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협상 결렬 시 10월 1일 파업 시작
임금 인상 요구 및 근로제 전환
비상근무체계 및 교통경찰 배치 준비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는 시내·외버스 노조가 9월 30일 최종 협상 결렬 시 10월 1일 첫차부터 시내·외 버스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하기로 했다.
![]() |
경기도 버스 차고지 모습. [사진=뉴스핌 DB] |
29일 도에 따르면 노조 측은 공공관리제와 관련해 서울시 수준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민영제에 대한 탄력근로제 연장 반대와 1일 2교대제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회사 측은 노조의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30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 결과가 결렬될 경우, 1일부터 시내·외 버스 50개 업체 소속 조합원들의 전면 파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경기도는 전체 시내·외 버스 1만 575대 중 약 8437대(80%)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경기도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시한 만료 전까지 노·사 대표를 설득해 합의를 도울 예정이다. 그러나 파업이 실제로 일어날 경우,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과 협력하여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24시간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파업 기간 동안 희망 수요가 많은 지하철역 등 234개 지역을 주요 탑승 거점으로 지정하고, 전세 및 관용버스 381대를 투입해 이동수요를 대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마을버스 운행 시간 연장 및 비파업 시내버스를 활용하며, 택시 집중배차와 수도권 전철 및 경전철의 운행시간 연장을 통해 도민의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추가로 출‧퇴근 시간대 혼잡이 예상되는 지역에는 교통경찰이 배치될 예정이다.
도는 도민 대상 홍보를 병행하며,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과 SNS, 시군 누리집 등을 통해 파업 상황을 신속히 알릴 예정이다.
김광덕 경기도 교통국장은 "노·사 간 협의를 통해 원만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도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자세히 알리고 비상수송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