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진화 관군 합동훈련 점검 및 동해안 산불지역 시찰
일시 : 2025년 11월 6일
장소 : 산림항공본부, 동해안 주요 산불지역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로 요약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6일 산림항공본부와 동해안 산불현장 시찰에서 "국민 생명과 안전은 국가 제1 책무"라며 올해 산불 피해와 관계부처의 책임 분담, 초기 원점 진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훈련 현장에서 특별히 산불지휘체계, 지자체와 산림청의 책임 분담, 전문 인력 확대 등 실질적 대응 방안에 대해 현장 점검과 당부를 이어갔다.
![]() |
| 이재명 대통령은 6일 오후 강원도를 찾아 관·군의 산불 진화 장비와 대응체계를 점검하면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 산불진화 책임 체계 명확화 주문
이 대통령은 "산불 발생 초기부터 전력을 꼭 투입해 과잉이다 싶을 만큼 조기 대응, 원점 진화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밝히며, 산림청과 지방정부, 군·소방 등 다양한 기관의 지휘체계 혼선을 지적했다. "책임주체를 명확히 하고, 규정·훈련 등 제도 개선으로 우왕좌왕하는 일이 없게 하라"고 지시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오후 강원도를 찾아 산림청과 국방부의 산불 진화 합동훈련을 참관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 지휘체계 개선·전문 인력 확대 필요
현장수훈 중 "공무원 등 일반 인력 동원에 따른 위험성, 전문 산불감시원 훈련의 필요성, 산림청의 지휘권 확대"를 주문하며, "산불은 합동 대응이 효과적이나 최종 책임은 산림청장이 지는 체계로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유림관리소의 배치와 인력 확충, 군 헬기와 장비 개조 등 자원운용의 효율성도 강조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오후 강원도를 찾아 관·군의 산불 진화 장비와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동해안 산불 위험 지역을 시찰했다. [사진=대통령실] |
◆ "정부, 예산·인력 부족 없다"
이 대통령은 "산불 예방·조기 대응에는 예산, 인력, 준비 부족이 없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며, "잘 훈련해 내년엔 대형 피해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고 강하게 당부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오후 강원도 원주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를 찾아 산림청과 군의 산불 진화 헬기, 드론, 차량 등 핵심 장비를 현장 점검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 "국민 안전이 국가의 사명"
대통령은 "산불이 전국적으로 태워가는 일이 더는 반복되지 않게, 최선의 예방·초동대응 시스템을 갖추자"며 모든 공직자와 현장 인력에 "든든하다, 국민 안전이 최우선"임을 다시 강조했다. 언제나 조기 대응, 책임 명확화, 충분한 자원 투입이 강조됐다.
pcj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