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야 왕묘급 축조방식 확인
가야사 복원·연구 기준점 전망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고성 송학동 고분군 14호분 2차 발굴조사에서 가야권역 최대 규모의 봉분 구조와 정교한 축조공정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 |
| 고성 송학동 고분군 14호분 전경 [사진=경남도] 2025.10.31 |
이번 조사는 국가유산청과 경남도가 지원하는 국가지정문화유산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재)삼강문화유산연구원이 지난 9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진행하고 있다.
14호분은 남북 47.5m, 동서 53m, 높이 7.6m에 이르는 초대형 원형 봉토분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가야권 고분 가운데 최대 규모로 평가됐다. 봉분 외면의 즙석 처리와 내측 토제·상하부 성토 구조는 소가야 왕묘급 고분의 체계적 축조방식을 보여준다.
매장주체부는 길이 5.25m, 너비 0.95m, 깊이 1.2m의 수혈식 석곽묘로, 내부에서 대도, 갑주, 철모 등 무기류와 함께 소가야계 토기가 다량 출토됐다. 이는 14호분이 5세기 중엽 소가야 지배층의 왕묘급 무덤임을 입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1차 조사에서 확인된 대금계판갑과 충각부투구는 소가야 지역 최초 사례로, 당시 정치적 위세와 교류 양상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로 봉분 축조공정과 원통형 토기 설치, 층위 구조가 명확히 밝혀지면서 가야 연맹체의 정치·기술 발전단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자료가 확보됐다.
14호분은 토제·즙석·상하부 성토공정이 완전하게 갖춰진 가야권 유일 사례로, 향후 가야사 복원과 세계유산 연구의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
박일동 경남도 문화체육국장은 "이번 발굴은 가야권 최대 고분의 축조체계를 정밀 조사해 구조적 표준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문화유산의 가치가 도민 삶 속에서 체감될 수 있도록 보존·활용 행정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