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공사, 실효성 있는 점검 체계 마련해야"
[거제=뉴스핌] 남경문 기자 =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정기점검에서 부적합 판정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서일준 국민의힘 의원(경남 거제)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일반용 전기설비 정기점검 부적합 건수는 2022년 2만 6872건에서 2023년 3만 9666건으로 1만 2794건(약 48%) 늘었다.
![]() |
서일준 국민의힘 국회의원 [사진=서일준 의원실] 2025.08.27 |
올해 들어서도 7월 기준 3만 8446건에 달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정기점검에는 전력산업기반기금(전력기금)이 연간 800억 원 이상 투입되고 있으며, 1~3년 주기로 나눠 추진된다. 그러나 지난해 점검 이후 6개월 내 전기화재가 발생한 건수가 1663건에 이르러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부적으로 보면, 1년 주기 점검 대상에서는 ▲가로·신호등 2만 5699건 ▲음식주점 1368건 ▲제조·산업시설 777건 △유통·소방시설 295건에서 부적합 판정이 나왔다. 가로·신호등은 전년 대비 1만 2341건 늘었다.
2년 주기 점검에서는 학교에서 6건의 부적합이 나와 2022년보다 소폭 줄었고, 3년 주기 점검에서는 ▲보안등·기타조명 7459건 ▲특수통신 1336건 ▲편의점·창고·슈퍼마켓 등 기타시설 1088건 ▲주거시설 859건 순으로 많았다. 이 가운데 보안등과 기타시설은 각각 599건, 107건 증가했다.
지난해 전기화재는 경기도 2173건, 서울 1327건, 경남 697건에서 발생했다. 인명피해는 사망 40명, 부상 332명 등 총 372명이었다.
같은 해 감전사고로도 사망 28명, 부상 343명이 발생해 총 371명의 인명피해가 집계됐다.
서일준 의원은 "전기관련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철저한 사전 관리가 중요하다"며 "전기설비 정기점검 부적합 건수가 매년 늘고 있는 만큼, 전기안전공사가 실효성 있는 점검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