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nda 글로벌

속보

더보기

3D 스마트폰 시대 곧 개막..."사람-폰 관계 더 깊어진다"

기사입력 : 2014년06월13일 10:36

최종수정 : 1970년01월01일 09:00

MS-아마존-구글 '공격 앞으로'..센서-프로세서 기술개발 진전돼야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3차원, 그러니까 3D는 평면이 아닌 우리가 현실에서 보는 그대로의 입체를 뜻한다. 이미 내가 원하는 물건을 뚝딱 만들어 내는 3D프린터 대중화가 실현되고 있는 가운데 온갖 것들이 손 안에서 펼쳐지긴 해도 '평면'일 뿐이었던 스마트폰까지도 3D로 넘어갈 기세다.

2~3년 전부터 3D 스마트폰 제품이 나오기도 했다. LG전자의 스릴(Thrill)이나 HTC의 에보 3D(Evo 3D) 등이 3D로 화면을 볼 수 있는 정도의 제품들이었다. 그러나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번엔 한 차원 더 높아진 3D 폰이 나올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노키아, 바로 연상되듯 애플과 삼성전자에게 스마트폰 시장에서 확실하게 밀렸던 업체들이 전세 역전을 위해 3D 폰에 무게를 싣고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 온갖 것들을 팔아온 아마존은 요즘 그것과 연동될 하드웨어에 관심이 많은데 역시 3D 스마트폰이 차기 무기가 될 수 있을 지 주목되고 있다.

◇ MS '키넥트' 활용해 3D폰 내놓을 듯

MS는 동작인식이 가능한 기술 '키넥트(Kinect)'를 활용해 3D 폰을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키넥트는 게임 콘솔 X박스에 이미 원용돼 왔다. 그리고 최근엔 키넥트를 선택에서 빼서 가격을 낮춘 X박스 원(One)도 내놓았다.

13일 C넷, 더 버지(The Verge) 등에 따르면 MS는 마치 X박스에서처럼 키넥트를 이용할 수 있는 윈도 폰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첫 번째 나올 3D 폰의 코드명은 '맥래런(McLare). 빠르면 연내에 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론대로라면 단말기를 센서가 둘러싸고 있어서 사용자가 스크린에 손가락을 대지 않아도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기능 조작이 가능해져야 한다.  

사용자의 의도를 미리 파악하는 맥락인식(Context-aware) 기능도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다이얼을 돌리는 시늉만 해도 피자를 배달시킬 수 있는 수준까지는 기술이 개발되지 못했고 손가락을 스크린 위에 대고 어떤 동작을 하면 내비게이션을 지원하는 정도가 가능하다.

MS에 인수되기 전부터 수년간 노키아가 함께 관련 기술을 개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MS가 개발해 믹스뷰(Mixview)란 인터페이스 요소도 갖춰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스크린에 닿지 않는 허공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면 시작 화면에서 선택 사항들이 팝업창처럼 올라와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콘텐츠에서 헤드라인 내용을 끄집어 낸다거나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 등을 끌어낼 수 있는 식이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상의 많은 기술 개발이 더 필요하며 맥래런의 경우엔 키넥트처럼 심도 센서나 멀티플 카메라가 장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버튼은 없어지는 것일까. 궁극적으로는 그럴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게 동작 인식을 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돼 있지 않다.

◇ 아마존 3D폰, 18일 베일 벗는다

아마존이 개발 중인 3D 폰은 오는 18일(현지시간) 공개될 전망이다.

아마존이 개발하는 3D 스마트폰이 곧 선을 보인다.(출처=Gizmag.com)
지난 4일 트위터를 통해 아마존은 18일 행사를 한다는 초청장을 날렸다. 1분 가량의 영상(http://www.youtube.com/watch?v=erUZQ9GK0sE)을 올렸다. 사람들은 뭔가를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데 바로 그것이 3D 폰일 가능성이 아주 높다.

아마존은 따로 안경 등을 착용하지 않아도 '레티나 트래킹' 기술을 통해 스크린 위를 홀로그램이 떠다니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할 것으로 예상된다. C넷은 오프 스크린(Off-screen; 화면에 보이지않는 표면) 내비게이션 기능을 채택하게 될 것이라고 봤다.

이에따라 스마트폰 위에서 3D 월페이퍼, 지도 기능은 물론 아마존이 최강자로 군림하는 쇼핑, 그리고 오는 10월경부터 개시될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 구글, 실시간 3D 모델링 구현

구글은 '탱고 프로젝트(Project Tango)'를 통해 3D 폰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3D 지도 및 이미징 기술로 내년 초 선보일 스마트폰에는 이 기능을 넣을 계획이다. 오는 25~26일 열리는 개발자 컨퍼런스(I/O)에서 3D 기능을 넣은 태블릿PC 시제품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제품은 120도 광각 카메라, 동작인식 카메라, 심도센서 등을 갖추고 있다. 구글은 "매초마다 이 센서들이 25만번의 동작을 인식한다"고 설명한다.

`탱고 프로젝트`를 통해 선보일 3D 태블릿PC(출처=구글)
탱고 프로젝트를 이끄는 조니 리는 동영상(http://www.youtube.com/watch?v=Rt6YZz0uokU)을 통해 "우리의 목표는 모바일 기기들에 인간이 할 수 있는 수준의 공간, 동작 인식 기능을 갖추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거실에서 게임을 하는 사용자가 증강현실을 통해 게임 캐릭터를 마치 거실에서 만나는 것처럼 느끼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엔 이 기술이 이용된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청각 신호를 받아 장애물을 피할 수도 있다. 

C넷은 이러한 3D 폰 루머들이 현실화하기 위해선 강력한 센서, 훨씬 더 복잡해진 소프트웨어, 그래픽을 개선시킬 만큼 강력한 프로세서 등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통해 스마트폰이 우리에게 미치게 될 영향이 훨씬 커지고 나아가 뗄 래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사진
특검,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7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을 소환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9시 25분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현장에 모인 취재진이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자 윤 의원은 "진실되고 성실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한 연락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 부분은 조사에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윤 의원은 2022년 6월 치러진 경남 창원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으며,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당시 전략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윤 의원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 중이다. 김 여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정치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 의창에 전략공천되도록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통화 녹취록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9일 국민의힘 보궐선거 공천 발표를 하루 앞두고 명태균 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상현이(윤 의원)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달 8일 업무방해 등 혐의로 윤 의원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wonjc6@newspim.com 2025-07-27 10:0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