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국 자동차 업계의 부담을 덜기 위해, 수입 자동차 부품에 부과되는 관세를 일정 부분 감면받을 수 있도록 한 기존 제도를 2년에서 5년으로 연장할 방침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6일(현지시간) 업계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해당 조치는 원래 2년 뒤 종료될 예정이었다. 구체적으로 미국 내 자동차 제조사들은 수입 부품에 부과되는 25% 관세의 일부를 상쇄받을 수 있다. 미국 내에서 생산·판매되는 차량의 가치의 최대 3.75%까지 감면이 가능하지만, 이 비율은 1년 뒤 약 2.5%로 줄고 그다음 해에는 완전히 폐지될 예정이었다.
이번 연장안 발표는 이르면 오는 18일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세부 내용은 수입 트럭에 대한 신규 관세 시행 문서와 함께 공개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조치는 포드자동차(NYSE: F)와 제너럴모터스(GM)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부담 완화를 요구하며 수개월간 로비를 벌인 끝에 나온 결과로 평가된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GM 주가는 장중 한때 3.8% 상승했으며, 포드와 지프(Jeep) 제조사인 스텔란티스(Stellantis NV)도 동반 상승세를 보였다.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미·일 무역협정으로 인해 일본의 토요타 등 경쟁사들이 차량 1대당 수천 달러의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는 일본의 낮은 인건비와 환율 여건을 고려하면 그 격차가 더 커진다는 설명이다. 미일 무역협정 체결로 일본산 자동차 관세는 27.5%에서 15%로 인하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완성차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으며, 캐나다·멕시코산 차량의 경우 3국 무역협정(USMCA)상 역내 부품 비율 요건을 충족하면 예외가 인정된다.
![]() |
수출입 컨테이너 [사진=블룸버그] |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