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합의한 5500억달러(약 760조원)의 대규모 투자 합의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 새로운 협의체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19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보도했다.
이는 대미 투자 지원이 원활히 이행되는지를 점검하고, 최근 불거진 양국 간 관세 협상 이견을 조율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협의체에는 일본 외무성·경제산업성·재무성을 비롯해 국제협력은행(JBIC), 일본무역보험(NEXI) 등이 참여할 전망이다. 미국 측과 함께 합의 이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정책 조정을 통해 협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5500억달러의 대미 투자 지원은 반도체와 의약품 등 9개 분야에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양국이 긴밀히 협력한다는 내용으로 합의됐다.
이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미일 경제 협력의 틀을 한층 강화하려는 전략적 의도와도 맞닿아 있다.
다만 걸림돌도 남아 있다. 일본은 미국에 대해 ▲상호 관세와 관련된 대통령령 수정 ▲자동차 관세 인하를 위한 새로운 대통령령 서명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측은 이에 신중한 입장을 보여 왔으며, 이 때문에 양국 간의 세부 조율이 지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협의체 설치 시점 역시 이러한 대통령령 서명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일본 정부 관계자의 관측이다.
이번 협의체 논의는 단순히 투자 지원의 틀을 넘어, 미일 경제안보 협력의 심화라는 의미를 갖는다. 공급망, 첨단기술, 관세 문제를 둘러싼 협상이 앞으로 미일 관계의 새로운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 |
지난 2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백악관에서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