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의 정부조달 규모가 큰 폭으로 확대됐지만, 외국 기업의 납품 규모는 오히려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26일 중국 경제뉴스 포털 텅쉰재경(騰訊財經)에 따르면, 중국은 2015년 정부조달 품목에서 애플 등 외국 IT기업이 제공해오던 물품을 대거 삭제했다.
애플 외에도 미국의 네트워크 장비업체 시스코, 인텔의 보안소프트웨어 맥아피, 네트워크 기술기업 시트릭스 등도 정부조달 품목에서 빠졌다.
2012년 중국 중앙국가기관 정부조달센터(CGPC)가 발표한 조달품목에는 시스코 제품만 60여 개에 달했으나, 2014년 말 조달품목에서 대부분 제외됐다.
중국 정부기관이 구매할 물품을 나열한 조달품목은 최근 2년 새 약 3000여 개에서 5000여 개로 늘어났고, 조달규모도 1조 위안(약 175조 원)대로 증가했다. 그러나 새로 추가된 품목은 대부분 중국 현지 기업의 제품이다.
올해 중국 정부조달 품목에 포함된 외국 IT 기업의 상품수는 최근 2년 동안 1/3일로 줄었고, 이중 보안과 관련된 상품의 '퇴출' 비율이 높았다.
이 같은 결과를 두고 중국과 외국은 상반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중국측은 외국 IT기업의 정부조달 축소는 미국 중앙정보부(CIA) 출신 에드워드 스노든이 폭로한 NSA의 감시활동의 여파라는 해명을 내놨다. 보안을 위한 정당한 선택이라는 것.
실제로 중국 정부는 최근 몇 년 정부조달 품목에서 IBM,오라클,EMC,시스코 등 미국 기업 제품을 위주로 '퇴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외국은 이 같은 중국의 '해명'을 '핑계'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주요 외신은 중국이 국내 기업을 밀어주기 위해 고의적으로 외국 업체를 배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의 이같은 움직임이 중국의 정부조달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나라 기업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박한진 코트라 중국사업단장은 "중국 정부시장이 본격적으로 개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나라엔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2013년 9월 본격적으로 중국 정부조달시장 진출에 나섰다. 당시 코트라와 조달청이 서울 코엑스에서 중국 공공조달플라자와 조달시장진출 설명회를 개최, 우리 기업의 중국 정부 조달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그러나 중국이 정부조달협정(GPA)에 가입하지 않은 상황이고, 자국의 정부조달 시장의 본격적인 개방을 GPA 가입 이후로 미루고 있어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정부조달 시장 진출에 눈에 띄는 성과는 없는 상태다.
이에 대해 박 단장은 "미국 등 반대에 부딪혀 중국의 정부조달협정 가입이 늦어지고 있지만, 중국의 정부조달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시장 개방에 앞서 미리 준비를 한다면 우리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국이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이고 각종 공공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어 이미 이분야에 노하우를 쌓은 우리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중국이 정부 발주 공공 프로젝트 참여 기회의 투명성을 높이고 있고, 중국과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교류도 활발해 지고 있어 정부 사업에서 양국의 협력이 강화될 수 있을 전망이다.
중국의 정부조달 시장에서 지방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90%, 중앙정부는 10% 규모이기 때문에 지방정부 간 교류 강화가 중국 정부조달 시장 진출에 유리하다는 것이 박 단장의 설명이다.
실제로 중국 재정부는 25일 '2015년 정부조달 중점 업무 요강'을 발표하고, 정부조달 입찰 과정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각 지방정부와 협조해 정부조달협정 가입을 위한 준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