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질 센서·필터 성능 강화 연구 착수
전문가 협력해 다양한 오염원 대응 방안 모색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LG전자가 공기질 전문가와 협력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한 공기청정 센서와 필터를 개발한다.
LG전자 ES사업본부 공기과학연구소는 20일 한국실내환경학회와 함께 서울 중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빌딩에서 '기후 변화에 따른 실내 공기질 이슈와 솔루션 마련'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생물과 바이러스 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리고 공기질 관리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마련됐다.
![]() |
AI 공기질 센서를 적용한 LG 퓨리케어 AI 오브제컬렉션 360˚ 공기청정기 [사진=LG전자] |
심포지엄에 참석한 교수와 전문가들은 무더워지는 날씨와 대기질 변화를 고려할 때 새로운 요인에 따른 공기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논의했다. 또 다중 이용시설과 어린이집 등에서 발생하는 미생물로 인한 실내 오염물질 연구 결과도 공유했다.
LG전자는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동 연구를 진행해 실내 공기질 개선 솔루션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과 제품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2018년 공기과학연구소를 설립하고 집진, 탈취, 제균 등 핵심 기술을 연구해왔다.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휘센 에어컨, 제습기 등에도 관련 기술을 적용해왔다.
올해 초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유증기 등을 감지하는 인공지능 공기질 센서를 새롭게 개발해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신제품에 적용했다. 이 센서는 가스 종류와 오염도에 따라 스스로 공기청정 기능을 작동하는 것으로 한국표준협회 검증을 받았다.
공기과학연구소는 차세대 '퓨리탈취청정 M필터'를 선보였다. 이 필터는 기존 G필터보다 탈취 성능이 40% 이상 높다. 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금속유기구조체 신소재를 적용해 성능을 끌어올렸다.
오세기 LG전자 ES연구소장 부사장은 "실내 공기질 개선 연구를 확대해 다양한 오염원에 대응하는 솔루션을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스템에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