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지원 예산 감축, 직업교육 수입 감소
직업교육 혁신과 공공투자 확대 제안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부산경실련)이 부산지역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예산 구조 불안정을 문제삼으며 시의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구했다.
부산경실련은 20일 오전 11시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5년부터 2025년까지의 예산 구조 변화를 분석한 결과, 현재의 재정체계로는 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 |
|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경제실천시민연합이 20일 오전 11시 부산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부산지역 여성인력개발센터 예산 구조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11.20 |
부산경실련은 "부산의 여성 고용률은 전국 하위권에 머물고, 미취업 여성의 다수가 60세 이상 고령층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여성 일자리를 뒷받침하는 핵심 인프라인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예산 불안정은 지역 여성 고용 정책의 토대가 흔들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운영비 보조금 비율이 2015년 15.5%에서 2020년 13.3%, 2021년 이후 10% 이하로 떨어져 2024년에는 10.8%에 그쳤다"며 지원비 축소 추세를 문제로 꼽았다.
부산경실련은 새일센터와 창업지원 예산 감축, 직업교육 수강료 수입 감소, 공모사업 의존도 증가 등도 구조적 한계 요인으로 들었다.
부산경실련은 "2026년 예산 심의 과정에서 여성인력개발센터 예산 구조를 전면 재편하고, 운영보조금 비율을 전국 평균 수준인 2억6700만원대로 현실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공모 중심의 사업 구조를 탈피해 직업교육 혁신, 디지털 전환 교육, 여성 맞춤형 일자리 연계 등 새로운 정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공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산경실련은 "부산시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핵심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여성인력개발센터를 공공일자리 정책의 중심축으로 재편해야 한다"며 "부산시의회는 오는 24일 예산 심의에서 센터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예산 반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ndh400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