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의회 18일 심포지엄 개최
[강릉=뉴스핌] 이형섭 기자 = 강원특별자치도의회 물관리특별위원회는 18일 강릉과학산업진흥원 대강당에서 '2025 동해안지역 지속가능한 물관리 혁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통합물관리 정책과 스마트 물관리 기술, 거버넌스 구축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 |
| 2025 동해안지역 물관리 혁신 포럼.[사진=강원특별자치도] 2025.11.18 onemoregive@newspim.com |
권혁열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2025년 강릉 가뭄이 물관리 체계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경고라며, 과거 '평년 대비' 기준만으로는 대응이 불가능해 기후 적응형 통합물관리 체계 전환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책 설계는 '현장 실행성'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에는 김진태 도지사, 김시성 도의회의장, 강원도의원, 강릉시의원 등 정치권 인사와 학계, 행정, 산업계, 시민단체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과 집중호우 반복 속에서 현장 중심의 통합 물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주제발표에는 대한민국 물관리 정책과 기술을 대표하는 세 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송미영 박사(경기연구원)는 동해안 지역 맞춤형 통합물관리 방안, 이태관 박사(계명대)는 남한강 수자원 관리와 갈등 해소 전략, 최계운 박사(前 한국수자원공사 사장)는 AI 기반 스마트 물관리 혁신 로드맵을 각각 제시했다.
특히 최 박사는 강릉 등 영동지역 물순환 데이터 통합과 AI 수요예측을 통한 스마트 물관리 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종합토론에는 강원도 건설안전국장 이종구, 물관리특위 심오섭 의원, 강원대 최충익 교수, 강원연구원 신지훈 연구위원 등 행정, 학계, 지방의회를 대표하는 전문가 4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통합물관리 컨트롤타워 구축, 시민 참여형 물절약 캠페인, 취약계층 보호 중심 정책, 물환경 데이터 통합관리와 기후대응형 정책지원 모델 등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2025년 강릉 가뭄으로 드러난 물관리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강원형 물관리 데이터 플랫폼과 지표수-지하수 연계 스마트 물관리 체계 구축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물관리 혁신의 출발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onemoregiv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