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절감·시장 다변화·신기술 연구개발(R&D) 총력 지원
이철우 지사 "미래차 시대 선도위한 모든 행정력 집중할 것"
[경북종합=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가 최근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자동차·부품 15% 관세 부과로 위기에 직면한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 경쟁력 강화와 부품 기업 지원위한 다각적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미국 자동차 시장은 완성차 수출 49.1%, 부품 수출 36.5%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이다.
2025년 6월 기준 미국의 관세 여파로 대미 수출은 26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 감소하고 미국 현지 생산 한국 완성차의 국내 부품 조달 비중이 평균 36.2%에 달해 생산 원가 상승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 |
경상북도청사 전경[사진=뉴스핌DB] |
이에 경북도는 지역 자동차 부품 기업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을 위해 생산 원가 절감, 시장 다변화, 신기술 연구개발(R&D)이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기업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인력에 의존하는 기존 공정을 개선해 생산 원가 절감을 위한 제조 공정의 자동화 및 스마트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제조 공정에 인공지능을 결합한 AI 자율 제조 사업(~2028. 10개사)과 생산 과정 자동화를 위한 스마트 공장 지원 사업(30개사/년)을 추진하고, 경북 주력 산업과 연계한 제조 AI 센터를 통해 맞춤형 솔루션 개발 및 현장 애로 문제 해결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시장 다변화 전략도 추진한다.
유럽, 아세안, 인도네시아 등 신흥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 전시회 지원을 확대하고, 전통적인 제조업에서 디지털 산업으로의 사업 전환을 지원해 제조 공급망 안정화와 지역 혁신 융복합 단지 입주 기업의 글로벌 협력 등 새로운 시장 진출로 위기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인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미래차 부품 관련 신기술 연구개발(R&D)도 집중 지원한다.
경북 도내 연구기관 인력 풀을 최대한 활용, 정부 연구개발(R&D) 과제 선정을 통해 고부가가치 부품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첨단 전자 제어 부품 생태계 기반 구축 등 현재 추진 중인 6개 국비 사업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기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여기에 경북 도내 자동차 연구기관이 보유한 환경 내구 시험 등 첨단 장비를 지원해 기업들의 시험·인증 부담을 덜어주고 기술 개발을 가속할 예정이다.
정부 차원의 관세 피해 최소화 정책에 맞춰 경북도가 추진하는 체계적인 부품 기업 맞춤형 대응 전략이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미국 관세 협상 타결로 인한 위기를 오히려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과 신시장 개척의 기회로 삼겠다"며 "우리 경북 자동차 부품 기업들이 흔들림 없이 경쟁력을 유지하고 미래차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기업들이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게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