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지완 기자] IBK투자증권이 코스피200지수에서 삼성전자의 비중이 3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최근 한국거래소(KRX)가 삼성전자의 비중이 더 확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수 산정방식을 변경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 아울러 지주사 전환체제 등으로 삼성전자의 분할을 놓고는 준비가 미비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 |
지난달 23일 한국거래소는 코스피200지수가 글로벌표준방식의 산업분류(GISC, The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방식이 적용되면, 코스피200지수의 선정기준에서 누적시가총액은 기준 70%에서 80%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결국 시가총액 큰 종목이 코스피200의 구성비중이 확대될 수 있다는 예기다.
17일 이중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16일 종가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코스피200지수 구성 비중이 28.27%를 기록해 30%에 육박하는 수준을 나타냈다"면서 "이같은 삼성전자의 비중 확대는 시가총액 방식의 지수계산이 한계를 노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2007년 핀란드 헬싱키증시에서 노키아가 전체 시장 시총의 70%를 차지했던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향후 대책이 미비한 것을 놓고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연구원은 "문제는 차후 시장에 발생할 종목분할, 기타 구성종목 이벤트에 대한 기준 변경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면서 "현재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분할과 관련된 대규모 스위칭 우려가 매우 큰 상황이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뉴스핌 Newspim] 김지완 기자 (swiss2pa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