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페이스북, 도약 위한 통큰 베팅..'모바일 메신저' 왓츠앱 사냥

기사입력 : 2014년02월20일 10:26

최종수정 : 2014년02월20일 10:29

190억弗에 인수 '사용자당 40달러'...10대 잡고 리치미디어 포석도 놓고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계의 선두 페이스북이 대규모 기업 사냥을 했다.

페이스북은 19일(현지시간) 모바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업체 왓츠앱(WhatsApp)을 사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금과 주식교환으로 160억달러, 여기에 왓츠앱 창업자와 직원들에게 앞으로 4년간 30억달러 규모의 양도제한조건부주식단위(Restricted Stock Units)을 주기로 했으니 총 인수 금액은 무려 190억달러에 달한다. 몸값은 지난 2012년 인수한 사진 공유 중심의 SNS 업체 인스타그램보다 16배나 된다. 

아직 수익도 내고 있지 못한, 태어난 지 5년 된 왓츠앱에 페이스북이 이렇게 많은 돈을 퍼부어 사들인 이유는 무엇일까.

◇ 스냅챗에 차인 페이스북, 1위 업체 왓츠앱 사들여

얼마 전 10년을 맞은 페이스북의 월 사용자 수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12억3000만명. 그러나 더 이상 폭발적인 성장은 쉽지가 않은 상황이다. 특히 10대들이 부모나 선생님의 감시를 피해 페이스북에서 탈출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그래서 읽으면 바로 지워지는 '번 애프터 리딩(Burn After Reading)' 기능을 갖고 있어 10대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스냅챗 인수를 두 차례나 추진했지만 차였다. 마지막으로 불렀던 금액은 30억달러.

페이스북은 190억달러에 모바일 메시징 앱 업체 왓츠앱을 인수키로 했다.(출처=비즈니스인사이더)
사정이 여의치 않자 페이스북은 6배도 넘는 돈을 들여 왓츠앱 인수에 나섰다. 

왓츠앱은 야후 출신의 얀 쿰과 브라이언 액튼이 지난 2009년 세운 업체. 현재 직원 수는 55명이며 월 사용자수가 4억5000만명을 넘는다. 이 가운데 70%가 활발하게 앱을 사용하고 있다.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 수를 기준으로 본다면 페이스북은 왓츠앱에 사용자 1명 당 40달러씩을 지불한 셈.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왓츠앱은 10억명이 넘는 사람들을 연결하고 있는 관문이며 이러한 점은 굉장히 가치있다고 평가했다"면서 "오랫동안 얀 쿰과 알고 지내면서 사업 제휴를 해보려 관심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2년여 전부터 알고 지내온 두 사람은 최근 저커버그의 자택에서 만나 본격적인 협상 논의를 했다고 한다. 그러는 동안 구글도 왓츠앱에 눈독을 들이면서 인수설이 나오기도 했다. 

◇ '모바일 메시징'이 왜 중요한가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기가옴은 "아이들(kiddies)을 데려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며 왓츠앱 인수가 꼭 필요했던 결정이라고 분석했다. 이 '아이들'은 꼭 잡아두어야 하는 페이스북의 미래 고객들이다. 10대들은 우리나라에선 카카오톡과 네이버의 라인(LINE), 중국에선 텅쉰의 위챗(Wechat) 등을 활발히 사용하고 있다.

페이스북도 자체 모바일 메시징 기능을 강화하고 나섰지만 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출처=가디언)
페이스북 스스로도 모바일 메신저 기능을 갖추고는 있다. 특히 페이스북 계정이 없어도 전화번호만 있으면 이 메신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페이스북 사용자들조차도 메신저 기능이 따로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활성화되지 못했다. 사용자들은 페이스북 모바일 앱에서 대화를 하는 게 더 편하다고 느낄 정도.

왓츠앱의 가장 큰 장점은 어떤 스마트폰 플랫폼을 쓰더라도 가능하다는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에 있다. 그러니까 안드로이드폰이나 아이폰, 윈도폰 할 것 없이 어떤 스마트폰에서도 앱이 구동된다. 예를 들어 애플 아이폰끼리는 아이메시지(iMessage)만 가능한 것과 달리 이 앱만 깔면 어떤 폰 소유자들끼리도 대화가 가능한 것이다.

광고가 없다는 점도 특징. 왓츠앱은 "광고가 친밀한 대화를 방해할 수 있다"는 강한 신념을 가지고 광고 판매를 철저히 하지 않아 왔다. 라인이나 카톡 등은 광고를 싣지만 왓츠앱은 연간 사용료를 받더라도 광고없이 메시징 기능에만 충실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갖고 있다.

왓츠앱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얀 쿰(출처=월스트리트저널)
창업자이자 CEO인 얀 쿰의 책상 위에는 '광고도 안 돼! 게임도 안 돼! 속임수도 안 돼!(No Ads! No Games! No Gimmicks!)란 문구가 쓰여져 있다고 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모바일 메시징 앱은 리치 미디어(rich media)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페이스북에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단순한 문자 외에 사진, 이미지, 동영상과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동통신사에는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돈을 내야 하지만 모바일 메신저로는 돈이 들지 않는다는 점도 소비자들에겐 매력이다.

기가옴은 따라서 페이스북이 이런 시장 변화 속에서 왓츠앱을 사기로 한 것은 "전시장 내 베스트카에 열쇠를 꽂아둔 셈"이라고 평가했다. 

아마도 페이스북은 인스타그램처럼 왓츠앱 역시 독립적인 브랜드와 서비스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왓츠앱의 사용자는 유럽과 남미에 많다. 브라질, 독일, 포르투갈, 스페인 등에선 점유율이 80%에 달한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