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삼양식품 공장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2030년까지 K-푸드 수출 150억 달러 목표
중소 제조기업 AI 도입률 10%↑…산재 20%↓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케이(K)-푸드 확대 및 산업현장 인공지능(AI) 전환 전략을 논의했다.
2030년까지 K-푸드 150억 달러 수출 달성을 목표로 '글로벌 NEXT K-푸드 프로젝트'를 가동, 식품수출이 농업·제조업 혁신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김민석 총리는 24일 경남 밀양 삼양식품 공장에서 제5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오는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과 미래 전략에 대해 민관이 논의하기 위해 최일선 생산 현장에서 열렸다고 총리실은 설명했다.
김 총리는 회의에 앞서 고도화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삼양식품의 지능형·친환경 생산 현장을 찾아 전 세계에 한국인의 맛을 알리고 있는 수출 제품의 공정 과정을 살폈다.
![]() |
| [서울=뉴스핌] 청사사진기자단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21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2025 민관합동 상생협력 채용박람회 개막식에 참석, 축사를 마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2025.10.21 photo@newspim.com |
김 총리는 완전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물류창고와 전체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앙통제실을 참관하는 등 스마트 제조 기술 현장도 직접 확인했다.
이어진 회의에서는 업계 관계자 등 민간 참석자와 함께 글로벌 K-푸드 수출 전략과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논의했다.
먼저 2030년까지 150억 달러 수출 달성을 목표로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글로벌 NEXT K-푸드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유망 K-푸드를 선정하고 지역별 확산 전략을 수립해 현재 일부 품목에 수출이 집중된 현상을 해소하고 K-푸드의 저변을 넓힌다.
해외 인증 및 마케팅 지원을 통한 신시장 개척, 물류 인프라 확충과 지식재산권 보호도 뒷받침한다. 원스톱 기업 지원 체계를 구축해 기업이 수출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콘텐츠·관광 등 다른 K-컬처와 연계도 강화하고, 푸드테크 혁신도 함께 추진한다. K-푸드의 성장이 문화산업은 물론 농업·수산업·제조업 등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도록 지원한다.
AI 대전환 시대를 맞이해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도 이날 공유됐다. 정부는 업계 전반에 걸친 AI 대전환을 추진, 2030년까지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리고 산업재해를 20% 감축하는 효율적·환경친화적·노동친화적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AI 도입에 대한 전 주기 수준별·지역별 맞춤 지원을 통해 선도 모델을 육성하고, 대·중소기업 간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한다. K-푸드와 같은 유망 업종에 대한 특화된 AI 도입도 지원한다.
스마트제조 기술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창업부터 해외 진출까지 단계별 육성 체계를 구축한다. 글로벌 전문기업을 향한 성장 과정을 지원, 중소 제조기업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다진한다.
김 총리는 "자랑스런 K-푸드의 저력은 AI에 기반한 스마트 제조혁신이 함께할 때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K-푸드의 글로벌 도약과 스마트 제조혁신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업계의 목소리가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며 "(APEC) 정상들이 맛볼 음식뿐만 아니라 배우자들이 맛볼 음식까지 최대한 다양한 방식으로 기업, 정상과 관계자들이 와서 K-푸드에 탄복하고 갈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shee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