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란 편집위원= 미술가 우향 박래현(1920~1976)은 ‘한국화의 거장’ 운보 김기창(1914~2001)의 아내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고 보면 운보의 아내라는 점을 뛰어넘어, 탁월한 역량을 지닌 화가로서 적지 않은 걸작들을 남겼다. 또 고루한 동양화단의 관습을 깨고, 추상적 동양화의 세계를 누구 보다 앞장서 개척한 선구자이기도 하다. 1956년 ‘국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노점' 등 일련의 작품은 우리 회화사에 남을 수작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남편의 명성에 가려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측면이 있다. 운보 또한 생전에 “우향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소회를 밝힌 바 있다.
우향 박래현 ‘바다의 현상’. 1971. 에칭. 38 x 44cm. 청작화랑 |
일본의 동경여자미술학교를 졸업한 재원이었던 우향은 운보의 열정과 작품에 반해 결혼했다. 당시 일본 유학까지 다녀온 신여성이 초등학교만 졸업한 가난한 화가에게 먼저 청혼을 해 결혼에 골인하자,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운보는 지독한 가난과 청각장애를 딛고,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상하며 작가로서 이름을 떨쳤다. 두 사람은 “각자의 예술세계를 인정하되, 간섭은 하지말자”며 해방 이듬해인 1946년 결혼식을 올렸다. 생전에 금슬이 좋았던 두 사람은 부부전도 자주 열며 서로의 작업을 독려했다.
우향은 쉰을 바라보던 1969년, 홀로 미국 유학을 떠났다. 49세라는 적지 않은 나이였지만 "보다 넓은 세계에서 원없이 작업하고 싶다"며 뉴욕 프랫인스티튜트 부설 프랫그래픽센터와 봅 블랙번 판화연구소에서 새로운 동판화 작업에 도전했다.
우향 박래현 ‘근원 A’._에칭, 메조틴트, 포토에칭. 37 x 51cm 청작화랑 |
동판을 긁고 파서, 파랑 노랑 빨강 등 오방색을 입혀 환상적인 추상판화를 시도한 것이다. 에칭, 메조틴트 등 동판화의 여러 기법을 넘나들며 거친 질감의 멧방석을 형상화하기도 하고, 나무등걸과 고목의 뿌리, 파도와 너울, 태양 등이 어우러진 작품을 완성했다. 우향의 동판화는 서양의 기법으로 동양적 미감을 독특하면서도 깊이있게 구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74년 간암 판정을 받고,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 우향은 6년간 뉴욕에 머물며 판화와 태피스트리 작업에 몰두했다.
생의 마지막 시기에 열정적으로 제작했던 우향의 판화와 드로잉이 미술팬과 만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신사동의 청작화랑(대표 손성례)은 우향의 `태고`, ‘고담` ‘근원’ 등의 판화 대표작 30점을 모아 작품전을 꾸렸다. 전시작 중에는 이번에 최초로 공개되는 미발표작 판화 15점도 포함됐다. 전시는 오는 9월22일까지 열린다.
art2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