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알파고 게 섰거라', AI바둑천하 텐센트 '줴이' 돌풍

기사입력 : 2017년03월20일 11:06

최종수정 : 2017년03월20일 16:31

UEC배 컴퓨터 바둑대회서 日 딥젠고 꺾고 우승
바둑강호 중국, AI 바둑도 최강자 향해 돌진

[뉴스핌=홍성현 기자] 텐센트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 줴이(絕藝)가 돌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탄생 1주년도 되지 않아 세계 최대 인공지능 바둑대회에서 승리를 거머쥐었다. 지난해 알파고-이세돌 간 세기의 대결로 인공지능 바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인간계’ 바둑 강호 중국이 ‘인공지능’ 바둑대전에서도 무서운 상승세로 올라서고 있다.

줴이(絕藝)와 딥젠고(DeepZenGo)의 대국 장면 <사진=바이두>

1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0회 UEC배 컴퓨터 바둑대회’ 결승전, 중국의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 줴이가 일본의 딥젠고(DeepZenGo)를 누르고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줴이는 이번 대회에서 ‘11연승 무패행진’이라는 저력을 과시했다. 알파고가 불참한 바둑 천하에서 인공지능 최강자는 중국의 줴이였다.

줴이는 중국 IT기업 텐센트(騰訊)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이다. 세상에 나온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줴이는 최근 세계 바둑계에서 무섭게 성장하는 신예로 주목 받고 있다.

영문 이름은 파인아트(FineArt), 줴이라는 이름은 당나라 시인 두목(杜牧)의 시구에서 따왔다.

줴이의 탄생 배경은 2016년 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텐센트 야오싱(姚星) 부총재는 “’바둑’이 안되면 ‘장기’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라도 만들어라”는 지령을 내린다.

2개월 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로 세상이 떠들썩할 즈음, 텐센트는 바둑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하고 전담 연구팀을 꾸렸다. 텐센트는 이 프로젝트에 1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고 전해진다.

2016년 8월, 텐센트의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은 ‘후후유성치(虎虎有生氣)’라는 아이디(ID)로 예후바둑(野狐 텐센트 산하 바둑 대국 사이트)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8월 23일 최초로 프로 바둑 기사를 꺾은 줴이는 성장기 아이처럼 하루가 다르게 폭풍성장했다.

11월 1일, 아이디 ‘줴이’가 예후바둑에 정식 등판, 이튿날 줴이는 중국의 유명 바둑기사 장웨이제(江維傑, ID: 뤄수이윈한 若水雲寒)에게 첫 승을 거둔다.

이후 줴이의 승승장구 행보가 펼쳐진다. 글로벌 최강자 커제(柯潔)와의 대국에서 1승1패, 한국 바둑 최강자 박정환(朴廷桓) 9단과의 대결에서는 5:1 대승을 거둔다. 2017년 2월 14일 이후, 줴이는 글로벌 바둑기사와의 대결에서 90% 이상의 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텐센트 인공지능 연구소(Tencent AI Lab) 관계자는 줴이가 놀랄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6월 말에 아마추어 강자를 꺾고, 8월 초 프로 초단 기사를 누르고, 11월에 프로 9단 기사에게서 승리를 거뒀다”는 것.

2016년 4월 텐센트가 만든 인공지능 연구소는 50여명의 인공지능 전문가와 200여명의 엔지니어로 구성돼 있다. 텐센트는 인공지능 기술의 4대 응용분야를 콘텐츠, SNS, 게임, 플랫폼으로 설정하고 연구에 매진, 텐센트 AI 포석을 넓혀가고 있다.

텐센트 야오싱 부총재는“텐센트 인공지능 연구소의 비전은 인공지능이 도처에 응용되는 세상을 만드는 것(Make AI Everywhere)”이라며, “향후 줴이의 기술 혁신에 관련한 세부 사항을 문서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UEC배 컴퓨터 바둑대회: 2007년부터 일본 전기통신대학(UEC)가 주최하는 세계 최대 컴퓨터 바둑 대회로 매년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바둑 고수들이 참가한다. 기존 우승자로는 일본의 딥젠고(DeepZenGo), 프랑스의 크레이지 스톤(Crazy Stone), 미국 페이스북이 개발한 다크 포레스트(Dark Forest) 등이 있으며, 한국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돌바람은 지난 2015년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텐센트 인공지능 연구소(Tencent AI Lab) 이미지 <사진=바이두>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