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장 공석인 국토부 산하기관 7곳…LH 후임 인선, 우선순위 높을 듯
3기 신도시 신속 조성·재무건전성 회복…전문성 갖춘 인사 유력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임기 만료 3개월을 앞두고 사의를 표명하면서 후임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새정부 초대 LH 사장은 강도 높은 개혁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주택공급 차질 방지와 재무건전성 회복 등 산적한 과제를 떠안게 된다.
새정부 방향성이 공공주택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어 LH의 3기 신도시 신속 조성과 공공주택 확대 등 차질 없는 수행을 위해 공석이 된 차기 사장 인선을 서두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국토부 장관이 정치인 출신인 만큼 전문성을 검증받은 인사가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 |
◆ 기관장 공석인 국토부 산하기관 7곳…LH 후임 인선, 우선순위 높을 듯
12일 업계에 따르면 이한준 LH 사장이 제출한 사표가 수리되면 국토교통부가 후임 인선을 빠르게 마무리해 공백을 최소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오는 11월 임기가 끝나는 이 사장은 지난 5일 국토교통부에 사표를 제출했다. 윤석열 정부 때인 2022년 11월 LH 사장으로 취임했으며 김윤덕 국토부 장관 취임을 계기로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장은 앞서 지난달 9일 사내 게시판을 통해 "새로운 국토부 장관이 발표되는 대로 저의 거취를 임명권자에게 일임할 것"이라는 내용의 글을 올리며 사의를 암시했다.
국토부 산하 29개 기관 중 새정부 들어 사의를 표명한 곳은 LH를 포함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스알(SR)·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등 4곳이다. 여기에 현재 공석인 한국공항공사와 임기 만료 후 후임자가 없어 전임자가 직을 유지 중인 한국부동산원과 국토안전관리원까지 하면 총 7곳에서 후임 인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다만 LH의 경우 사표 수리가 이뤄져야 한다. 사표 수리는 결격 사유 확인 후 대통령에게 임명 해제를 제청하고 재가를 받는 절차를 거친다. 통상적으로 수일에서 2~3주가 소요된다.
이미 여러 기관장이 공석이지만 LH 후임 인선은 우선순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가 공공주택 확대를 중심으로 공급 기반 강화에 방점을 찍은 만큼 LH의 역할이 막중하기 때문이다. 초대 LH 사장이 될 경우 조직 개혁, 주택공급 차질 방지, 재무건전성 회복 등 산적한 과제를 한꺼번에 떠안게 된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김윤덕 국토부 장관에게 LH 사업구조 개편을 직접 주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고강도 개혁안 마련이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이 대통령은 김 장관에게 "수동적인 태도보다 적극적으로 개혁을 추진하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져 새 사장이 취임하면 개혁 로드맵을 조기에 내놓을 것으로 관측된다. LH 역시 과거 임직원의 투기사건으로 전국민적인 공분을 샀던 만큼 조직 개혁을 통한 신뢰회복이 필요한 상황이다.
◆ 3기 신도시 신속 조성·재무건전성 회복…전문성 갖춘 인사 유력
3기 신도시의 신속한 조성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 경선 과정에서 4기 신도시 건설을 공언했지만 공약집에서 제외시키고 사실상 백지화했다. 이에 따라 3기 신도시 주택의 빠른 공급을 위해 지연 요인을 조속히 해소하는게 급선무다. 현재까지 본 청약이 진행된 물량은 전체 3기 신도시 18만6000가구 가운데 5% 수준에 불과하다. 남은 물량에 대한 청약과 입주까지 완료되려면 최소 5년 이상은 소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재무 건전성 회복도 시급하다. LH는 지난해 말 기준 총부채가 전년 대비 7조2582억원 증가한 160조1055억원으로 건전성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020년 말 기준 부채는 129조7450억원이었지만 5년새 23.4% 증가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면 정치적 배경보다 전문성과 위기관리 능력을 갖춘 인사가 유력하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일부 지역 정치인들이 출마 의사를 내비쳤지만 국토부 장관이 이미 정치인 출신이어서 정치색을 최소화하는 인사가 선호될 가능성이 크다.
후보군으로는 SH·GH 사장을 모두 역임한 김세용 고려대 건축학과 교수와 이헌욱 전 GH 사장 등이 거론된다. 김 교수는 문재인 정부 시절 SH 사장과 2022년부터 올해 3월까지 GH 사장을 지냈으며 주택정책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다. 이 전 사장은 경기도시공사(GH) 재임 시절 공공주택 공급 확대와 주거복지 강화에 주력한 경험이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새 사장은 개혁·공급·재무 안정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하는 만큼 정치적 메시지보다 현장 경험과 위기 대응력이 검증된 인물이 필요하다"며 "이번 인선이 향후 5년간의 공공주택 정책 성패를 가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in72@newspim.com