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 절정기 초상화 현대미술 최고가 경신
3점 전해지는 '엘리자베스 레더러의 초상'중 한점
카텔란의 황금변기는 177억원에 낙찰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전세계가 사랑하는 '황금빛 초상화의 작가'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의 절정기 회화가 미국 뉴욕의 소더비 경매에서 약 3465억원에 낙찰됐다. 이는 역대 근현대 미술품 경매 중 최고가 기록이다.
미술품 경매시장의 불황 속에서도 예술적·역사적 희소성을 갖춘 초고가 블루칩 걸작은 여전히 수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현대미술사를 다시 썼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 구스타프 클림트가 1914~1916년 그린 '엘리자베스 레더러의 초상' . 소더비 뉴욕 경매에서 3400억원에 낙찰되며 현대미술품 중 최고가를 경신했다. 사진 소더비 경매]025.11.19 art29@newspim.com |
미술품 경매사 소더비에 따르면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서 열린 이브닝 경매에서 클림트의 '엘리자베스 레더러의 초상'은 경합 끝에 2억3640만달러(약 3465억원,수수료 포함)에 낙찰됐다. 이 작품은 경매 초반의 시작가(1억5000만달러)를 크게 웃돌며 6명의 응찰자가 가격을 계속 올리며 20분간 경합을 벌였다.
이날 경매에서 소더비의 베테랑 경매사는 200만~500만달러 단위로 가격을 올리며 경매를 주도했다. 최종 낙찰자의 신원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소더비에서 인상파·근대미술 부문을 책임지는 줄리언 도스를 통해 대리응찰한 고객이 2억500만달러를 써내며 이 세기의 걸작을 품에 안았다.
클림트가 1914~1916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이 초상화는 '빈 분리파'를 주도한 작가가 예술적으로 절정에 달했을 시기에 완성했다. 클림트의 후원자 중 한명인 레더러 부부의 스무살짜리 딸 엘리자베스를 그린 가로 122㎝, 세로 183㎝의 대형 초상화로, 중국풍 용이 그려진 독특한 드레스가 눈길을 끈다. 소더비는 "클림트 회화세계의 정점에 서있는 뛰어난 걸작"이라고 강조했다.
이 작품은 세계적 화장품 기업 에스더로더를 만든 에스더 로더 부부의 장남이자 슈퍼컬렉터인 레너드 로더가 소장하고 있던 컬렉션이다. 레너드 로더가 지난 6월 타계하면서 이 작품을 포함해 다수의 컬렉션이 경매에 나왔다.
레너드 로더는 집안의 사업인 에스티로더를 탄탄한 반석에 올려놓으며 글로벌 기업으로 키운 비즈니스맨이다. 경기가 불황일수록 립스틱 판매량이 늘어난다는 '립스틱 지수'를 고안하기도 했다. 어린 시절 그림엽서를 수집하며 미술에 눈을 뜨기 시작해 일평생 미술애호가이자 컬렉터의 삶을 영위해온 레너드 로더는 평생에 걸쳐 수집한 파블로 피카소를 비롯한 입체파 화가들의 작품 78점을 2013년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 기증해 화제를 모은바 있다. 당시 MET측은 "우리 뮤지엄에 마침 입체파 작품이 거의 없었는데 너무도 귀한 걸작을 기증받아 빈 구석이 채워졌다"며 환호했다.
로더는 '엘리자베스 레데러의 초상'을 1985년부터 40년간 소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에 강탈된 그림을 반환받은 엘리자베스의 동생 에리히 레더러가 1983년 매각하는 과정에서 로더가 매입했다. 로더는 여러 작품을 기증하면서도 이 작품만큼은 뉴욕에 있는 자택에 걸어두고 가끔씩 주요 전시에만 대여하며 개인 컬렉션으로 음미해왔다.
이번 경매로 클림트의 '엘리자베스 레데러의 초상'은 근현대 미술품 중에서는 최고가, 미술품 전체로는 두 번째로 비싸게 팔린 작품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전체 1위는 레오나르드 다빈치의 '살바토르 문디'로 2017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수수료 포함 4억5030만달러(당시 환율로 약 5000억원)에 낙찰됐는데, 훗날 사우디아라비아의 한 왕자를 대리인으로 내세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구매자로 밝혀졌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 이탈리아의 설치미술가인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제작한 황금변기 '아메리카'. 18캐럿 황금 100kg이 투입됐다. 소더비 뉴욕 경매서 177억원에 낙찰됐다. [사진=소더비 경매] 2025.11.19 art29@newspim.com |
한편 이탈리아의 악동 작가인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시니컬한 설치작품인 황금변기 '아메리카'도 소더비 뉴욕 경매에 나와 1210만달러(약 177억원)에 낙찰됐다. 18캐럿 금 220파운드(약 100kg)로 제작한 이 변기는 금 시세를 고려해 경매 시작가가 매겨졌다.
클림트의 인물화가 예상 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낙찰되자 미술시장 전문가들은 오랜 경기침체를 거듭하던 미술시장에 청신호가 켜진 것 아니냐고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클로드 모네, 마르크 샤갈 등 근현대 미술품들이 경매에서 기대 이상의 가격대에 거래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지난 크리스티 이브닝 세일에서 수화 김환기 화백의 '19-Ⅵ-71 #206'이 840만달러(약 123억원)에 거래되며 한국미술품 경매사상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을 쓴 바 있다.
물론 초고가의 블루칩 작품의 고공행진과 세계 미술시장의 경기는 별개로 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즉 경기가 불황일수록 시대를 초월하는 초고가 블루칩 작품은 보증수표에 해당되기 때문에 수요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편 소더비는 이번 주 이어지는 경매에 앙리 마티스, 프리다 칼로, 제프 쿤스 등의 하이라이트에 해당되는 작품이 나올 예정이어서 11월 경매 낙찰액을 10억달러(약 1조46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프리다 칼로의 최고 걸작인 '꿈(나의 침대)'가 20일 경매에 부쳐질 예정인데 소더비 측은 여성 화가 작품 중 최고가 경신을 내다보고 있다.
art2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