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고량주의 전설', 애주가들을 사로잡는 중국 10대 백주 브랜드

기사입력 : 2018년02월14일 15:19

최종수정 : 2018년02월14일 15:19

[뉴스핌=이동현기자] 중국에선 ‘관시(關系)’를 유지하기 위해 춘제(春节,음력설)와 같은 명절이나 중요한 기념일에 선물을 보내는 것이 중요한 덕목입니다. 중국에는 “직접 참석할 수 없다면 선물이라도 대신가게 한다(人不露面,以礼物露面)”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그 중 선물 1순위로 거론되는 것은 바로 백주(白酒)! 매년 춘제 시기에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고급 백주가 없어서 못 팔 정도입니다. 무술년 춘제를 맞아 시장조사기관 아이미디어(ii-media)가 선정한 중국 10대 백주(白酒) 브랜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수이징팡<사진=바이두(百度)>

10.수이징팡(水井坊)

쓰촨성 청두(成都)의 명주 수이징팡(水井坊). 청두는 여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온화한 날씨를 갖춘 천혜의 기후조건으로 농업이 오래 전부터 발달했고 양조 문화도 덩달아 꽃 피웠습니다.

수이징팡 양조장은 원,명,청 3대 왕조에 걸쳐 술을 제조해 온 유서 깊은 유적지이기도 합니다. 이 유적지는 지난 1998년 중국 주류업체 취안싱(全興)이 양조장 건설 중 우연히 발견돼 기네스북에 등재됐습니다.

당시 취안싱은 수이징팡 유적의 발굴 결과 발표를 자사의 백주와 함께 공개했습니다. 수백 년간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백주를 생산한 유적에서 양조된 수이징팡은 곧바로 중국인의 주목을 받게 됩니다.

수이징팡(水井坊)은 저온숙성을 통해 제조돼 최고급 술로 은은한 향기가 매력적입니다. 지난 2005년 중국정부 지정 명주로 등록됐습니다. 현재 수이징팡(水井坊) 제조사는 취안싱(全興),텐하오천(天號陳)등 20여 주류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니우란산<사진=바이두(百度)>

9.니우란산(牛欄山)

중국의 유서 깊은 양조 지역 중 하나인 니우란산(牛欄山). 니우란산은 허베이성과 베이징을 대표하는 백주 브랜드입니다.

지난 1952년 허베이성 정부는 니우란산양조장(牛欄山酒廠)을 설립,300여년 역사의 니우란산 백주의 명성을 이어가게 됩니다. 니우란산은 1999년 '중화라오쯔하오(中華老字號)'로 지정됐습니다.

현재 니우란산 제조업체 베이징순신농예(順鑫農業)는 이과두(二鍋頭) 및 백년니우란산(百年牛欄山) 양대 주류를 주축으로 400여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순신농예(順鑫農業,000860.SZ)는 백주 외에도 농산품 판매 및 물류업을 운영하며 지난 1998년 선전거래소에 상장됐습니다.

랑주<사진=바이두(百度)>

 8.랑주(郎酒)

쓰촨성 백주 브랜드 랑주(郎酒). 랑주는 남북조 시기 쓰촨성(四川省) 얼랑진(二郎镇)에서 주민들이 랑천(郎泉)의 물로 술을 빚은 데서 유래됐습니다.   

랑주의 생산지 얼랑진(二郎镇)의 물은 ‘백주의 젖줄’이라고 불리는 츠수이허(赤水河)에서 발원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랑주는 산속에서 흐르는 미네랄이 풍부한 ‘청정수’로 직접 술을 빚어 건강에도 좋은 명주로 명성이 높습니다.

젠난춘<사진=바이두(百度)>

7.젠난춘(剑南春)

당대 시인 이백의 고향 쓰촨성 몐주현(绵竹县)에서 제조되는 명주 젠난춘(剑南春).

젠난춘은 수수, 쌀, 찹쌀, 옥수수, 밀 5개 곡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백주입니다. 대표적인 농향형(濃香型) 백주로서 깊고 풍부한 향이 특징이며 뒷맛이 오래 남습니다.

