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이스라엘이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정치 지도부를 겨냥한 공습을 감행하면서 중동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전쟁 협상 중재국인 카타르까지 공격을 감행하자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간 격한 통화가 있었고, 카타르와 러시아까지 나서 이스라엘을 강력히 비난했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전날(9일) 카타르 도하에 있는 하마스 정치 지도부를 타격했지만 최고위급 인사들은 살아남았다. 대신 하마스 수석 협상가 칼릴 알하이야의 아들을 포함해 하마스 간부 5명이 사망했다. 이스라엘은 이 전날(8일) 예루살렘 인근 버스정류장 총격 사건(6명 사망)의 배후를 하마스로 지목한 직후 이번 공격을 단행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올해 4월 7일(현지시간) 백악관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백악관 건물 입구에서 맞이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트럼프 대통령은 사전에 공습 사실을 전달받지 못한 채 미군 보고로 공격 상황을 인지하고 격노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복수의 미 행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9일 네타냐후와의 첫 통화에서 "카타르를 공격한 것은 현명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고 전해졌다. 이후 두 번째 통화에서 분위기는 다소 누그러졌으나, 트럼프는 이스라엘의 독자적 행동에 대한 불만을 감추지 않았단 전언이다.
네타냐후 총리가 카타르에 하마스 추방이나 사법 처리 압박을 가하자, 카타르는 11일 새벽 외교부 성명을 내고 "국가 주권에 대한 명백한 침해이자 향후 위반을 예고하는 위협"이라고 반발했다.
성명은 "하마스 정치사무소의 개설과 운영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요청에 따라 공식적·투명한 절차 속에서 진행돼왔다는 것을 네타냐후도 알 거다"라며, 네타냐후가 카타르가 비밀리에 하마스를 비호한 것처럼 말하는 것은 "전 세계가 규탄하는 범죄를 정당화하려는 절망적 시도"라고 지적했다.
카타르는 이번 공습이 휴전 협상을 위태롭게 한다고 경고하면서 "국제 파트너들과 협력해 네타냐후의 무모하고 무책임한 행동을 끝낼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도 이스라엘의 이번 도하 공습을 규탄했다. 러 외무부는 10일 성명에서 "이번 사건은 국제법과 유엔 헌장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라며 "독립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침해하고, 중동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드는 조치"라고 비난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어진 통화에서 카타르 총리에게 "이스라엘의 공격은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 전하며 카타르의 주권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 |
10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를 방문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좌)을 맞이하는 타밈 빈 하마드 알 타니 카타르 국왕. [사진=로이터 뉴스핌] |
도하 공습 이후 아랍권 지도자들의 연쇄 방문이 이어졌다.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이 공습 다음날인 이날 도하를 전격 방문했고, 알 후세인 빈 압둘라 요르단 왕세자도 방문할 예정이며, 사우디아라비아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11일 도하에 도착할 예정이다.
유럽연합(EU)은 극우 성향 이스라엘 각료 제재와 무역 관련 협정 중단까지 검토하고 있으며, 독일 외무장관도 이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제 미국이 카타르와 함께 중재해온 가자지구 휴전 협상은 안갯속이 됐다. 하마스는 공습 직후 휴전 협상을 전면 중단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스라엘의 "이번 공격이 모든 면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날을 세웠다.
미국은 도하 공습이 휴전 협상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아직까지는 불확실하다. 하마스는 전면 철군과 전쟁 종식을 요구하며 인질 전원 석방을 조건으로 내걸었지만, 네타냐후 총리는 무조건적인 '인질 전원 석방·항복'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은 가자지구 휴전 협상뿐이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의 중동 평화 구상에도 큰 타격이 됐단 진단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걸프 왕정국들과의 관계 강화를 중동 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아왔고, 지난 5월 카타르를 방문해 각별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카타르 역시 미국에 4억 달러 규모의 초호화 전용기를 선물해 차기 '에어포스 원(Air Force One·대통령 전용기)'으로 쓰도록 하는 등 호응했다.
![]() |
지난 9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훼손된 카타르 수도 도하의 한 건물. [사진=로이터 뉴스핌] |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모나 야쿠비안 중동프로그램 국장은 "이번 사태는 트럼프의 평화 구상을 분명히 훼손했다"며 "트럼프 본인도 중동에서 불규칙하고 변덕스러운 접근법을 택한 탓도 있다. 각 행위자들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여지를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은 추가 공습을 예고했다. 예히엘 레이터 주미 이스라엘 대사는 미국 의회 연설에서 "테러리스트들에게 분명한 경고를 보냈다. 그들이 어디에 있든 끝까지 추적해 우리를 파괴하려는 자들을 제거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영상 성명에서 "카타르와 테러리스트를 숨겨주는 모든 나라에 말한다. 그들을 추방하거나 법정에 세우라. 그렇지 않으면 우리가 직접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