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금융

속보

더보기

[가상화폐] "비트코인, 된다 vs 안 된다"…미국 찬반 '격렬'

기사입력 : 2018년01월11일 11:40

최종수정 : 2018년01월24일 15:51

"비트코인, 올해 2배 오른다"…"사기 발언 후회"
"비트코인, 달러 적수 못 된다"…"투자 절대 안 해"
"리플코인, 가상화폐의 미래"…"일부 알트코인 사라져야"

[뉴스핌=김성수 기자] 전세계적으로 가상화폐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우리나라에서는 길 가다가 비트코인에 대해 열띤 대화를 나누는 사람들을 보는 게 흔한 광경이 된지 오래다.

미국에서도 미국 통화 당국자와 투자전문가,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등 금융계 '오피니언 리더'라고 불리는 전문가들의 비트코인에 대한 발언이 각양각색이다.

◆ "비트코인, 올해 2배 오른다"…"사기 발언 후회"

투자은행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톰 리 공동설립자는 올해 안에 가상화폐 비트코인 가치가 2배에서 최대 3배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작년 8월 비트코인 가격이 연말까지 1만달러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해 주목받은 바 있다.

톰 리는 "금 시장참가자 중 5%만 비트코인에 투자해도 가격이 5만달러가 된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에서 2배 오르는 셈"이라며 "위험부담을 감안해도 비트코인이 올해에도 스탠다드앤푸어스(S&P)지수 투자수익률을 월등히 앞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은 안전자산인 금을 대체하거나 가치저장 수단으로 인정받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사진=블룸버그>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힘을 인정하면서 자신의 판단을 수정하는 전문가도 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간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비트코인을 '사기'라고 비난했던 과거 발언을 후회한다고 밝혔다.

다이먼 CEO는 "블록체인은 현실이고, 암호화된 엔화와 달러 등도 사용할 수 있다"며 "과거 비트코인은 사기라고 말한 것을 후회한다"고 말했다.

앞서 다이먼은 지난해 9월 "비트코인 거품은 곧 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비트코인을 사는 사람들을 '멍청이'"라고 비난하며 "나는 비트코인에 절대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비트코인, 달러 적수 못 된다"…"투자 절대 안 해"

다만 미국 통화정책 관련자 등 보수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은 비트코인의 미래를 낙관하지 않고 있다.

닐 카시카리 미국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지위를 넘보지는 못한다는 입장이다.

카시카리 총재는 "가상화폐들은 서로에게 위협이 될 수 있겠지만, 달러에 대해서는 믿을만한 경쟁자가 되지 못한다"며 "코인을 만들 경우 다른 코인에 대해 진입장벽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채굴될 가상화폐는 앞으로도 많을 것"이라며 "그 모든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화폐)들이 뒤죽박죽 되면 어떤 코인을 신뢰해야 할지 알 수 없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비트코인 열기에 대해 비트코인 등 다른 암호통화들이 향후 전 세계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여전히 의문이 있다고 판단했다.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사진=AP/뉴시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도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의 장래가 어둡다고 판단했다.

버핏은 "가상화폐는 결말이 안 좋을 것이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며 "가상화폐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5년짜리 풋옵션이 만약에 있다면 기쁜 마음으로 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비트코인 선물을 매도(숏)하지 않을 것"이라며 "절대로 포지션을 갖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존재하지 않는 비트코인 옵션을 가정해서 풋옵션이 있으면 사겠다고 했지만, 결국 선물 등 모든 비트코인 관련 투자 자산에 대해 일체 포지션을 갖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 "리플코인, 가상화폐의 미래"…"일부 알트코인 사라져야"

비트코인이 아닌 다른 가상화폐에서 돌파구를 찾자는 의견도 있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최고경영자(CEO)는 "리플코인(XRP)은 가상화폐의 미래"라고 밝혔다.

갈링하우스는 초기의 비트코인은 정부 및 은행을 타도하는 것이 거의 주 목표였던 것과 달리 "우리는 기존 통화 시스템과 적극적으로 협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심한 규정을 갖추고 정부와 협업함으로써 우리는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과도 함께 일하게 됐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및 연준의 지급결제 대책위원회(taskforce)와도 작업이 끝났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나 은행은 사라지지 않는다"며 "기존 시스템과 협업하면서 전세계 자금 이동 방법에 대한 마찰을 줄이고 시스템을 개선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일부 알트코인들이 사라지고 나면 가상화폐 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찰스 호스킨슨 IOHK 최고경영자(CEO)는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들 일부가 실패를 맛봐야만 시장이 정리될 것"이라며 "그 후 가상화폐 시장은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핵심 개발자이자 현재 가상화폐 글로벌 시가총액 5위를 차지하고 있는 카르다노(Cardano) 개발자다.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