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핵심 광물 프레임 워크 의미있게 생각"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 위해 적극 협력"
"2028년 G20 의장직 맡아…역할 다할 것"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제3세션에서 "핵심 광물의 보유국과 수요국이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핵심 광물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라는 주제로 열린 정상회의 제3세션에 참석해 "올해 G20 정상회의에서 이런 취지의 'G20 핵심 광물 프레임워크' 논의가 이뤄진 점을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제3세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핵심 광물 안보 파트너십' 의장국으로서 광물 협력사업을 확대해 왔다"며 "또 '한-아프리카 핵심광물대화'를 통해 상호신뢰에 기반한 협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앞으로도 호혜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국제적 노력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기술의 발전이 모든 국가와 모든 이들에게 고른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며 "이런 맥락에서 G20이 'AI 포 아프리카(AI for Africa·아프리카를 위한 AI) 이니셔티브'를 발표한 것을 환영한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도 모든 인류가 AI 혜택을 고루 향유하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해 국제사회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기술의 발전은 인류에게 큰 기회이자 동시에 커다란 도전"이라며 "AI 혁신과 핵심 광물 공급망 회복력 강화는 '포용적 기회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G20이 이런 이유에서 '넬슨 만델라 베이 목표'와 '브리즈번-이테쿠이니 목표'를 채택한 점을 환영한다"며 "대한민국도 소외 계층에 기회를 보장하는 'AI 디지털 배움터' 구축 및 청년 맞춤형 AI 교육 확대에 힘쓰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대한민국은 위기 순간마다 국제사회의 나침반이 돼준 G20을 함께 설계한 나라로서, G20 정상회의 출범 20년인 2028년, 다시 의장직을 맡아 여정을 함께 이어가려 한다"며 "막중한 책임감으로 G20이 국제경제협력을 위한 최상위 포럼으로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pcj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