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2015 中 자본시장 10대이슈와 테마주(下)

기사입력 : 2014년12월31일 15:27

최종수정 : 2014년12월31일 15:27

T+0복귀 B주개혁가속 금리인하 차스닥전환상장 등 관심

[뉴스핌=조윤선 기자]

◆'T+0'제도 복귀하나

후강퉁 출범은 중국 주식 시장에 큰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오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내년 'T+0'제도의 복귀 여부다.

사실 중국은 주식을 당일 사서 당일 팔 수 있는 'T+0'제도를 예전에 시행한 바 있다.

지난 1992년 12월 24일~1994년 12월 31일 본토 A증시에서 이 제도가 시행됐다. 하지만 당시 자본시장의 감독관리 시스템이 불완전한 탓에 투자 리스크를 우려한 중국 정부는 1995년 1월 1일부터 A주와 펀드 거래에서 'T+0'제도 시행을 중단했다.

전문가들은 후강퉁 시행 등 자본시장 개혁이 가속화됨에 따라 'T+0'제도를 다시 도입할 여건이 무르익고 있다고 진단, 내년 'T+0'제도 복귀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B주 개혁 가속화

후강퉁이 출범하고 중국 자본시장 개혁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외국인 전용주식인 B주 개혁이 내년에는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자본시장이 발전하고 개방 수준이 높아지면서, B주 시장의 자금조달 기능이 약화되고 상장사 주가 상승률도 저조한 모습을 보이며 B주 시장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B주는 중국 경제 발전과 외국자본 유치를 위해 외국인과 기관투자가에게만 거래가 허용됐으나, 2001년 2월부터 부분적으로 내국인 투자를 허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 동안 내국인 투자가 제한된 까닭에 B증시 거래가 매우 부진했으며, 같은 기업이 발행한 주식이라도 B증시에 상장된 주식은 A증시에 비해 주가가 절반을 밑도는 것이 부지기수였다.

특히 후강퉁이 출범하면서 외국인 투자자가 A증시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B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더욱 지지부진해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중국 정부는 지난 5월 '자본시장의 건전한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을 발표, B주 시장 개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2015년 B주 개혁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판단, B주 상장사의 H주 전환상장과 관련한 투자기회에 주목을 것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한 추천주로는 ▲소천아B(小天鵝B·샤오톈어B, 200418.SZ) ▲노봉상B(老鳳祥B·라오펑샹B, 900905.SH) ▲고정공B(古井貢B·구징궁B, 200596.SZ) 등 종목을 제시했다.

◆차스닥 상장폐지 1호 기업 출현 전망

내년 부실 상장기업의 상장폐지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2015년 차스닥 시장 최초 상장폐지 기업이 출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경제전문지 투자쾌보(投資快報)는 사상 최고로 엄격한 상장폐지 제도로 불리는 '상장폐지제도 개혁 개선과 엄격 시행에 관한 의견'이 지난 11월 16일부터 시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천용광전(天龍光電 300029.SZ) ▲보덕고분(寶德股份 300023.SZ) ▲만복생과(萬福生科 300268.SZ) 등 지속적인 적자로 인해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일부 차스닥 상장사들이 내년 증시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중국 증시에서는 상장폐지 요건에 부합하는 종목이 많았지만, 지방정부의 보호 아래 상장폐지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지난 5월 자본시장 발전 및 제도 개선과 관련한 획기적 조치인 '신국 9조'를 발표, 상장기업의 정확한 정보 공시 책임을 강화하고 허위 공시가 밝혀지거나,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영업실적이 부진할 경우 시장에서 강제 퇴출한다는 방침이다.

◆신삼판 상장사, 차스닥 전환상장 가능해질 전망

중국 금융당국이 장외 시장인 신삼판 시장 거래 및 전환상장 시스템 개선에 박차를 가하면서, 내년 신삼판 상장 기업의 차스닥 전환 상장이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지난 8월 증감회는 수익성이 저조한 인터넷, 첨단기술 기업이 신삼판에 상장한 후 1년이 지나면, 차스닥으로 전환 상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왕이재경(網易財經) 등 중국 매체는 전환상장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내년 발표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리커창 총리가 지난 11월 19일 주재한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주식발행등록제 개혁 방안의 조속한 출범을 지시하는 한편, 주식발행 여건과 중소기업의 증시 상장 문턱을 낮출 것을 강조하면서 신삼판 상장사의 차스닥 전환상장 개혁도 내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최첨단 기술 산업단지 관련 테마주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중관촌(中關村 000931.SZ) ▲장강고과(長江高科 600895.SH) ▲동호고신(東湖高新 600133.SH) 등 종목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금리,지준율 전면적 인하 가능성 커

올해 인민은행의 금리인하 단행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금리와 지급준비율(지준율)이 전면적으로 인하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2015년 중국 정부가 금리자유화와 예금보험제도 등 개혁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개시장 조작, 금리 및 지준율 인하 등을 통한 미세조정식 통화부양을 강화할 것으로 증권일보(證券日報) 등 중국 증권전문 매체는 전망했다.

올 상반기 중국 정부가 두 차례의 선별적 지급준비율 인하를 단행하고, 하반기에는 기습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는 등 통화정책이 완화 기조로 흐르고 있는데다, 이달 9~11일 열린 중앙경제공작(업무)회의에서 통화정책에 탄력성을 부여하기로 하면서 이같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금리나 지준율을 전면적으로 인하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서북(西北)대학 경제경영학원 원장 바이융수(白永秀)는 "정부가 경제 성장률이 합리적인 구간 내에 있으면 안정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 금리인하가 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며 "금리나 지준율이 전면적으로 인하되기 보다는 제한적, 선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