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위 20% 가계소득 격차 4.5배로 확대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지난해 가난한 가구의 소득은 줄어든 반면 부자 가구의 소득은 더욱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이후 소득양극화가 가장 심해졌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가계소득은 439만9000원으로 전년대비 0.6% 증가하는데 그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1.0%)을 감안하면 실질소득은 0.4% 줄어든 셈이다.
특히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 저소득층 소득 5.6% 감소…고소득층 2.1% 증가
실제로 저소득층인 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44만7000원으로 전년대비 5.6% 줄었다.
반면 고소득층인 상위 20%(5분위)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834만8000원으로 전년대비 2.1% 늘었다. 1분위 저소득층과 5분위 고소득층의 소득 차이가 5.7배다.
가구별 1인당 소득을 기준으로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를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도 지난해 4.48배로 전년보다 0.26p 높아졌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 4.8%에서 2012년 4.69%, 2013년 4.55%, 2014년 4.45%, 2015년 4.22%까지 낮아졌다가 지난해 다시 악화됐다(그래프 참고).
![]() |
정부는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감소하고 영세자영업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1분위 저소득층의 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김보경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2014년과 2015년에는 기초연금과 맞춤형 복지로 인해 이전소득이 많이 증가했다"면서 "지난해는 1분위(저소득층)의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감소폭이 커지면서 소득배율이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 일자리 대책 주력…구조조정 업종 지원 확대
이에 정부는 일자리를 확대할 수 있는 대책을 강화하고 구조조정 업종을 지원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우선 17조1000억원 규모의 일자리 예산을 조기에 집행하고 구조조정 업종과 청년 등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준비된 창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영업자를 단계별로 지원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대출에 대한 장기 보증상품을 만들고 보증비율도 85%에서 90%로 상향조정할 방침이다.
긴급복지 대상을 확대하고 근로장려세제 요건을 완화하는 등 저소득층 생계지원을 강화하고 주거비와 교통비 등 핵심생계비 부담을 경감할 계획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비 중심 내수활성화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투자활성화 대책과 일자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