젠난춘은 지난 2001년 중국 10대 명주로 선정된 후 2006년 중국 상무부로부터 중화라오쯔하오(中華老字號)로 선정되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펀주<사진=바이두(百度)>

6.펀주(汾酒)

펀주는 맑고 순한 청향형(淸香型) 바이주를 대표하는 술로, 산시성 펀양(汾陽)시 싱화춘(杏花村)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싱화춘주(杏花村酒)’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펀주는 1,500년 전 남북조시대부터 유래된 술 제조 방식을 그대로 이어 받은 전통 술로 유명합니다. 유서 깊은 역사의 펀주는 중국 각 지방 명주의 시조(始祖)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펀주의 제조사 산시펀주(山西汾酒,600809.SH)는 지난 1994년 상하이거래소에 상장됐습니다.

구징궁주<사진=바이두(百度)>

5.구징궁주(古井貢酒)

안후이성의 대표명주 구징궁주(古井貢酒). 구징궁주는 조조가 동한(漢) 말 한나라 헌제에게 진상한 안후이성(安徽省) 보저우(亳州)의 구징(古井)이라는 우물에서 채취한 물로 빚은 술인 구온춘주(九醞春酒)에서 유래합니다.

이 백주는 술의 빛깔이 수정처럼 영롱하고 입가에 맴도는 술 맛의 여운이 오래가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구징궁주(000596.SZ)는 지난 1996년 선전거래소에 상장됐습니다. 백주 업체 최초로 A주(내국인 대상)과 B주(외국인 대상)를 모두 발행한 상장사이기도 합니다.

루저우라오자오<사진=바이두(百度)>

4.루저우라오자오(泸州老窖)

'백주의 본산지' 루저우(泸州)산 명주 루저우라오자오(泸州老窖).

루저우라오자오는 농향형 백주로 중국 4대 명주로 꼽히고 있습니다. 오래 전부터 루저우라오자오는 땅굴을 파 숙성을 시킨 백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루저우라오자오의 저장 창고는 중국의 국보로 지정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 백주는 은은한 향을 지니면서도 달콤하고 깔끔한 맛으로 애주가들의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또다른 브랜드 루저우라오자오터취(瀘州老窖特曲, 노주노교특곡)는 오랫동안 항아리에 숙성시켜 깊은 맛과 향을 내는 것으로 명성이 높습니다.  

양허다취<사진=바이두(百度)>

3.양허다취(洋河大曲)

장쑤성(江苏省) 대표 명주 양허다취(洋河大曲). 4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양허다취는 저온의 토굴에서 오랜 시간 발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양허다취는 과음을 해도 다음날 숙취가 없어 뒷맛이 깨끗한 술로 사랑 받고 있습니다.

이 백주의 명칭 중 양허(洋河)는 장쑤성 주요 지역을 관통하는 하천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물산이 풍부해 당나라 시기부터 양조업이 번창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양허다취는 지난 1972년 장쑤성을 대표하는 명주로 지정됐고 중국 명주 품평회에서 3회 연속 최고 품질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우랑예 공장<사진=바이두(百度)>

2.우량예(五糧液)

중국을 대표하는 고급백주의 대명사 우량예(五糧液).밀, 쌀, 옥수수, 수수, 찹쌀 다섯 종류 곡물로 술을 빚기 때문에 우량예(5종+곡물+액체)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

우량예는 특유의 곡물 혼합 방식과 첨가되는 소량의 약재로 인해 독특하고 복합적인 맛을 내는 술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우량예는 지난 1995년 파나마 국제박람회에서 주류부분 금상을 수상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마오타이주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술로 이름을 날리고 있습니다.

마오타이주<사진=바이두(百度)>

1.마오타이주(茅台酒)

중국을 대표하는 명불허전의 명주 마오타이주(茅台酒). 스코틀랜드 위스키, 프랑스 코냑과 더불어 세계 3대 증류주로 유명합니다.

마오타이주는 기원전 135년 한무제가 감미롭다는 말로 칭찬했다고 전해질 만큼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백주입니다. 고량(수수)을 누룩으로9~10개월 동안 여덟 번 발효시키고 아홉 번 증류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또 4년의 숙성기간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맛과 향이 깊고 진합니다. 

