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저금리에 따라 부실확대 수익악화
[편집자] 이 기사는 02월 25일 오후 5시5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백진규 기자] 매년 천문학적인 수익을 거두던 중국 은행들이 불량대출 급증, 예대마진 축소 등으로 앓는 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해외일각에서 중국의 은행 리스크가 제기되고 ‘제 2의 서브프라임 위기’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금융 리스크 경고 발언이 이어지는 와중에 25일 중국 상하이지수가 6.41% 대폭락하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세계적인 저금리 기조, 중국 경기성장세 하락, 정부의 부양정책에 따른 은행영업 압박을 은행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다만 아직은 은행의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되고 있고, 자기자본비율이 높게 유지되는 만큼 단기간에 은행 리스크가 가시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불량대출과 과도한 채권발행으로 리스크 키워
중국 금융당국은 은행의 불량대출 규모가 2015년 말 기준 1조2400억위안(한화 23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2014년 2574억위안이었던 신규 불량대출 규모도 1년새 2배나 증가해 2015년에는 5000억 위안을 돌파한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불량 대출 비율은 약 1.6%정도로 집계됐다.
OECD국가 평균 불량대출 비율이 3.55%인 것을 감안하면 안정적인 수치로 보이지만, 사실 내막을 들여다보면 사정이 다르다는 것이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중국은 국유기업과 정부정책사업 관련 대출은 대출분류등급이 하락하더라고 손실로 잡지 않기 때문에 실제 불량대출 비율은 훨씬 높다는 것.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잠재적인 부실부채 비율을 약 9%로 추산한 바 있고, 하이먼 캐피털의 창립자 카일 배스는 “중국 은행들이 부실 채권으로 10% 가량의 자산 손실을 볼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경제성장률은 꾸준히 하락하고, 급속한 산업 전환기를 맞으면서 석탄 철강 등 전통 굴뚝산업은 생산과잉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마이너스 성장에 주가가 하락하면서 자연스럽게 불량대출도 늘어났다.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이 은행 리스크를 키운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중국 정부당국은 지방정부의 재정부담을 덜기 위해 금리가 낮은 치환채권을 발행해 기존 대출과 채권을 교환하고 있다. 2015년 한해 치환채권 발행 규모는 3조2000억원으로, 지방정부는 2000억위안의 재정 부담을 덜었지만, 그만큼 은행 수익은 줄어들게 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지방채 발행 규모는 6조위안(1100조원)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정부의 금융비용 절감 정책과도 궤를 같이하는 내용으로, 인민은행 등 중국 8개 정부부처는 지난 16일 기업들의 채무부담과 금융서비스 수수료 부담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왕졘(王劍) 중국 동방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몇 년간 은행대출 규모가 과도하게 늘어났지만, 대출을 줄이면 기업경영이 악화되는 진퇴양난의 상황” 이라고 설명했다.
◆ 중국 은행리스크, 근본 원인은 저금리
불과 1, 2년 전까지만 해도 중국 은행들은 높은 예대마진(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액)을 바탕으로 ‘땅짚고 헤엄치기’식 수익을 거둬왔었다.
예전엔 중국인민은행이 상업은행의 1년 대출금리를 6% 예금금리를 3%로 고시하면서 상·하한선을 정해 은행간 과도한 경쟁을 막아왔기 때문이다. 예금고시금리가 3%인 경우, 아무리 고객에게 금리를 많이 주고 싶어도 3.3% 이상의 이자는 줄 수 없는 식이다.
자연스럽게 은행간 경쟁은 줄어들고 영업비용도 크게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 몇 년간 이어졌다. 작년까지만 해도 중국 공상은행의 1년간 영업이익은 6500억위안, 순이익은 2700억위안(51조원)에 달할 정도였다.
중국 21세기경제보도 신문이 발표한 ‘2015년 아시아 은행 경쟁력 순위’ 15위권 안에 중국 은행이 10개, 홍콩은행이 2개가 포함되기도 했다.
하지만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인해 2014년 11월부터 인민은행의 고시금리가 낮아지기 시작했고, 2015년 10월 24일에는 1년 대출금리를 4.35%, 예금금리를 1.50%로 고시했다. 게다가 예금금리의 상한선을 폐지해 사실상 예금금리가 자유화 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와 함께 은행이 시중은행간 콜금리, 채권 등에 주로 투자하는 ‘이재상품’ 수익률도 낮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부터 은행들이 본격적인 금리전쟁을 시작하면서 영업비용은 증가하고, 예대마진은 줄어들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미래 은행위기는 부동산에 있다'는 지적도
중국 은행 위기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대다수 전문가들은 실제로 은행 위기가 가시화 될 가능성은 아직 매우 낮다고 전망했다.
우선 중국 주요 은행들의 자기자본비율(BIS)는 13%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국제 기준 8%를 크게 상회하고, 외환보유고도 3조2000억달러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은행들이 부실대출 처리를 위해 적립하는 대손충당금 비율도 현재 120~150% 수준으로, 예전 300%에 비하면 많이 낮아지긴 했지만 아직은 충분히 확보된 상황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향후 5년 내 대손충당금이 100% 밑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만약 100%밑으로 하락한 후 대규모 대출 부실이 발생하면 고객들의 은행예금도 위험해 질 수 있다.
향후 은행 리스크는 부동산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었다. 은행대출의 20%가 부동산에 노출되어 있는데, 중국 3~4선 도시의 부동산 재고소진 여부에 따라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주가 하락 역시 은행 수익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2539포인트였던 중국증시 상하이지수는 25일 2741포인트까지 하락했다. 전반적인 경기 하락과 함께 은행의 상품운용 실적도 줄어들고, 기업들의 디폴트 사례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