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이탈에도 2016년 3Q 친환경 신소재 IT 인터넷 투자는 증가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8일 오후 4시13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황세원 기자] 중국이 인건비 및 임대료 등 비용 상승으로 외자 유치 매력을 상실한 게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이를 반박하는 자료가 나와 눈길을 끈다. 특히 기술집약형 산업 투자는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2015년 중국 FDI(외국인직접투자)는 6.4%의 증가세를 기록, 개도국 가운데 24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2016년 누적 3분기 FDI 증가율은 4.25%를 기록했으며 신규 투자유치기업 수는 전년동기대비 12.2% 증가한 2만1292개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광둥(廣東), 저장(浙江)성의 자금 유치 규모가 컸다.
광둥성은 최근 몇 년간 무역 편리화 수준이 크게 제고되며 중국 최고 인기 투자대상지역으로 부상했다. 특히 광둥자유무역구(廣東自貿區)는 2014년 12월 설립이래 2년간 3000여개의 외국계 기업을 새로 유치했다. 이 중 홍콩 및 마카오자본 기반 신규 입주기업은 2015년 기준 2507개로 전체 87%에 달했다.
저장성의 외자 유입세도 두드러졌다. 중국 유력 경제 매체 왕이차이징(網易材經)은 “올해 누적3분기 저장성 신규 투자유치액은 122억7000만달러(약 13조9000억원)로 연간목표치의 76.7%를 이미 달성했다”며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된다면 목표치 이상도 수월하게 달성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올해 1~9월 저장성 신규 투자유치 외자기업은 1475개다.
특히 저장성 내 외국계기업 추진 프로젝트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1~9월 기준 총투자액 1억달러 이상 신규프로젝트 수는 42개로 투자액은 전년동기대비 32% 증가한 105억달러를 기록했다. 관련 산업은 친환경에너지, 하이테크기술, 신소재, 사물인터넷, 식품 등이다.
업계 우려를 반영하듯 노동집약형 기업의 ‘탈(脫)중국’현상은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집약형 서비스업의 외자유치 규모는 증가세를 유지하며 대조를 이뤘다.
실제 저장(浙江)성의 경우 첨단서비스업 관련 외자유치 규모 및 프로젝트 수가 전년동기대비 21.7%, 36.7% 증가했다. 첨단서비스업 중에는 금융, 유통, 전력, 전문기술서비스 등 비전통산업이 포함된다. 비중별로 봤을 때도 전체 FDI 중 3차 서비스업 비중이 60%에 육박했다.
지난 9월 발표된 ‘2016년 글로벌투자보고’에서도 중국 서비스업 외자유치 비중은 61%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에 비해 제조업 비중은 31%에 그쳤다.
중국유력경제매체 텅쉰차이징(騰訊材經, 텐센트재경)은 업계 한 전문가 인터뷰를 인용해 “최근 중국 경기 둔화, 인건비 및 임대료 상승 등으로 노동집약형 기업이 ‘너도나도’ 동남아 등 지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는게 사실”이라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대상국”이라고 밝혔다.
이어 매체는 “특히 중국은 인터넷 및 통신 인프라 환경이 양호하고 양질의 인력자원이 풍부해 글로벌 첨단서비스 기업 선호도가 높다"며 "이들 외국자본은 대(對)중국 투자를 오히려 확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실제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사의 연간 중국 투자액은 최소 8억에서 1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로벌 무선통신연구·개발기업 퀄컴도 중국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중상회(中國美國商會)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회원사 중 60% 이상이 ‘중국을 글로벌 3대 투자대상국’으로 생각한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8% 이상 기업은 중국 내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 있다고 답해 중국이 여전히 글로벌기업의 인기 투자대상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