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황수정 기자] 영화가 감독의 예술이라면, 연극은 배우의 예술이다. 연극 '리차드 3세'는, 이 말을 오롯이 느낄 수 있게 한다.
연극 '리차드 3세'는 영국 장미전쟁 시대의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영국의 셰익스피어가 쓴 초기 희곡. 볼품없는 외모와 곱추 등 신체적 불구의 콤플렉스를 가졌지만 뛰어난 언변과 권모술수로 왕좌를 차지한 '리차드 3세'의 권력욕을 그린다.
전쟁이 끝나고 맏형 에드워드의 왕권에 불만을 품은 리차드 3세는 자신의 권력욕을 숨긴 채 왕관을 빼앗기 위해 계략을 세운다. 음모로 둘째 형 클래런스를 죽이고, 이에 충격을 받은 에드워드마저 죽자 조카들과 자신의 반대 세력까지 제거하며 왕위에 오른다. 그야말로 피의 대서사시가 펼쳐진다.
작품은 황정민으로 시작해 황정민으로 끝난다. '리차드 3세'로 분한 황정민은 굽은 등과 뒤틀린 왼팔, 절름발이 등 완벽히 캐릭터와 동화됐다. 어딘가 장치로 고정시킨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공연 내내 등과 팔은 펴지지 않았으며, 걸을 때도 뛸 때도 안쪽으로 돌아간 발과 절뚝이는 걸음걸이는 황정민 그 자체였다.
외면 뿐만이 아니다. 황정민은 때로는 유쾌하게, 때로는 욕망스럽게, 시시각각 변하는 리차드 3세의 비틀어진 야망을 정열적으로 그려낸다. 결핍으로 인한 열등감을 권력욕으로 표출해내는 그는 선과 악의 가치를 흔들고, 점점 극적인 감정으로 휘몰아치며 관객들을 몰입시킨다.
작품의 70~80% 이상 대사량을 소화하는 그는 단 한번도 더듬거리지 않으며 정확한 발음으로 쏟아낸다. 10년 만의 무대 복귀, 원캐스트 열연으로 개막 전부터 화제를 모았던 황정민의 부담과 책임감, 어마어마한 연습량을 가늠케 하는 부분이다.
무엇보다 황정민의 연기가 돋보이는 점은, 악인 리차드 3세의 행동에 개연성을 부과하고 페이소스를 만들었다는 것. "나의 죄를 묻는 그대들의 죄를 묻고자 한다" 소리치는 그의 연기를 보고 있노라면, 어느 누가 떳떳할 수 있을까. 극악무도한 악인이었지만 그 역시도 나약한 양심에 흔들리는 모습을 통해 비현실적인 인물이 오히려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물론, 함께 원캐스트로 출연하는 배우 정웅인, 김여진, 정은혜, 박지연 등의 연기도 빼놓을 수 없다. 정웅인은 에드워드 4세와 스탠리 경의 1인 2역으로 상반된 분위기를 보여주며, 엘리자베스 왕비 역을 맡은 김여진은 권력 다툼으로 희생된 아이들의 죽음에 애절한 모성애를 선보인다. 특히 리차드 3세에 의해 가문이 몰락당하고 미치광이가 된 마가렛 왕비 역의 정은혜는 음향효과가 필요 없을 정도로 목소리 하나 만으로 극의 긴장감을 좌지우지 한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에 대해 어렵거나 난해하다는 선입견은 버려도 좋다. 서재형 연출과 한아름 작가는 최대한 현대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많은 부분을 없애고 추가하면서 배경지식 없이도 극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완성했다. 심플한 무대 장치는 배우들의 연기에 집중하게 만들고, 극 말미에야 드러나는 깊어진 무대는 진한 감정의 여운을 남긴다. 다만 공연 중간 커다란 영상을 활용해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힘든 부분을 표현했는데, 오히려 극의 감정을 깨뜨리는 듯하여 조금은 아쉽다.
연극 '리차드 3세'는 내달 4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공연된다.
[뉴스핌 Newspim] 황수정 기자(hsj1211@newspim.com)·사진 샘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