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을지연습 연계…드론 테러·해킹 동시 발생 가정 훈련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정부가 범국가 차원의 사이버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민관군이 함께 참여하는 사이버위기 대응훈련을 19일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2025 을지연습과 연계해 진행됐다.
올해 훈련은 최근 통신사·금융사 등 민간기업과 국가·공공기관에서 발생한 사이버 사고를 반영, 민관 통합 대응 체계를 점검하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됐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부각된 드론 위협을 고려해 사이버 공격과 물리적 공격이 동시에 벌어지는 복합 상황을 설정, 실전성을 높였다.
![]() |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을지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국가안보실, 국정원,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한국가스공사 등 주요 국가·공공기관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와 군이 참여했다. 민간기업에서는 LG유플러스, KT, KB금융 등 통신·금융사가 함께했다.
참가자들은 생성형 AI로 제작된 해킹 메일 대응과 디도스(DDoS) 공격 피해 복구 등 실제 상황을 가정한 훈련에 돌입했다.
훈련 시나리오에는 국가 주요 기반시설인 한국가스공사 삼척 LNG 저장소가 사이버 공격과 자폭 드론 테러를 동시에 받는 상황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민관군 합동 대응조직인 국가사이버위기관리단 신속대응팀이 출동해 해킹 조사를 진행했고, 지역 군부대·경찰·소방이 드론 테러 진압에 나서는 합동 대응 훈련이 전개됐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오늘날 사이버 위협은 민생경제와 국가안보의 근간을 무너뜨릴 수 있는 중대한 위험"이라며 "특히 AI와 결합된 국가배후 해킹조직의 공격은 개별 기업·기관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는 이번과 같은 민관군 통합훈련을 확대하고 협력체계를 강화해 국민과 민생경제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사이버 대응태세 확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