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ETF 3종 모두 개인 순매수세 지속
"초기 규모 작아도 지속성 과거와 달라"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정부가 '소버린 AI(주권형 인공지능)'를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자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금이 빠르게 유입되고 있다. 투자 성과가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음에도 매매 수급이 먼저 움직이는 흐름이 관찰되고 있어, 정책 기대감이 빠른 속도로 금융시장에 반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상장된 소버린 AI 관련 ETF 3종목 모두에서 개인 투자자 순매수가 이어지고 있다.
![]() |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코리아소버린AI'는 상장 사흘 만에 순자산 510억원을 넘어섰고, 하나자산운용의 '1Q K소버린AI'도 170억원대 수준에서 자금이 유지되고 있다. 앞서 9월 말 출시된 신한자산운용의 'SOL 한국AI소프트웨어' 역시 240억원대 순자산을 형성 중이다.
KODEX 코리아소버린AI는 상장 첫날 155억원, 둘째 날 27억원, 셋째 날 20억원이 순매수돼 사흘간 개인 누적 매수액이 200억원을 넘겼다. 1Q K소버린AI 역시 상장 이후 12영업일 연속 순매수가 이어졌다. 절대 규모만 놓고 보면 아직 초기 수준이지만, 연속적인 순매수라는 점을 시장은 주목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의 배경에는 정부 정책이 있다. 정부는 내년 AI 예산 10조1000억원을 편성하고 GPU 확보·데이터센터 구축·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까지 국가가 직접 인프라를 깔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는 특정 기업 경쟁 지원을 넘어, AI 운용 자체를 '주권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전략적 접근이다. 정책 방향이 구체화되자 국내 운용사들은 9월 말부터 10월 중순 사이 3종의 소버린 AI ETF를 연이어 상장했다.
다만 운용사별로 내놓은 상품은 각양각색이다. 신한운용의 'SOL 한국AI소프트웨어'가 플랫폼·소프트웨어 중심이라면, 하나운용의 '1Q K소버린AI'는 디지털경제 접점이 큰 응용형·서비스형 AI 종목 비중이 높다. 삼성운용 'KODEX 코리아소버린AI'는 AI 반도체·클라우드·전력 인프라까지 확장해 산업 밸류체인 전체를 포괄하는 구성을 취했다.
주가 성과만 보면 아직 뚜렷한 차별화는 확인되지 않는다. SOL 한국AI소프트웨어와 1Q K소버린AI는 상장가 대비 다소 낮은 수준에서 거래 중이고, KODEX 코리아소버린AI 역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정책 성과 확인 후 ETF 자금 유입'의 후행 패턴이 나타나는 반면, 소버린AI ETF의 경우 성과 이전 단계에서 수급이 선행되는 점이 특징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금 자금 유입은 산업 전환을 전제로 한 정책형 수급이라 초기 규모는 작아도 지속성 측면에서는 다른 흐름"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선제 유입이 과거 정책형 ETF와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문재인 정부의 K-뉴딜 ETF나 윤석열 정부의 저PBR 관련 상품은 정책 기대와 달리 실물 확산이 약했다. 반면 소버린AI는 전력·GPU·데이터센터 등 물리적 인프라 자체가 필요한 산업 구조에서 출발해 매크로 정책과 실물 투자가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점이 다르다는 분석이다.
다만 정책 추진 속도는 여전히 핵심 변수로 꼽힌다. 예산이 국회를 통과하고 실제 집행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늦어질 경우 단기 흐름은 제한될 수 있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정책 펀드는 기대보다 실물 확장이 뒷받침되느냐가 성패를 가른다. 지금은 '선제 진입' 단계이고, 내년 예산이 실제 집행으로 넘어가는 시점부터가 본 게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onew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