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가상화폐의 '큰손' 중국 블록체인 벤처펀드, 그들이 주목한 가상화폐

기사입력 : 2018년02월02일 09:43

최종수정 : 2018년02월02일 10:17

지난해 신규설립 VC중 20%가 블록체인투자 전문사
인블록체인 한국 블록체인 컴퍼니빌더 등에 투자

[편집자] 이 기사는 2월 1일 오후 5시3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분야에서 중국은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가상화폐 상당수가 중국과 싱가포르 등 중화권에서 출시된 것이고, 블록체인 분야에서도 중국 기업의 부상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

세계적인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열풍 속에서 중국의 투자시장도 들썩이고 있다. 이 분야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탈이 급증하면서 중국의 거대 자본이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도 확대될 전망이다.

2017년 중국에서 새로 설립된 벤처캐피탈(VC) 46개 가운데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분야에 전문적으로 투자하거나 관련 산업에 자금을 투입하는 VC는 9개사다. 지난해 신규로 설립된 VC 중 20%가 블록체인 분야를 주목하고 있는 것.

특히 지난해 유동성 위축으로 투자금 유치에 난항을 겪었던 VC들이 블록체인을 돌파구로 삼으려는 분위기가 확대되면서 이 분야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사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투자업계는 과거 모바일 인터넷 열풍 속에 신규 대형 자본이 탄생했듯, 블록체인 산업 성장과 함께 새로운 VC 강자가 생겨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 세계 가상화폐 투자자와 블록체인 산업 관계자들도 중국 투자자금 확대에 주목할 수 밖에 없다. 중국의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프로젝트 정보에 밝은 이들 대형 자금의 향방이 향후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들의 행보가 가상화폐 투자의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전문 투자사로 입지를 굳혔거나 주목을 받고 있는 벤처캐피탈과 그들이 주목하고 있는 투자 상품을 소개한다.  

 1. 체인펀더(ChainFunder)

중국의 유명 디지털자산 투자자 장인하이(張銀海)가 설립했다. 장인하이는 중국 리플코인 거래소 XPR차이나의 설립자다.

체인펀더는 엔젤투자 등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초기 투자에 집중해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

유명 가상화폐인 바이텀 코인(bytom BTM), 델피 코인(Delphy DPY), 프리마스(Primas), 탈중심화 거래소 싸이벡스(Cybex), 싱가포르 회사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비체인(Vechain), 해킹 방지와 거래 비용 감소 기능의 가상화폐 탈중앙화 가상화폐 프로토콜 루프링(Loopring) 등에 투자했다.

상기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관련 기술은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가상화폐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2. 인블록체인(INBlockchain)

중국 최대 규모 비트코인 투자자 리샤오라이(李笑來)가 본인이 설립한 가상화폐 거래소 윈비왕(雲幣網) 수석 운영자 출신 라오먀오(老猫)와 함께 설립한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다. 

인블록체인은 이미 '중국판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퀀텀(QTUM 큐텀), 블록체인 기반 SNS 스팀(Steem), 가상화폐 이오스(EOS) 등에 세계적인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했다.

한국 최초의 블록체인 컴퍼니빌더인 체인파트너스에도 투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3. 디펀드(DFUND)

디지털자산 전문가로 불리는 자오둥(趙東)이 설립한 블록체인 투자 전문펀드다. 자오둥은 중국 최초의 비트코인 부호로 불리는 리샤오라이와 함께 중국 가상화폐 투자 업계의 대부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그는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던 2013년 비트코인에 대거 투자해 막대한 차익을 실현했다. 자오둥이 2013년 보유한 2000개 비트코인의 가치는 당시에도 1300만 위안(약 22억 원)에 달했다.

자오둥은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전문인력 팀을 통해 유망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올해 1월 첫 번째 투자 프로젝트의 비트코인 기준 순 수익률은 620%에 달했다. 이를 미국 달러 기준 현금화하면 수익률이 2543%에 이른다.

디펀드가 투자한 프로젝트는 티엔비코인, 캐시코인(QASH) 등이 있다.

4. 핀테크블록체인그룹(FBG)

FBG는 중국 최대 규모 암호화화폐 헤지펀드와 벤처캐피탈로 꼽힌다. 창업자인 저우숴지(周碩基)는 중국에서도 가장 먼저 블록체인 분야에 눈뜬 선구자다.

저우숴지는 아시아 지역에서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 투자자로 알려져있다.

윙스다오(WINGS), 밴커(Bancor), 코인대시(Coindash), 애터니티(Aeternity), 엘프(aelf) 등 가상화폐 시장에서 높은 전망성을 인정받고 있는 프로젝트에 다수 투자했다.

5. 펀부스캐피탈(分佈式資本 FENBUSHI CAPITAL)

펀부스캐피탈은 중국 최초의 블록체인 투자전문 회사다.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중국의 유명 자산관리회사 보세라(博士)펀드 창업자 출신인 샤오펑(肖風), 2014년 스팀코인 개발진이 참여해 런칭한 비트쉐어의 개발자 출신 선보(沈波) 그리고 이더리움의 개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공동으로 설립했다. 펀부스캐피탈은 중국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분야에서 이미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유력 자본으로 성장했다. 

6. 촹스쯔번(創世資本)

주화이양(朱懷陽) 등 전문 투자자들이 공동으로 설립한 벤처캐피탈이다. 블록체인 분야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으며, 장기투자를 통한 기업 인큐베이팅에 힘쓰고 있다. 지난 17년 간 투자수익률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7. 롄제쯔본(連接資本 Linkvc)

투자전문가 린자펑(林嘉鵬)이 이끄는 투자팀으로, 블록체인·디지털 화폐·핀테크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블록체인 분야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모두 35개가 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했다.

8. 프리앵글(PreAngle)

중국의 유명 엔젤투자자 왕리제(王利杰)가 세운 벤처캐피탈 중 하나다. 왕리제는 현재 6개의 VC를 통해 6억 위안 이상의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

주로 중국과 미국 지역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고, 모바일 인터넷·바이오 헬스·금융 보험과 블록체인 등 300여 개 국내외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그가 이끄는 VC 중 하나인 프리앵글은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자본으로 중국과 유럽 등지에서 활발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