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상승에 비용 증가…일본 노선 수요도 둔화
신규 항공기 도입 확대…운용 구조 개선 속도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제주항공이 올 3분기 매출 3883억 원과 영업손실 550억 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602억 원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이 14일 밝힌 2025년 3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줄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흑자에서 적자로 바뀌었다.
![]() |
| [사진=제주항공] |
올해 3분기 원·달러 환율이 오르며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부담이 커졌다. 중단거리 노선 공급이 늘며 가격 경쟁도 강해졌다. 일본 지진설 영향으로 성수기 수요가 약했고 추석 연휴가 10월에 잡힌 점도 실적에 영향을 줬다.
제주항공은 기단 현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B737-8 두 대를 들인 뒤 올해 예정된 여섯 대의 구매 도입을 마쳤다.
현재 보유한 43대 가운데 차세대 항공기는 18.6%다. 구매기는 B737-800NG 다섯 대와 B737-8 여덟 대를 합쳐 13대로 전체의 30%다. 노후 기종은 반납하고 새 기종을 들이는 방식으로 연간 약 14%의 운용비 절감을 기대한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기단 현대화와 구매기 확대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이익 구조를 갖춰 실적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