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전문직·주부 등 553명 피패
조직적 채권추심·협박 정황 드러나
범죄수익 6억 원 기소 전 추징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사회초년생과 서민층을 상대로 최대 연 7만3000%의 초고금리 대출을 이자놀이처럼 강요하고, 상환이 지연되면 인스타그램 동영상 유포와 가족 협박으로 추심을 벌이던 불법 사금융 조직이 경찰에 체포됐다.
![]() |
| 사회초년생과 서민층을 상대로 최대 연 7만3000%의 초고금리 대출을 이자놀이처럼 강요하고, 상환이 지연되면 인스타그램 동영상 유포와 가족 협박으로 추심을 벌이던 불법 사금융 조직이 경찰에 체포됐다. [사진=경기남부경찰청] |
경기남부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지난해 6월부터 올해 7월 2일까지 경기 남부권 일대에서 미등록 대부업 사무실을 차려 불법 대출을 해온 조직 총책 A씨(30대)를 비롯해 조직원 29명을 검거하고, 이 중 4명을 구속 송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가운데 12명은 '범죄단체 조직죄'로 기소됐다.
◆ 피해자 553명, 피해금액 18억 원..."가족·지인에 대출 사실 퍼뜨려"
경찰에 따르면 이 조직은 급전이 필요한 사회초년생, 주부, 의사 등 553명에게 20만~30만원의 소액대출을 미끼로 접근해,
법정이자율(연 20%)을 훨씬 넘는 연 238%에서 최대 7만3000%까지 이자를 부과하며 약 18억 원의 불법 이익을 챙겼다.
피해자들이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면 "가족을 죽이겠다" "인스타그램에 대출 인증 영상을 올리겠다"며 협박하고, 실제로 해외 문자로 가족과 직장 동료에게 대출 사실을 유포하거나 SNS에 '지인 담보 대출 인증 영상'을 게시하는 이른바 '인스타 추심' 수법을 사용했다.
실제 피해자 중 일부는 협박을 견디지 못해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사 C씨(35)는 "병원 납품업체와 어머니 약국에까지 협박 전화가 오자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다"고 진술했다. 또 다른 피해자 D씨(31)는 결혼을 앞두고 예비 장인에게 채무 사실이 알려져 파혼하고, 직장에서 해고당한 뒤 세 차례 자살을 시도했다가 구조됐다.
◆ 조직적 운영...'실장님' 호칭·가명 사용·보안수칙까지
조직은 오피스텔을 임차해 사무실을 꾸리고, 중·고등학교 동창들을 포섭해 '지사' 형태로 확장 운영했다. 업무용 휴대전화는 항상 잠금 상태로 유지하게 하고, 서로를 '실장님'으로 부르며 실명 대신 가명을 사용했다.
또 조직원들의 신분증을 촬영해 보관하고, 외부에 발설할 경우 "조선족을 시켜 손가락을 자르겠다"고 협박하며 내부 단속을 강화했다.
총책 A씨는 자금세탁을 담당하는 B씨 일당을 포섭해 조직의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조사됐다.
![]() |
| 사회초년생과 서민층을 상대로 최대 연 7만3000%의 초고금리 대출을 이자놀이처럼 강요하고, 상환이 지연되면 인스타그램 동영상 유포와 가족 협박으로 추심을 벌이던 불법 사금융 조직이 경찰에 체포됐다. [사진=경기남부경찰청] |
◆ 6개월 추적 끝에 검거..."피해자 생명 지키기 위해 신속 수사"
경찰은 올해 1월 "불법 대부업 협박으로 채무자가 자살한 것 같다"는 첩보를 입수해 수사에 착수했다. 이후 6개월간 CCTV와 통화기록, 기지국 위치 분석을 통해 본사와 지사 사무실을 모두 특정하고, 전원 검거에 성공했다.
특히 협박 피해로 자살을 시도한 피해자들을 직접 설득해 진술을 확보했고, 경기복지재단 자료를 통해 추가 피해자들을 확인했다.
수사 결과 범죄수익금 6억 원 상당이 추징·보전 조치됐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사회초년생 등 취약계층을 노린 불법 사금융 조직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이들에 자금을 지원한 상선까지 추적해 불법 대부업의 근절을 목표로 수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또 "법정 이자율을 초과하거나 가족·지인 연락처를 요구하는 비대면 대부업체는 대부분 불법일 가능성이 높다"며 "피해자는 금융감독원의 '채무자대리인 제도'를 통해 대부계약 무효화 소송 등 법률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