 9일 첫 실무회의를 열고 참석자 및 공식 명칭 등을 확정했다. 협의회 참석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 4명이다. 그러나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협의회는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양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정협의회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여야가 설 이후 본격적인 민생 행보에 나설 경우 협의회 가동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회-정부-국정협의체 실무협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실무협의에는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2025.01.09 pangbin@newspim.com rkgml925@newspim.com 2025-01-29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