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사료집', 조국독립 정당성 알린 임정 외교의 결정체
임정, 국제연맹에 독립 정당성 호소… 3·1운동 첫 체계 정리
739쪽 네 권 모두 남은 희귀본… 복원 거쳐 일반 공개 예정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국가보훈부는 광복 80년을 맞아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한일관계사료집' 완질(完帙)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으로부터 기증받았다고 밝혔다. 이 책은 1919년 임시정부가 국제연맹회의에서 대한민국 독립의 역사적 당위성과 일본의 식민통치 실상을 알리기 위해 편찬한 자료집이다.
![]() |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으로부터 기증받은 '한일관계사료집' 완질 4권의 표지. [사진=국가보훈부 제공] 2025.11.23 gomsi@newspim.com |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이 지난해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소장자로부터 확보해 기증한 '한일관계사료집'은 고대부터 경술국치에 이르는 한일 관계사(제1부), 강제병합의 부당성(제2부), 병합 이후 3·1운동 전까지의 일제 탄압과 식민지 현실(제3부), 그리고 역사서로서는 처음으로 3·1운동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제4부) 등 네 권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제4부는 3·1운동의 원인과 결과, 일제의 탄압, 지역별 운동 상황을 표로 정리해, 당시 임시정부가 객관적·실증적 기술을 지향했음을 보여준다.
이번에 기증된 '한일관계사료집'은 네 권이 모두 남아 있는 완질로, 총 739쪽 분량이다. 편찬 당시 약 100질(400권)만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데다, 현재까지 완질 형태가 거의 전하지 않아 역사·사료 가치를 겸비한 대표적 독립운동 유산으로 평가된다.
![]() |
|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으로부터 기증받은 '한일관계사료집'의 본문 일부. [사진=국가보훈부 제공] 2025.11.23 gomsi@newspim.com |
임시정부는 이 사료집 편찬을 위해 1919년 7월 중국 상하이에서 안창호, 이광수, 김홍서 등 33인이 참여한 '임시사료편찬회'를 조직해 작업에 착수했다. 불과 석 달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편찬이 속전속결로 진행됐고, 같은 해 9월 23일 등사본(謄寫本) 형태로 완성·배포돼, 임시정부가 조국 독립의 정당성을 국제사회에 호소하려 했던 긴박한 상황을 보여준다.
임시정부기념관은 이번에 이관받은 사료집에 대해 훼손 부위 보존처리와 소독 등 전문 복원 절차를 거친 뒤 학술연구와 상설·기획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에 활용해 국민과 미래세대가 직접 접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김희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은 "이번 한일관계사료집 입수는 임시정부의 역사와 독립운동 정신을 생생하게 전할 수 있는 성과"라며 "복원·보존 과정을 충실히 진행해 국민 누구나 이 귀중한 자료를 직접 확인하며 임시정부 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