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포도, 지난해 수출액 5680만달러 기록
수입국 1위는 대만…'샤인머스캣' 인기몰이
포도수출연합, '코코볼' 등 신품종 수출 지원
한류 열풍을 탄 'K-푸드'는 연간 수출액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농식품 수출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쌀'과 '포도'는 새로운 수출 활로를 찾고 있는 전략 품목이다. 특히 국산 쌀은 프랑스 등 신시장 개척에 성공했으며, 포도의 경우 신품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뉴스핌>은 변화의 현장을 직접 조명하며, 세계 속에서 확장 중인 K-푸드의 가능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글싣는 순서] 세계의 한입
① "우리쌀 프랑스 가불었당께"…K-쌀 수출 실적 '쑥'
② 파리지앵 입맛 사로잡은 K-쌀…이젠 고급화 전략
③ K-푸드 숨은 공신 '샤인머스캣'…품종 다변화 변신
④ 슈팅스타·코코볼·홍주씨들리스…아시아부터 공략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한때 '황금 포도'로 불리던 샤인머스캣이 변곡점을 맞고 있다. 국산 포도의 해외 수출액은 5년 새 두 배 이상 늘었지만 단일 품종 의존과 가격 하락 등으로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소비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는 가운데, 정부와 업계는 새로운 품종을 앞세워 시장 다변화와 프리미엄 전략으로 'K-포도 수출 2막'을 준비 중이다.
◆ 5년 새 두 배 성장…'K-포도' 수출 5680만달러 돌파
국산 포도가 K-푸드 수출의 새 축으로 부상했다. 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신선 포도 수출액은 5680만달러, 수출량은 4789톤으로 전년(4470만달러, 3376톤)보다 각각 27%, 42% 증가했다. 수출 규모는 2020년 1972톤, 3070만달러에서 5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품종별로는 샤인머스캣이 전체 수출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한류와 K-푸드 인기에 힘입어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급성장했으며, 특히 2020년 이후 동남아에서 '프리미엄 과일'로 자리 잡은 영향이 컸다.
![]() |
| 우리나라 포도 생산 및 수입 현황. [자료=농촌진흥청] 2025.11.01 plum@newspim.com |
국가별 수출액은 작년 기준 대만이 1870만달러로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이어 미국(657만달러), 베트남(577만달러) 순이었다. 특히 대만은 2020년 4톤 수준이던 수출량이 지난해 1800톤으로 급증했다.
정부 관계자는 "샤인머스캣을 중심으로 한 K-포도 수출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정부는 품종 다변화와 유통·저장 인프라 확충을 통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형 포도로 새 시장 연다"…수출연합, 신품종 다변화 전략
다만 샤인머스캣이라는 단일 품종 중심 수출의 구조적 한계와 재배 농가 수 증가로 가격 하락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와 업계는 새로운 수출 전략 마련에 나섰다. 그중 하나가 한국포도수출연합을 주축으로 한 신품종 수출 지원이다.
한국포도수출연합은 지난 2019년 5월 23일 승인받아 설립됐다. 현재 생산자 회원은 107개사, 수출사 회원은 123개사에 이른다.
이승희 한국포도수출연합 회장은 "작년부터 신선 농산물 수출 시 지원되던 물류비가 없어졌다. 우리나라는 aT를 통해 직접 지원했는데, WTO에서 문제가 있다고 봐 제재한 것"이라며 "정부가 물류비를 지원할 수 없게 되면서 민간 중심의 통합조직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 |
| [상주=뉴스핌] 이정아 기자 = 경북 상주 청실홍실영농조합법인에서 육성하는 포도 신품종 '홍주씨들리스'. 2025.10.15 plum@newspim.com |
이 회장은 "사무국에서 수출 물량과 품질을 관리하면서 품질과 유통 경로를 더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됐다"며 "판촉은 일시적인 방법일 뿐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다. 한국형 포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회장은 샤인머스캣을 넘을 신품종 개발의 중요성을 외쳤다. 그는 "지금은 중국도 샤인머스캣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우리가 수출하는 곳에는 중국산이 더 많이 나가고 더 싸게 나간다"며 "이제는 홍주시들리스, 글로리스타, 코코볼, 슈팅스타 같은 품종으로 한국형 포도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샤인머스캣의 약점으로 불렸던 당도 하락 문제에 대해서는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이 회장은 "당도가 오르기 전에 출하되는 포도가 많다. 그게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 내수시장이 무너지면서 수출시장으로 밀어내듯 나가고 있는데, 내수와 수출은 별개가 아니다. 내수가 살아야 수출도 산다"고 외쳤다.
한국포도수출연합은 품종 다변화 전략과 함께 신시장 개척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이 회장은 "두바이나 사우디 같은 신시장을 개척해야 한다. 홍주시들리스는 약간 떫은 맛이 있지만 두바이·사우디로 꾸준히 나가고 있다"며 "중국이 하지 못하는 품종으로 우리만의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회장은 일본 수출 계획도 밝혔다. 그는 "일본은 지금 고령화로 농업 인구가 줄면서 생산량이 줄고 있다. 일본은 샤인머스캣이 자국 품종이라 수출이 막혀 있었지만, 우리 신품종은 수출할 수 있다"며 "9~10월 네다섯 신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지 반응을 봤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우리 신품종으로 일본 수출이 가능하다면 유럽보다 빨리 진행될 수 있다고 본다"며 "일본 시장을 목표로 하되, 장기적으로는 중동과 유럽으로 확장해 한국형 포도로 세계 시장을 개척하겠다"고 말했다.
![]() |
| K-포도 신품종 홍보관 전경.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5.11.01 plum@newspim.com |
※ 본 기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2025년 FTA 분야 교육·홍보사업 지원으로 제작됐습니다.
plu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