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통상 문제도 AI와 연결되는 시대"
"韓, 기술 자립·글로벌 협력 병행해야"
"정부·기업 원팀으로 기술 자립 추진"
[경주=뉴스핌] 김아영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은 이제 기업 경쟁을 넘어 국가의 성장엔진이자 안보 경쟁의 핵심"이라며 글로벌 기술 주도권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시 엑스포공원 문무홀에서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 개회사에서 "비즈니스에서 AI를 제외하면 대화가 되지 않을 정도로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산업과 국가의 미래 질서를 재편하는 거대한 축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 |
|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경북 경주시 엑스포공원 문무홀에서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2025.10.28 aykim@newspim.com |
그는 "최근 관세나 통상 이슈조차 AI와 연결되는 시대가 됐다"며 "AI는 기업 경쟁 단계를 넘어 국가의 성장엔진, 나아가 안보 경쟁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고 진단했다.
최 회장은 미국과 중국의 AI 전략을 예로 들며 "미국은 AI 전쟁에서 승리하겠다는 전략적 목표를 세우고,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주도로 인프라 구축과 기술 확산을 국가 전략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며 "중국은 4중전회와 제15차 5개년 계획을 통해 AI를 기술정책의 중심에 두고 기술 자립과 내수 확대를 양대 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양국과 글로벌 빅테크들이 천문학적 투자를 이어가며 속도 경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규모의 격차가 결과의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며 "AI를 선도하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기술 강국과 후발국, 그리고 사람 간의 격차가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솔직히 해법은 단순하지 않다"며 "각 나라와 기업이 각자의 상황에 맞는 해법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대응 방향에 대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협력해 AI 인프라 구축과 독자적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등 기술 자립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며 "민관 협력 기반의 컴퓨팅 인프라 사업과 독자 AI 모델 프로젝트는 그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런 노력이 글로벌 협력 배척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모든 것을 100% 국산화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글로벌 플레이어와의 협력을 통해 더 넓은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WS와 함께 추진 중인 울산 AIDC(인공지능 데이터센터) 건립, 오픈AI와의 전략적 협력 등은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이 병존하는 모델은 한국뿐 아니라 APEC 국가들에게도 하나의 레퍼런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AI는 지금 세계 질서를 새롭게 짜는 변곡점에 있다"며 "기존의 AI 시대에서 에이전틱(Agentic) AI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이제는 사람이 AI를 활용하는 단계를 넘어, AI들끼리 상호작용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시대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변화 속에서 AI 데이터센터 확충이 필수적이지만, 그 안에 들어가는 칩과 에너지까지 공급 병목이 일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이 과거 인터넷과 모바일 시대에서 보여준 빠른 적응력을 다시 발휘한다면 이러한 병목을 해소하는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AI 역시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되고 진화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 |
|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경북 경주시 엑스포공원 문무홀에서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2025.10.28 aykim@newspim.com |
최 회장은 "한국은 효율적이고 비용에 맞춘 AI 모델로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며 "이런 접근이 다른 국가들에게 하나의 선례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데이터 집약과 공유, 규제 디자인이 앞으로의 AI 질서를 결정지을 핵심 요소"라며 "한국이 데이터 통합과 관리 모델을 모범적으로 구축한다면 글로벌 표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AI 인프라 속도, 데이터 처리, 규제 설계 등 모든 요소에서 한국은 빠른 접근이 가능하다"며 "이런 점에서 한국은 전 세계 AI 발전의 테스트베드이자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최 회장은 "오늘 포럼에서 한국의 경험과 글로벌 빅테크의 사례가 공유돼 더 많은 인사이트를 제공하길 기대한다"며 "AI가 세계 속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기술과 함께 나아갈 수 있을지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퓨처테크포럼 AI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다. 이날 행사는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진행됐다. 매트 가먼(Matt Garman)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사이먼 밀너(Simon Milner) Meta 부사장,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경훈 OpenAI Korea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등 국내외에서 AI 업계를 선도하는 인사들이 참석했다.
a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