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교문위 행정사무감사
정무창·홍기월 의원 '역사 바로잡기'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 소재 학교에 친일 반민족 행위자가 작사·작곡한 교가가 여전히 불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무창 광주시의원은 5일 광주시교육청을 대상으로 한 교육문화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 지역 학교에서 친일 행위자가 만든 교가가 상징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
| 정무창 광주시의원. [사진=뉴스핌DB] |
정 의원은 "동문 입장에선 오랫동안 불렀던 교가라서 꺼려하긴 하지만 청산 수준이 25%에 머물러 있다"며 "광주시교육청의 소극적인 행정도 한몫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예산 지원 등으로 설득하면 충분히 교가를 수정할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일제잔재 용어인 유치원에 대해서도 "강득구 의원이 유아학교로 명칭을 바꾸는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라며 "시행에 맞춰 타시도보다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공공도서관에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는 도서가 비치되고 있어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도 있었다.
정 의원은 "수십번에 걸쳐서 말을 해 왔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5·18 역사 왜곡 도서가 비치돼 있었다"며 역사 정의 실현에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
![]() |
| 홍기월 광주시의원. [사진=뉴스핌DB] |
홍기월 의원도 "5·18 역사 왜곡하거나 폄훼한 그런 도서가 비치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새로 도서를 구입하거나 기부받아 비치하는 과정에서 걸러내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친일 잔재 교가와 관련해 "동문의 반대가 굉장히 심하다"며 "예산 지원 등을 설명해 왔고, 앞으로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5·18 역사 왜곡 도서에 대해선 "학교 도서관 운영위원회가 있는데 심의 절차를 강화해달라고 이미 안내를 했다"며 "유해성 심의를 훨씬 더 강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bless4ya@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