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 조사서 조 8%·장 7%·정 4% 기록
지방선거 성적표로 이들 운명 결정될 것
與 김민석·野 이준석·한동훈 부상할수도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장래 대통령감으로 누가 좋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응답자의 58%(한국갤럽)는 답을 하지 않았다. 1~3위를 차지한 인사들의 선호도를 합한 것(19%)의 세 배이다. 아직 특별히 선호하는 주자가 없다는 의미다.
무응답이 압도적인 이유는 두 가지 정도로 해석된다.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라 아직 차기 주자에 대한 관심이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차기 대선까지는 4년 8개월여나 남아 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왼쪽)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1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8회 국회(정기회) 제12차 본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4.11.14 leehs@newspim.com |
두 번째 이유는 과거 대선과는 달리 대선에서 패한 주자의 재기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대선에서 41%를 득표한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차기 주자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 전 후보는 대선 패배 후 존재감이 사실상 사라졌다.
과거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YS)이 1992년 당선됐을 때는 패자인 김대중 전 대통령(DJ)이 유력한 주자로 남아 있었고, DJ가 대통령이 됐을 때(1997년) 야당에 이회창 전 총재가 건재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때(2007년)는 당내 경쟁자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컸고, 문재인 전 대통령 때(2017년)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이 남아 있었다.
과거와는 달리 이번엔 대선 패자가 사라지면서 사실상 차기 유력 주자가 없는 무주공산이다. 여야 주자들의 도토리 키재기 게임을 예고한 것이다.
22일 한국갤럽이 지난 16~18일 전국 유권자 1001명에게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를 물은 결과,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 8%,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7%,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4% 순이었다.
세 사람의 공통점은 두 가지다. 원내 1~3당의 대표라는 점과 강성 지지층을 일정 부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조 위원장은 강경 진보층의 팬덤을 갖고 있고, 정 대표는 강성 지지층(개딸)의 지지를 받고 있다. 장 대표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에 앞장서고 윤어게인 세력과 손을 잡으면서 강경 보수층의 지원을 받는다.
조 위원장은 부산·울산·경남(10%)과 호남(15%)에서 1위를 차지했다. 부산 출신이라는 점과 총선에서 받은 호남의 높은 지지와 기대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국혁신당은 지난 4월 담양 군수 재선거에서 승리를 거뒀다. 조국혁신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호남에 사활을 걸 것으로 예상된다.
한계도 있다. 조 위원장은 강경 진보층의 팬덤을 갖고 있지만 이에 못지않은 반대 유권자가 존재한다. 입시 비리라는 족쇄를 극복하지 못하면 중도층과 2030 세대를 공략하기 쉽지 않다. 당내 성 비위 사태를 조속히 해결해 신뢰를 쌓는 것도 발등의 불이다.
![]() |
[대구=뉴스핌] 최지환 기자 =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21일 오후 대구 동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국민의힘이 주최한 야당탄압·독재정치 국민 규탄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21 choipix16@newspim.com |
장 대표는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21%, 보수층에선 15%를 얻었다. 대표 경선 과정에서 강경한 목소리로 강성 보수층의 지지를 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젊고 새로운 이미지와 강렬한 연설 등이 강점으로 꼽힌다. 지역구가 선거의 승패를 좌우하는 충청권인 것도 유리하다.
약점도 있다. 탄핵 반대 목소리를 내고 윤어게인 세력과 손을 잡으면서 형성된 강성 보수 이미지는 중도층 공략이 어려운 결정적 한계다. 윤 전 대통령과 완전한 관계 단절은 양날의 칼이라는 점에서 결심이 쉽지 않다. 중도로 향하면 강경 보수층이 반발할 가능성이 높고, 강성 지지층에 기대면 중도층 공략이 어려운 딜레마에 빠져 있다.
정 대표는 민주당 지지층에서 9%, 호남에서 11%의 지지를 얻었다. 개딸로 대변되는 강성 진보 지지층은 그의 든든한 지원군이다. 정 대표는 이들을 의식해 입법 독주와 함께 내란 세력 척결 등 강경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는 어차피 지지가 겹치는 조국 위원장과 범여권 내 한판승부를 벌여야 한다.
정 대표의 고민도 장 대표와 비슷하다. 중도층 공략이 어렵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정 대표가 윤리특위 여야 동수 구성 합의를 깬 데 이어 3대 특검법 개정안에 대한 여야 합의를 파기, 투톱 갈등을 유발한 것도 이들을 의식한 행보였다. 이들의 지지를 받겠지만 중도층은 더 멀어지는 계기가 됐다는 지적이다.
세 사람의 정치 운명을 가를 첫 시험대는 내년 지방선거다. 지방선거 성적표에 따라 이들의 부침이 결정될 것이다.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여권에서는 김민석 총리,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 등이 부상할 수 있다. 야권에서는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경쟁 대열에 가세할 가능성도 있다.
leej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