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기업문화 조사결과 낙제점 수준, 상하·수평 소통 안돼
[뉴스핌=황세준 기자] 직장인 열에 아홉은 회의에 대해 '불필요', '상명하달', '강압', '결론없음’ 등 부정적인 단어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국내 상장사 소속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회의문화 실태와 개선해법'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그래픽=대한상의> |
보고서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회의문화에 매긴 점수는 100점 만점에 45점이었다. 구체적으로 회의 효율성은 38점, 소통 수준은 44점, 성과점수는 51점이었다.
특히 ‘과연 필요한 회의라서 하는 것인가’ 라는 질문과 ‘회의시 상하소통은 잘 되는가'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는 긍정 응답은 각각 31.6%와 26.4%에 그쳤다.
직장인들은 1주에 평균 3.7회, 매번 평균 51분씩 회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 연관 단어로는 ‘자유로움, 창의적’과 같은 긍정어가 9.9%에 그친 반면 ‘상명하달, 강압적, 불필요함, 결론없음’ 등 부정어가 91.1%였다.
회의가 불필요하다고 느낀 이유는 ‘단순 업무점검 및 정보공유 목적이라서’(32.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일방적 지시 위주라서’(29.3%), ‘목적이 불분명해서’(24.7%), ‘시간낭비가 많아서’(13.1%) 순이었다.
이른바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어. 너는 대답만 해)식 회의도 문제로 지적됐다. 직장인들은 상사가 발언을 독점하느냐는 질문에 61.6%가, 상사의 의견대로 결론이 정해지느냐는 질문에 75.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또 실제로 직장인들은 지난 1주일간 참석한 회의 중 3분의 1을 거의 발언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발언을 했을 때도 가진 생각의 29.4%만 표현했다고 응답했다.
대기업 A부장은 “리더가 침묵을 유발한다고 하지만 직원들도 얼마나 열정을 가지고 임하고 있는지도 되돌아 보았으면 한다”며 “고민도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니 리더가 발언을 독점하고 독단적으로 되는 경향도 있다”고 전했다.
<자료=대한상의> |
대한상의는 “한국기업에 답정너 회의가 많은 가장 큰 원인은 리더들이 과거의 성공경험에 확신을 갖고 회의에 임하기 때문”이라며 "주어진 목표의 신속한 달성이 중요했던 과거와 달리외국기업 리더들처럼 열린 마음을 갖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의견을 촉진하는 회의리더십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동료 간 수평적 소통도 원활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의 참석자 간 신뢰 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내가 어떤 의견을 내도 동료들이 존중해 줄 것을 믿는냐’는 질문에 43.3%의 직장인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반대 의견을 개인에 대한 반감으로 인식하거나 업무 떠넘기기로 오해받을까봐 발언을 자제하는 경향이 보인다”며 “조직 구성원간의 낮은 신뢰도 역시 침묵의 회의를 부채질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성과 없이 끝나는 회의도 많았다. ‘명확한 결론없이 끝나는 회의’가 55.2%였고 결론이 나도 최적의 결론이 아닌 경우도 42.1%였다.
최적 결론이 아닌 이유로는 ‘회의 주재자 위주로 결론이 나서’(29.9%), ‘부서간 떠넘기기’(28.7%), ‘어차피 바뀔테니 대충대충 결정’(21.9%), ‘CEO 의중 미리 고려해 결정’(19.5%) 등이 꼽혔다.
대한상의는 기업들이 최근 회의문화 개선을 위해 회의 없는 날, 회의시간 통제, 1인 1발언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근본해법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과학적 업무 프로세스, 상사의 귄위적 리더십, 직원의 수동적 팔로워십, 토론에 익숙치 않은 사회문화 등의 4대 근인 해결을 강조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부정적 회의문화 때문에 회의가 가진 긍정적 기능, 즉 조직원의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한 곳에 모으고 혁신을 도출하는 것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회의문화를 만드는데 기업들이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자료=대한상의> |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