마오타이주의 제조사 구이저우마오타이(600519.SH)는 지난 2001년 상하이 증시에 상장됐습니다. 그동안 구이저우마오타이는 A주 종목 중 최고 주가를 기록하는 등 ‘A주 황제주’로서 투자시장에서도 각광을 받아왔습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뉴스핌, AI 기반 맞춤형 MY뉴스 출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매일 쏟아지는 수만 개의 뉴스 중에서 정작 나에게 필요한 뉴스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국내 최초로 AI(인공지능)로 독자에게 뉴스를 추천해주는 'AI MY뉴스'를 11일 본격 출시했다. AI MY뉴스의 핵심은 지능형 구조에 있다. 그동안 미디어는 독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에 의존해 단순히 뉴스를 선별해 제공했다. 그러나 AI MY뉴스는 독자를 이해하고 학습해가며 개인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제공한다. ◆ AI 추천뉴스·글로벌투자·AI 어시스턴트 출시 'AI 추천뉴스'는 독자가 첫 번째 기사를 클릭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기사를 읽을 때마다 AI 시스템이 독자의 취향을 기억하고 분석한다. 경제 뉴스를 자주 읽는 독자라면 점차 반도체, 주식, 부동산 등 세부 관심사까지 파악해 더욱 정확한 뉴스를 추천한다. '모닝 브리핑'과 '런치 브리핑'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맞춤 서비스다. 모닝 브리핑은 AI가 밤새 분석한 전날과 당일 새벽까지의 주요 뉴스를 5~7개 헤드라인으로 정리해 제공한다. 런치 브리핑은 오전 7시부터 정오까지의 뉴스를 공공·정치, 산업시장, 글로벌, 전국 이슈 등 4개 분야로 나눠 각각 5개씩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글로벌 투자' 서비스는 AI MY뉴스의 핵심 콘텐츠다. 뉴스핌 마켓 전문기자들의 고품질 투자분석 'GAM(Global Asset Management)'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글로벌 브리핑'은 미국 증권시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날마다 시장 개요부터 투자자 관점까지 4개 섹션으로 체계화된 분석을 제공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를 별도 추적해 대형 기술주의 시장 영향력을 정밀 분석한다. '파워 특징주 포트폴리오'는 일일 수익률, 변동성, 이동평균 편차 등 핵심 지표를 종합해 수익률 상위 종목을 분석하고, '이 시각 증시 시그널'은 글로벌 이슈를 실시간으로 찾아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정리해 제공한다. '주간 연준 인사이트'는 연방준비위원회 공식 브리핑을 투자자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뉴욕증시 전문가 팁'은 매일 뉴욕 현지 증시 전문가들의 생생한 조언을 5개의 구체적인 팁으로 가공해 전달한다. 이 가운데 '뉴스 종목 추적기'는 전 세계 글로벌 뉴스에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포착한다. S&P500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종목을 각각 5개씩 찾아 구체적인 이유도 내놓는다. 뉴스핌이 새롭게 내놓는 AI MY뉴스 서비스 모습 [자료=뉴스핌DB] 2025.08.08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은 글로벌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와 협력해 생활 밀착형 AI 어시스턴트도 제공한다. '뉴스 전략 24시'는 그동안 축적된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답변과 생활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증시 투자 전략도 함께 제공해준다. '정책 배달 119'는 정부 정책브리핑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상황에 맞는 정책을 찾아 신청 방법까지 안내하는 개인 맞춤형 정책 컨설턴트 역할을 한다. 단순 검색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현실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뉴스핌의 모든 기사는 50개 국어로 번역돼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독자들도 모국어로 한국 뉴스를 접할 수 있다.  ◆ "독자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AI MY뉴스는 정보 홍수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 모두의 삶에 힘이 되는 뉴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회장은 "AI MY뉴스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며 개인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이라며 "AI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AI로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모두가 제한 없이 무료 서비스를 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번 AI MY뉴스 서비스는 첫 버전(V 1.0)이다. 우선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뉴스핌은 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 수요를 직접 파악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분야별 독자들의 성향을 파악해 다양한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받아 매월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이미 서비스에 나선 AI 아나운서 글로벌 투자 콘텐츠는 물론, 다양한 영상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뉴스핌은 국내를 뛰어넘어 세계 시장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글로벌 뉴스통신사로 도약하는 데 속도를 낼 예정이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11 12:54
사진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21일부터 처방 가능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한국릴리가 비만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를 14일 국내 출시했다고 밝혔다. 릴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한 도매 업체는 오는 20일부터 마운자로의 유통을 시작할 예정이다. 빠르면 21일부터 각 의료기관에서 처방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로고=마운자로] 다만 상급 종합병원의 경우 각 기관의 약사위원회(DC)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한국릴리 측은 "마운자로를 필요로 하는 국내 2형 당뇨병 및 비만 환자 분들께 치료제를 가장 빠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ykim@newspim.com 2025-08-14 14:3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